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배뇨의 생리 및 정상 요배설 기전
2.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요생성의 변화와 원인(다뇨,핍뇨,무뇨 등)
4.배뇨의 변화양상
5.요실금환자를 위한 간호
6.배뇨장애와 관련된 간호과정
7.도뇨의 종류와 적응증
8.도뇨(단순,유치)의 절차
9.유치도뇨관의 관리
2.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요생성의 변화와 원인(다뇨,핍뇨,무뇨 등)
4.배뇨의 변화양상
5.요실금환자를 위한 간호
6.배뇨장애와 관련된 간호과정
7.도뇨의 종류와 적응증
8.도뇨(단순,유치)의 절차
9.유치도뇨관의 관리
본문내용
신경손상, 요로전환루 설치술
⑤ 긴박성 요실금
경련을 일으키는 방광 신장수용기의 흥분(방광감염, 알코올카페인 섭취, 수분 과잉섭취, 방광의 과잉팽만)
방광용적의 감소(유치도뇨 경험, 수술, 골반의 염증성 질환)
방광의 지나친 팽만
⑥ 요정체 - 요도폐색, 투약
⑦ 배뇨양상 변화
방광감염
신경질환이나 상해
신장 결석
회음부 조직의 상실
투약(이뇨제)
⑧ 감염 가능성 - 유치도뇨, 요정체
⑨ 자아존중장애 - 실금
⑩ 피부손상의 기능 - 유치도뇨, 요정체, 실금
⑪ 요실금 - 사회적 격리, 자가간호결핍, 체액과다, 신체상 장애, 지식부족
★간호계획
① 입원환자의 정상적인 배뇨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수행한다.
② 요실금 대상자들에게 방광훈련, 회음부 근육강화, Kegel 운동 등을 교육함
③ 요실금대상자의 피부통합성을 사정하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
④ 요정체대상자를 위해 도뇨를 시행하며 요로감염 에방을 위해 방광세척을 실시
⑤ 요로전환술을 시술받은 대상자를 위해 특별간호를 제공
★간호중재
1) 정상 배뇨유지
(1) 수분섭취의 증가
① 평균 수분섭취는 1200~1500ml (과다 발한, 구토 설사 시 더 많은 수분섭취)
② 부동하고 있는 대상자는 결석 형성이 쉬움 매일 2000~3000ml 수분섭취필요
③ 신장손상,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경우에는 수분섭취를 일정 양으로 제한
(2) 정상적인 배뇨습관의 유지
① 여성의 올바른 배뇨체위는 웅크리고 앉고 남성은 서는 것을 도와줌(요도를 통한 소변의 이동을 중력에 의해 강화시킴)
② 대상자가 편안하게 이환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고 충분하 배뇨시간을 허락
(3) 배뇨보조
- 질병과정으로 대상자가 약해져 있거나 신체적 손상으로 도움요구 시 도와줌(화장실까지 보조하여야하고 낙상의 위험이 있는 환자는 함께 있어야 함)
2) 요실금 환자를 위한 간호
(1) 방광조절 훈련
① 대상자의 배뇨양상을 확인하여 그 시간에 맞춰 배뇨를 격려
② 정규적인 배뇨계획으 세워 깨어나자마자, 낮 동안에는 1~2시간마다, 취침 전 그리고 밤에는 매 4시간마다 배뇨를 하도록 도움
③ 긴급뇨가 감소되거나 사라질 때까지 천천히 호흡하고, 많은 연습 지시
(2) 회음부 근육의 강화 - 회음부 운동 즉 Kegel 운동 혹은 회음부 조이기 운동은 치골미골의 근육을 강화시키고 여성 요실금 환자의 요흐름의 시작과 중지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
(3) 피부통합성의 유지
- 소변이 피부에 계속 묻어 있게 되면 암모니아가 생성돼 피부를 자극, 심해지면 욕창이 생기니 요실금후 회음부를 비눗물로 씻고 철저히 말린 뒤 깨끗하고 마른 옷이나 침요를 제공
(4) 체외 요배설장치의 사용
- 콘돔의 이용을 보호용 외부도뇨관이라 부르며 요배출 장치의 기본이 되는 부착물로 보통 남성 요실금자에게 사용하는데 요도와 방광에 삽입되는 것을 피하고 요도 혹은 방광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유치도뇨관 삽입 대신 선호함
3) 요정체 시의 간호
- bethanecol chloride와 같은 콜린성 약물을 방광수축과 배뇨촉진을 위해 처방함
- 방광이 이완상태인 대상자는 방광부위에 손바닥으로 압력을 가하여 소변이 나오도록 함
(1) 도뇨 -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도뇨관을 삽입하는 것
① 위험 할 수 있으므로 꼭 필요시 시행하고 미생믈을 옮길 위험이 있으므로 무균!!
