본문내용
결과>
위와 같이 구성을 했지만 실제 실험에서 사용하는 칩을 찾아보니 74164(8bit 쉬프트 레지스터)가 시리얼 입력을 받는 칩이었고 7495(4bit 쉬프트 레지스터)또한 위의 회로도에서 사용하지 않은 칩이었다.
실험에 맞추기 위해서 다시 짜기로 했다. 74164는 시리얼 입력이기 때문에.. 실험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대신에 7495를 2개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렇게 해서 위의 회로도에서 A와 B의 입력쪽만 바꿔서 회로를 구성하였다.
전의 칩과 쓰임이 좀 다른것 같았다.
회로도는 다음과 같다.
위의 칩은 하강 에지에서 작동하는 타입이었다 그래서 not 게이트를 하나 빼고 바로 or을 시켜주었다.
위와 같이 구성을 했지만 실제 실험에서 사용하는 칩을 찾아보니 74164(8bit 쉬프트 레지스터)가 시리얼 입력을 받는 칩이었고 7495(4bit 쉬프트 레지스터)또한 위의 회로도에서 사용하지 않은 칩이었다.
실험에 맞추기 위해서 다시 짜기로 했다. 74164는 시리얼 입력이기 때문에.. 실험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대신에 7495를 2개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렇게 해서 위의 회로도에서 A와 B의 입력쪽만 바꿔서 회로를 구성하였다.
전의 칩과 쓰임이 좀 다른것 같았다.
회로도는 다음과 같다.
위의 칩은 하강 에지에서 작동하는 타입이었다 그래서 not 게이트를 하나 빼고 바로 or을 시켜주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Ch2. 부 울 대 수<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차이
디지털도서관에서의 MARC DATA의 역할 및 적용사례
[디지털신호처리] 음성 신호의 잡음 제거
디지털 컨버전스 [인문과학]
디지털 기술과 방송통신기술 발달로 파생되는 산업구조분석
디지털 시계
디지털 논리회로(2진 시스템 부울대수와 드모르간의 정리 활용법)
디지털시계_알테라de2_vhdl
디지털 논리회로 111 detection(감지)
디지털회로실험 교안
[디지털변조]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직교진폭변조에 관해
[디지털공학실험] 기본논리게이트인 NOT, AND, OR, NAND, NOR, XOR 게이트의 동작 특성 및 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