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증 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두증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예후)
3. V-P Shunt [Ventricular - Peritoneal Shunt]
(정의, 수술방법, 합병증)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검사소견 (Laboratory & Special test)
3. 약물요법
4. 문제목록
5. 간호과정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압력이 있는 환자, 심장수술후의 환자
도파민 프리믹스
160mg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패혈증, 수술후 신장애 만성심대상부전증으로 인한 쇽, 핍뇨, 무뇨,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1kg당 2.5mgcg/분을 정맥주사, 중증의 경우에는 kg당 5~10mgcg/분에서 20~50mgcg/분까지 증량하여 정맥주사 가능
순환기: 심실성 기회수축, 심방세동 및 심실 빈맥등의 부정맥
소화기: 구역, 구토, 복부팽만
크롬친화세포종 환자, 빈맥성 부정맥 환자, 심실세동 환자, 갑상선 중독증 환자, 폐쇄우각형녹내장 환자
약물
효능/효과
용법/용량
부작용
금기
훈기존주사
50mg
효모균증, 북아메리카분아균증, 모닐리아증, 콕시디오이디즈진균증 및 히스토플라스마증의 전신확산 상태, 모균병, 스포로트리쿰증, 아스페르길루스증, 아메리카피부점막 레슈마니아증의 2차 선택약
초기용량: 1일 0.5mg/kg을 정주
1일 총투여량 1mg/kg 또는 격일투여시 1.5mg/kg을 수개월간 투여
1일 총투여량이 1.5mg/kg을 초과하지 말 것
발열, 오한, 식욕부진, 두통, 체중감소, 오심, 구토, 설사, 저칼륨혈증, 세뇨관산성증, 빈혈, 혈관성 정맥염
본제에 과민증 환자
4. 문제목록
#1. 부동자세, 침상활동
#2. 수면장애
#3. 두개내압상승
#4. 자가간호결핍
5. 간호과정 적용
#1. 두개내압상승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간호사정
OP name - V-P shunt
과거 V-P shunt 시행
BP : 150/80 (증가된 맥압)
의식상실로 인해 침상안정중
간호진단
두개내압상승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간호목표
장기목표 : 두개내압을 정상범위로 유지시킨다.
단기목표 : 2주후 대상자는 활력징후가 안정된다.
간호계획
V/S check
[V/S과 의식수준의 변화는 뇌압상승의 기초자료가 된다.]
통증정도,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침상머리 부분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중재는 뇌혈류의 정맥귀환을 증가시킨다.]
발열에 대해 철저히 치료한다.
[발열은 두 개 내 혈류를 증가시키고, 갑작스런 뇌압의 상승은 발열을
동반한다.]
발작 예방을 위해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발작은 뇌압을 직접적으로 상승시키는 요인을 아니지만 산소전달과
뇌대사의 변화를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한다.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은 두 개강내압 상승과 동반될 수 있다.]
간호수행
1시간 마다 활력징후을 사정하였다.
매일 통증 정도와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m/s - Alet
대상자의 침상머리 부분을 30°정도 올려주었다.
4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였고 발열시 얼음주머니로 지지하였다.
울트릴등의 경련제를 정확한 용량에 맞추어서 정맥으로 주입하였다.
8일, 10일 sodium. potassium, chloride를 check 하였다.
평가
11월 10일 대상자는 BP가(130/80)안정되었다. 하지만 의식이 없어
서 상태가 어떠한지에 대한 주관적인 자료를 사정할 수가 없다.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사정
호흡곤란
산소요법을 하지 않으면 산소포화도가 현저히 감소함
의식이 없음
의식상실로 인해 침상안정 중
간호진단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장기목표 : 효율적 기침과 배출로 정상호흡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 2주후 대상자는 객담배출이 용이하다.
간호계획
V/S check
[기도가 막히면 빈호흡이 될 수 있다. 호흡음에 따라 문제를 사정
한다.]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은 폐포의 가스교환을 증진시키
고 폐내에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히자고 더욱 효과적으로 호흡
할 수 있다.]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환자의 호흡양상을 봄으로써 환자가 필요하는 간호를 알아낼 수
있다.]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산소요법을 받는 환자들은 구강부분이 관리가 잘되어야 통증도
줄여줄 수 있다.]
suction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1시간 마다 활력징후을 사정하였다.
매일 1시간 마다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m/s - Alet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환자 스스로 호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시간 마다 구강간호를 실시하였고 입술과 주위에는 바세린을 발라
주었다.
2시간 마다 구강간호와 함께 suction을 시행하였다.
평가
11월 10일 대상자는 입술의 갈라짐이 없고 구강점막의 건조함이 없
다. 인공호흡기 없이 스스로 호흡할 수 있고 객담을 뱉을 수 있다.
#3.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사정
호흡곤란
산소요법을 하고 있음
의식이 없음
깨어나면 반응을 함
의식장애로 인해 침상안정 중
간호진단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효율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다.
단기목표 : 2주후 대상자는 의사소통을 위해 비언어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간호계획
천천히 몸짓이나 시각적인 도구를 사용하게 한다.
환자의 얼굴을 마주보고 이야기한다.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며 반응을 강요하지 않는다.
주의가 산만하지 않도록 한다.
언어 이외의 다른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 예를 들면 글자, 몸짓,
그림을 사용한다.
간호수행
매일 2시간마다 환자에게 몸짓 등을 사용하여 환자와 의사소통을
하였다.
환자의 얼굴을 마주보며 이야기 하였다.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이야기하는 중간에 충분한 시간을 주었다.
의사소통시 주의가 산만하지 않도록 스크린을 치고 이야기 하였다.
언어 이외에 화이트보드판을 이용하여 글자와 그림을 사용하였다.
평가
11월 10일 대상자는 언어적 의사소통은 할 수 없으나 손가락의
움직임이나 눈의 깜빡임 등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신경외과학,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중환자간호학술지 제7호, 중환자간호분야회, 2006
Sigma Theta Tau Lambda 편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4
임상간호 매뉴얼, 수문사, 1992
http://neurosurgery.knu.ac.kr/sudu.htm
http://neurosurgery.ghil.com/program/program_003_01.htm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1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