② 남성의 요도는 길고 꼬불꼬불하므로 요도의 정상적인 외형을 따라 도뇨관 삽입
③ 단순도뇨관과 유치도뇨관이 있음
(2) 단순도뇨 - 직선현 단순도뇨관은 1회 사용하면 소변검사물과 잔뇨를 얻기 위해 사용함
(3) 유치도뇨
- 소변유출이 되지 않을 때, 전립선 비대, 요도협착, 요도와 그 주위구조의 수술을 한 대상자를 위해, 혈액응고 물질로부터 요도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방광종양 및 외과적으로 요도를 교정한 경우, 혼수 상태이거나 심하게 지남력을 상실한 대상자의 피부손상 예방을 위해 시행
(4) 유치도뇨관 삽입 대상자의 간호
① 수분섭취 : 수분균형은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유치도뇨관을 사용하는 대상자를 위해 필요.. 가능하다면 매일 3000㏄ 이상의 물을 마시게 함
② 식이요법 :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소변을 산성화시키는 예방법을 시행
③ 회음부 간호 : 일상적인 회음부 간호
④ 도뇨관과 배뇨관의 교환 - 임의로 일정기간마다 유치도뇨관으 교환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비효과적이며 수행해서도 안됨 ⇒ 꼭 필요 시 도뇨를 하고 유치도뇨관은 가능한 관제거
⑤ 대상자의 교육
- 대상자에게 중력배양법의 원칙과 폐쇄식 체계의 유지의 중요성을 교육
- 연결관과 배액주머니가 항상 방광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함과 도뇨관, 연결관 위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연결관이 둥근 고리모양으로 되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고 배액관 위에 눕는 것을 피해야 함을 교육
(5) 유치도뇨관의 제거
① 도뇨관 제거 전 며칠 간은 방광훈련을 시킴
② 대상자를 눕는 체위를 취하게 하여 도뇨관의 주입부위에 주사기의 바늘을 삽입하여 풍 선에서 용액을 뽑음
③ 그런 후 부드럽게 도뇨관을 빼내어 수집용기에 담음
④ 수건으로 회음부를 닦음
⑤ 배액주머니의 소변량을 측정하고 도뇨관의 제거에 대해 기록함
6) 유치도뇨관으로부터의 소변검사물 채취
- 패쇄식 체계에서 3㏄ 주사기에 21~25G의 멸균된 주삿바늘을 연결하여 배액관의 시작부 를 통해 1인치 정도 바늘을 삽입하여 무균상태의 소변검사물을 받을 수 있음
(7) 방광세척
① 폐쇄식 체계를 유지하면서 흡입부위로 용액을 주입하기
② 3-way도뇨관을 통해 세척하기(폐쇄식 체계)
③ 도뇨관과 배액관을 분리한 후 도뇨관을 통해 세척하기(개방식 체계)
4) 요로 전환술
(1) 경피 요관루 - 요관을 복벽이나 옆구리의 피부표면으로 당겨서 요관의 개구부를 만들어주는 시술
① 이중요관루 - 양쪽 요관을 피부 표면으로 당겨서 나란히 개구부를 형성
② 루프 요관루 - 요관을 허리의 피부표면에 루프식으로 당겨서 개구부를 형성
③ 경요관요관루 - 한쪽 요관을 다른 쪽 요관에 연결시킨 후 피부표면을 당겨서 개구부를 형성한 것
(2) 회장도관
- 회장의 일부를 절제하여 소변을 모으는 용기로 사용하는데, 절제된 회장의 한쪽 끝은 피부바깥으로 끌어당겨서 개구부를 만드고 다른 쪽
⑤ 긴박성 요실금
경련을 일으키는 방광 신장수용기의 흥분(방광감염, 알코올카페인 섭취, 수분 과잉섭취, 방광의 과잉팽만)
방광용적의 감소(유치도뇨 경험, 수술, 골반의 염증성 질환)
