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장애 종류, 진단,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양극성 장애 종류, 진단,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병태생리

행동특성

종류 및 특징

경과 및 예후

치료

본문내용

이신장에 대한 효과이다. 때로는 세뇨관기능의 중등도의
심한 손상을 일으킬수 있고, 드물게는 신 증후군 까지도 일으킨다.이러한 많은 부작용들 때문에 리듐 치료시에는 신장 및 갑상선 상태에 대한 면밀하고 지속적인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 리듐은약리 작용이비교적 늦게나타나기 때문에haloperidol과 같은신경이완제나 benzodiazepine을 부가적으로 병용 투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흔히 있다. 오늘날 두가지 항경련제, 즉 cabamazepine과 valproate 가조증에 대한 치료 효과 뿐만 아니라 아마도 양극성 장애의 조증과 우울증 삽화에 대한 예방 효과 까지도 있다는 것이 증명됨으로써 리듐을 대신할 수 있는 가장 기대되는 약물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급속 순환성 장애를 가진 환자 또는 불쾌한 상태의 조증과 같이 리듐 단독 치료에 대해 잘 반응하지않는 경우라든지 또는 리듐에 의한 부작용을 견뎌 낼 수 없는 환자들의 경우 리듐의 보조약물로서 또는 대체 약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항경련제를 사용할 경우 역시 부작용들을 고려해야 하는데 carbamazepine의 경우는 진정작용, 구역질, 시야혼탁, 피부발진, 혈액질환 및 저나트륨혈증 등이 수반된다. valprate의 경우에는 비교적 독성 부작용이 적은 편이지만 위장관 증상,진전, 탈모, 체중증가 및 혈액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기타 치료 약물로는 아직은 그 효능이확증된 단계는 아니지만 verapamil이나 diltiazepam과 같은 칼슘차단 약물, clozapine과 같은 비정형 신경이완제 그리고 propranolol과같은 베타 수용체 차단약물 등이 현재 시험적으로 사용되고있다. 끝으로 전기경련요법이 있는데, 이것은상태가 심하거나 약물에 반응하지않는 경우 또는 기형 발생위험성 때문에 lithium, carbamazepine,valproate를 사용할 수 없는 임신초기의 심한 조증 환자의 경우에 또 다른 효과적인 대체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급성 우울증약간의 차이점을 제외하고 양극성 우울증의 약물치료는 주요우울장애의 치료와 대체로 비슷하다. 양극성 장애의 우울증은 전통적 항우울제를 사용할 경우 조증 또는 급속 순환성 장애를 유발할 위험성 때문에 이들약물을 사용할 때는 lithium또는기타 기분 안정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단극성우울증의 경우보다는 양극성 우울증에서 덜 효과적인 반면에 tranylcypromine과 같은 MAOIs가양극성 우울증에서 더욱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Lithium 유지치료 도중 우울증이 발생했을 경우 반드시lithium으로 유발된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는 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이러한 합병증이 없다는 것이 확인 될 경우 일시적으로 lithium 혈중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항우울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에는 항우울제에 의해 유발되는 조증 또는 급속 순환성의 위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우울증이 경감되자마자 즉시 투약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유지치료일반적으로 한 번 이상 재발했던 양극성 장애 환자의 경우 예방목적으로 유지치료가 바람직하다. 예방적 차원에서 유지 치료를 할 경우 사용 약물이 비교적 안전한 것인지, 이러한목적에 부함될 만한 효능이 확실히 있는지 또 재발했을 경우에 심각한 심리 사회적 문제들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염두에 두고 결정해야 한다. 유지치료의 선택 약물은 조증 및 우울증 삽화 모두의 재발 빈도, 심한 정도, 그리고 지속기간을 감소 시키는 효능이 있는것으로 확증된 lithium이 가장 바람직하다. Lithium으로 유지 치료를 할 경우에는 표준 유지 혈중농도를0.8 - 1.0 mEq/L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낮은 0.4 - 0.6 mEq/L 의 경우보다 더 효과적이다. Lithium으로 성공적인 유지 치료를 하다가 중단할 경우에는 오히려 재발률이 더욱 높아 질수가 있고, 또 lithium 재치료에 대한 반응도 나쁠 수가 있기 때문에 lithium유지 치료를 중단해야 할 경우에는 이러한 점들을 염구에 두고 신중하게 결정을 내려야 한다. 장기 유지치료에 있어 cabamazepine 이나 valproate와 같은 항경련제들의 임상적 효능에 대해서는 상당한 기대를 할 만하지만아직 그 효능이 확정된 단계는아니다. 그러나 임상적 견지에서 볼 때 많은 환자들이 lithium과 이 들항경련제를 병용해서 유지치료 했을 때 상당한 효과를 보는 것 같다.

키워드

양극성장애,   조증,   우울증,   경과,   예후,   치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4.1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