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차이를 밝히고, 기능 문법론적 시각에서 설명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차이를 밝히고, 기능 문법론적 시각에서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용법
단형 부정문 중에는 의미가 특수화되어 관용적인 의미를 갖는 예들이 있는데 그런 경우 ‘되다’ 만이 예외적이고 나머지는 장형 부정문으로 대치되지 못한다.
18) {못된, 되지 못한} 녀석.
19) 참 {못난, *나지 못한} 녀석이군.
반대로 다음과 같은 관용어는 장형 부정문만 허용한다.
20) 엎친 데 덮친 형편이라 {*못 죽어, 죽지 못해} 산다.
20)과 같은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 두 가지 이상 있을 때 장형보다 단형의 의미가 더 직접적이며, 특수화되어 관용어화 하는 빈도도 높다.
<참고문헌>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고영근, 남기심(2004),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이창용(1990), “국어 부정문 연구”, 세종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7.04.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