방광의 지나친 팽만
⑥ 요정체 - 요도폐색, 투약
⑦ 배뇨양상 변화
방광감염
신경질환이나 상해
신장 결석
회음부 조직의 상실
투약(이뇨제)
⑧ 감염 가능성 - 유치도뇨, 요정체
⑨ 자아존중장애 - 실금
⑩ 피부손상의 기능 - 유치도뇨, 요정체, 실금
⑪ 요실금 - 사회적 격리, 자가간호결핍, 체액과다, 신체상 장애, 지식부족
★간호계획
① 입원환자의 정상적인 배뇨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수행한다.
② 요실금 대상자들에게 방광훈련, 회음부 근육강화, Kegel 운동 등을 교육함
③ 요실금대상자의 피부통합성을 사정하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
④ 요정체대상자를 위해 도뇨를 시행하며 요로감염 에방을 위해 방광세척을 실시
⑤ 요로전환술을 시술받은 대상자를 위해 특별간호를 제공
★간호중재
1) 정상 배뇨유지
(1) 수분섭취의 증가
① 평균 수분섭취는 1200~1500ml (과다 발한, 구토 설사 시 더 많은 수분섭취)
② 부동하고 있는 대상자는 결석 형성이 쉬움 매일 2000~3000ml 수분섭취필요
③ 신장손상,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경우에는 수분섭취를 일정 양으로 제한
(2) 정상적인 배뇨습관의 유지
① 여성의 올바른 배뇨체위는 웅크리고 앉고 남성은 서는 것을 도와줌(요도를 통한 소변의 이동을 중력에 의해 강화시킴)
② 대상자가 편안하게 이환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고 충분하 배뇨시간을 허락
(3) 배뇨보조
- 질병과정으로 대상자가 약해져 있거나 신체적 손상으로 도움요구 시 도와줌(화장실까지 보조하여야하고 낙상의 위험이 있는 환자는 함께 있어야 함)
2) 요실금 환자를 위한 간호
(1) 방광조절 훈련
① 대상자의 배뇨양상을 확인하여 그 시간에 맞춰 배뇨를 격려
② 정규적인 배뇨계획으 세워 깨어나자마자, 낮 동안에는 1~2시간마다, 취침 전 그리고 밤에는 매 4시간마다 배뇨를 하도록 도움
③ 긴급뇨가 감소되거나 사라질 때까지 천천히 호흡하고, 많은 연습 지시
(2) 회음부 근육의 강화 - 회음부 운동 즉 Kegel 운동 혹은 회음부 조이기 운동은 치골미골의 근육을 강화시키고 여성 요실금 환자의 요흐름의 시작과 중지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
(3) 피부통합성의 유지
- 소변이 피부에 계속 묻어 있게 되면 암모니아가 생성돼 피부를 자극, 심해지면 욕창이 생기니 요실금후 회음부를 비눗물로 씻고 철저히 말린 뒤 깨끗하고 마른 옷이나 침요를 제공
(4) 체외 요배설장치의 사용
- 콘돔의 이용을 보호용 외부도뇨관이라 부르며 요배출 장치의 기본이 되는 부착물로 보통 남성 요실금자에게 사용하는데 요도와 방광에 삽입되는 것을 피하고 요도 혹은 방광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유치도뇨관 삽입 대신 선호함
3) 요정체 시의 간호
- bethanecol chloride와 같은 콜린성 약물을 방광수축과 배뇨촉진을 위해 처방함
- 방광이 이완상태인 대상자는 방광부위에 손바닥으로 압력을 가하여 소변이 나오도록 함
(1) 도뇨 -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도뇨관을 삽입하는 것
① 위험 할 수 있으므로 꼭 필요시 시행하고 미생믈을 옮길 위험이 있으므로 무균!!
