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핵균의 감염경로
1) 호흡기 감염
2) 소화기 감염
3) 피부감염
4) 인후편도선 감염
2. BCG에 대해 정의하고 Tbc 반응검사의 목적, 방법그리고 결과판독법
1)BCG의 정의
2)Tbc 반응검사
① Tbc반응 검사의 목적
② Tbc반응 검사의 방법
③ 결과판독법
3.결핵환자에게서 사정할내용과 결핵의 진단검사방법
① 주관적 자료
② 객관적 자료
1) 호흡기 감염
2) 소화기 감염
3) 피부감염
4) 인후편도선 감염
2. BCG에 대해 정의하고 Tbc 반응검사의 목적, 방법그리고 결과판독법
1)BCG의 정의
2)Tbc 반응검사
① Tbc반응 검사의 목적
② Tbc반응 검사의 방법
③ 결과판독법
3.결핵환자에게서 사정할내용과 결핵의 진단검사방법
① 주관적 자료
② 객관적 자료
본문내용
인 호흡기도 기도유지의 효율성
치료양상
--> 결핵의 지속적이고 국소적인 천명음은 이물질 (객담) 에 대한 기관지의 부분적인 폐쇄가 나타난다.
2) 결핵의 진단검사방법
① 임상증상
i)초감염결핵
-대부분은 무증상이고 소수에서 불쾌감, 발열 등의 전신 증상이있으나 경미하다.
-드물게 결절성 홍반, 소수포성 결막염 등의 알레르기 증상도나타난다.
ii)성인결핵
- 상당히 진행할 때까지도 전혀 증상이 없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증상은 크게 전신적인 증상과 호흡기 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
- 전신증상은 발열, 식은 땀, 피로감, 식욕부진, 완만한 체중감소 등으로 서서히 발생한다.
-호흡기 증상은 기침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처음에는 마른기침으로 시작하지만 곧 객담이 나오고 때로는 혈담도 보인다.
-객혈은 대개소량이며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학적 소견상 특이소견이 없는 경우가 많다.
② 흉부방사선소견 (X-ray검사)
- 정상적인 폐와 폐주위 구조를 본다.
- 전측조사법(laternal view)으로 보통 결핵을 발견하기 위해 행하여진다.
폐첨 (apex)부위를 잘보기 위한 방사법이다.
- 간호중재 - 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 허리위의 웃옷은 벗고 면가운으로 갈아입도록 하고
미리 방사선 활영복으로 갈아입힌다.
- 금속물질은 미리 제거하게 한다.
- X ray 찍을 동안 깊은 숨을 k들이마신 채 참고 있어야 한다고 교육한다.
③ 객담 결핵균 검사
i) 도말검사
- 가래를 받아서 결핵균을 염색하는 단계를 거치고 현미경으로 결핵균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적어도 객담 1ml 중 50000 내외의 균이 함유되어있을 필요
- 양성: 현미경상으로 결핵균이 보인다는 뜻
★최소한 2회 이상의 가래검사를 하여야 검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ii)배양검사
- 가래를 받아 결핵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2개월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 결핵균이 자라는지 자라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10-20개의 균이 함유되어 있으면 검출된다.
- 양성: 균이 있어 그것이 자란다, 즉 살아 있다는 뜻
iii)간호중재
-환자에게 가래수집 과정을 설명
(기침하여 폐로부터 나오는 가래를 수집해야한다는 것가 침과가래구분법을 설명)
- 가래가 수집될때까지 항생제 사요을 금한다.
- 환자가 밤사이 폐에 고여있던 가래를 아치멩 일어나서 받을 수있도록 가래검체가 수집되기 전낙밤에 무균
치료양상
--> 결핵의 지속적이고 국소적인 천명음은 이물질 (객담) 에 대한 기관지의 부분적인 폐쇄가 나타난다.
2) 결핵의 진단검사방법
① 임상증상
i)초감염결핵
-대부분은 무증상이고 소수에서 불쾌감, 발열 등의 전신 증상이있으나 경미하다.
-드물게 결절성 홍반, 소수포성 결막염 등의 알레르기 증상도나타난다.
ii)성인결핵
- 상당히 진행할 때까지도 전혀 증상이 없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증상은 크게 전신적인 증상과 호흡기 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
- 전신증상은 발열, 식은 땀, 피로감, 식욕부진, 완만한 체중감소 등으로 서서히 발생한다.
-호흡기 증상은 기침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처음에는 마른기침으로 시작하지만 곧 객담이 나오고 때로는 혈담도 보인다.
-객혈은 대개소량이며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학적 소견상 특이소견이 없는 경우가 많다.
② 흉부방사선소견 (X-ray검사)
- 정상적인 폐와 폐주위 구조를 본다.
- 전측조사법(laternal view)으로 보통 결핵을 발견하기 위해 행하여진다.
폐첨 (apex)부위를 잘보기 위한 방사법이다.
- 간호중재 - 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 허리위의 웃옷은 벗고 면가운으로 갈아입도록 하고
미리 방사선 활영복으로 갈아입힌다.
- 금속물질은 미리 제거하게 한다.
- X ray 찍을 동안 깊은 숨을 k들이마신 채 참고 있어야 한다고 교육한다.
③ 객담 결핵균 검사
i) 도말검사
- 가래를 받아서 결핵균을 염색하는 단계를 거치고 현미경으로 결핵균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적어도 객담 1ml 중 50000 내외의 균이 함유되어있을 필요
- 양성: 현미경상으로 결핵균이 보인다는 뜻
★최소한 2회 이상의 가래검사를 하여야 검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ii)배양검사
- 가래를 받아 결핵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2개월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 결핵균이 자라는지 자라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10-20개의 균이 함유되어 있으면 검출된다.
- 양성: 균이 있어 그것이 자란다, 즉 살아 있다는 뜻
iii)간호중재
-환자에게 가래수집 과정을 설명
(기침하여 폐로부터 나오는 가래를 수집해야한다는 것가 침과가래구분법을 설명)
- 가래가 수집될때까지 항생제 사요을 금한다.
- 환자가 밤사이 폐에 고여있던 가래를 아치멩 일어나서 받을 수있도록 가래검체가 수집되기 전낙밤에 무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