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정이 필요하다. 1) 흔히 바이러스의 존재가 의심되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직접 또는 간접 면역형광염색하여 확인한다. 2) 혈청형이 많은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중화검사, 적혈구응집억제검사 또는 보체결합검사를 시행한다. 3) Rhinovirus의 세포병변효과는 자라는 속도가 다소 늦기는 하지만 enterovirus와 비슷하며 산(acid)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 Rhinovirus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흔히 산 감수성검사 (acid sensitivity test)를 시행한다. 4) 최근에는 비록 세포병변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일지라도, 검체를 접종하고 2-3일이 지난 후, 세포병변이 나타나기 전에,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로써 면역형광염색하여 조기에 검출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