② 남성의 요도는 길고 꼬불꼬불하므로 요도의 정상적인 외형을 따라 도뇨관 삽입
③ 단순도뇨관과 유치도뇨관이 있음
(2) 단순도뇨 - 직선현 단순도뇨관은 1회 사용하면 소변검사물과 잔뇨를 얻기 위해 사용함
(3) 유치도뇨
- 소변유출이 되지 않을 때, 전립선 비대, 요도협착, 요도와 그 주위구조의 수술을 한 대상자를 위해, 혈액응고 물질로부터 요도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방광종양 및 외과적으로 요도를 교정한 경우, 혼수 상태이거나 심하게 지남력을 상실한 대상자의 피부손상 예방을 위해 시행
(4) 유치도뇨관 삽입 대상자의 간호
① 수분섭취 : 수분균형은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유치도뇨관을 사용하는 대상자를 위해 필요.. 가능하다면 매일 3000㏄ 이상의 물을 마시게 함
② 식이요법 :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소변을 산성화시키는 예방법을 시행
③ 회음부 간호 : 일상적인 회음부 간호
④ 도뇨관과 배뇨관의 교환 - 임의로 일정기간마다 유치도뇨관으 교환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비효과적이며 수행해서도 안됨 ⇒ 꼭 필요 시 도뇨를 하고 유치도뇨관은 가능한 관제거
⑤ 대상자의 교육
- 대상자에게 중력배양법의 원칙과 폐쇄식 체계의 유지의 중요성을 교육
- 연결관과 배액주머니가 항상 방광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함과 도뇨관, 연결관 위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연결관이 둥근 고리모양으로 되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고 배액관 위에 눕는 것을 피해야 함을 교육
(5) 유치도뇨관의 제거
① 도뇨관 제거 전 며칠 간은 방광훈련을 시킴
② 대상자를 눕는 체위를 취하게 하여 도뇨관의 주입부위에 주사기의 바늘을 삽입하여 풍 선에서 용액을 뽑음
③ 그런 후 부드럽게 도뇨관을 빼내어 수집용기에 담음
④ 수건으로 회음부를 닦음
⑤ 배액주머니의 소변량을 측정하고 도뇨관의 제거에 대해 기록함
6) 유치도뇨관으로부터의 소변검사물 채취
- 패쇄식 체계에서 3㏄ 주사기에 21~25G의 멸균된 주삿바늘을 연결하여 배액관의 시작부 를 통해 1인치 정도 바늘을 삽입하여 무균상태의 소변검사물을 받을 수 있음
(7) 방광세척
① 폐쇄식 체계를 유지하면서 흡입부위로 용액을 주입하기
② 3-way도뇨관을 통해 세척하기(폐쇄식 체계)
③ 도뇨관과 배액관을 분리한 후 도뇨관을 통해 세척하기(개방식 체계)
4) 요로 전환술
(1) 경피 요관루 - 요관을 복벽이나 옆구리의 피부표면으로 당겨서 요관의 개구부를 만들어주는 시술
① 이중요관루 - 양쪽 요관을 피부 표면으로 당겨서 나란히 개구부를 형성
② 루프 요관루 - 요관을 허리의 피부표면에 루프식으로 당겨서 개구부를 형성
③ 경요관요관루 - 한쪽 요관을 다른 쪽 요관에 연결시킨 후 피부표면을 당겨서 개구부를 형성한 것
(2) 회장도관
- 회장의 일부를 절제하여 소변을 모으는 용기로 사용하는데, 절제된 회장의 한쪽 끝은 피부바깥으로 끌어당겨서 개구부를 만드고 다른 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