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내 놀이 환경
1) 실내 놀이 환경 구성의 원리
2) 실내 놀이 환경 공간 배치
2. 실외 놀이 환경
1) 실외 놀이의 교육적 의의
2) 실외 놀이 공간 구성
1) 실내 놀이 환경 구성의 원리
2) 실내 놀이 환경 공간 배치
2. 실외 놀이 환경
1) 실외 놀이의 교육적 의의
2) 실외 놀이 공간 구성
본문내용
와 함께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게 된다. 실외에서 사용되는 커다란 시설들은 유아들의 손으로 움직이기가 어려우므로, 작은 소품들을 준비해 주는 것이 더욱 더 필요하다.
(1) 위치 및 면적
실외 놀이 공간의 위치는 실내 놀이에서 실외 놀이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기 위해 실내 놀이 공간과 인접하도록 설계하며, 공간의 면적은 유아 1인당 2.5㎡(유아교육진흥법 시행령)가 적당하다. 또한 울타리를(1m 50cm) 쌓아 학습 환경의 경계를 제공하여 유아가 놀이터 주변의 상황에 의해 방해받는 일 없이 안전하게 놀이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한다.
(2) 형 태
실외 놀이 공간의 형태는 유아의 안전과 교사의 편의성을 위해 교사의 주의가 미치지 못하는 곳이 없도록 장방형 또는 정방형 ㄴ자 형태가 바람직하다.
(3) 실외 놀이 공간 배치
실외 놀이 환경에 어떤 시설이 있느냐 또 어떻게 배열되어 있느냐에 따라 유아의 놀이 행동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유아들의 다양한 운동 능력 증진뿐만 아니라 스스로 환경을 탐색하고 새로운 것을 찾고 발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또한 좋은 실외 놀이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시설 및 설비를 보완하고 재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김성순, 1998).
실외놀이 공간 배치는 면적의 약 1/3은 정적 활동 영역으로, 그 나머지 영역은 테라스와 동적 활동 영역으로 배당되어야 하며(Decker & Deck-er, 1992), 정적 활동 영역은 동적 활동 영역과 떨어져 있게 배치하여 활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정적 활동 영역 근처는 낮은 관목을 심어 경계를 만들어 줄 수 있다.
(1) 위치 및 면적
실외 놀이 공간의 위치는 실내 놀이에서 실외 놀이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기 위해 실내 놀이 공간과 인접하도록 설계하며, 공간의 면적은 유아 1인당 2.5㎡(유아교육진흥법 시행령)가 적당하다. 또한 울타리를(1m 50cm) 쌓아 학습 환경의 경계를 제공하여 유아가 놀이터 주변의 상황에 의해 방해받는 일 없이 안전하게 놀이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한다.
(2) 형 태
실외 놀이 공간의 형태는 유아의 안전과 교사의 편의성을 위해 교사의 주의가 미치지 못하는 곳이 없도록 장방형 또는 정방형 ㄴ자 형태가 바람직하다.
(3) 실외 놀이 공간 배치
실외 놀이 환경에 어떤 시설이 있느냐 또 어떻게 배열되어 있느냐에 따라 유아의 놀이 행동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유아들의 다양한 운동 능력 증진뿐만 아니라 스스로 환경을 탐색하고 새로운 것을 찾고 발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또한 좋은 실외 놀이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시설 및 설비를 보완하고 재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김성순, 1998).
실외놀이 공간 배치는 면적의 약 1/3은 정적 활동 영역으로, 그 나머지 영역은 테라스와 동적 활동 영역으로 배당되어야 하며(Decker & Deck-er, 1992), 정적 활동 영역은 동적 활동 영역과 떨어져 있게 배치하여 활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정적 활동 영역 근처는 낮은 관목을 심어 경계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추천자료
가정원예
보육시설 기관설립절차 및 환경구성
환기시스템에 대하여
보조 공학 기기
[아동복지]영아보육시설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운영방법에 대한 고찰
매스티지 브랜드 전략 -공기청정기 “청풍”을 중심으로
어린이집 방문기
유치원 교육 & 입지 및 시설계획의 이해
만5세 기준의 보육교사의 역할과 환경구성
[놀이지도B]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유아들을 위한 놀이터를 만든다면 어떻게 설계할 수 있...
보육과정 안전한 생활
텃밭이나 숲이 없는 유아교육시설에서 생태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한 실내외 환경에 대해 생...
아동건강교육
영유아교수방법론)유아교육기관에서의 환경구성은 영유아들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고 놀이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