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대화(채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대화(채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채팅의 장단점
1) 채팅의 장점
2) 채팅의 단점

2 채팅 어휘
1) 유아화
2) 단순화
3) 시각화
4) 혼종화
5) 은어화
6) 비속화

3 글말 의사소통
1) 글말
2) 짝짓기 대화 구조

4 영어 통신어

5 채팅의 개선점 및 지켜야할 점

본문내용

말해, 이들의 일탈이 의미 있는 일탈이 아니라는 것이다.
자기 정체성 회피의 욕구는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의 버거운 책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로서, 이러한 경향은 유아로의 회귀나 바보로의 탈출 등으로 나타난다.
창조는 주로 감각적인 표현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영어, 숫자, 한글, 기호를 활용한 다양한 표기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호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이라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역으로 글자가 단순히 시각 기호화하는 현상이라는 측면도 있다. 다시 말해, 창조도 일탈과 마찬가지로 의미 중심의 창조가 아니라 단순히 시각과 청각이라는 감각 중심의 창조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며, 글자를 의미의 매개체가 아니라 소리나 시각의 대상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채팅 어휘의 양상을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 유아화
유아화는 말을 배우기 시작하여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 유아처럼 어휘를 사용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대체로 유아 어휘의 사용, 어리광스러운 표현, 저능아처럼 발음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① 유아 어휘 사용
유아의 어휘 사용은 채팅 언어의 전반적인 경향이지만, 특히 초등학생이나 중학생과 같이 연령층이 낮을수록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요즘 우리 사회에서 ‘어머니, 아버지’라는 호칭이 점점 사리지고 ‘엄마, 아빠’라는 유아어가 거의 대다수를 이루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까꽁, 까까, 엉아(형아), 아찌(아저씨), 언냐(언니야), 업-(오빠),
② 문말의 유성 자음 받침화
문말의 유성 자음 받침화는 문말 음절의 받침을 ‘ㅇ’이나 ‘ㅁ’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받침은 코멩멩이 소리나 어리광스러운 소리처럼 들리게 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가쓸깡, 갈케죠잉, 거랭(그래), 군딩(근데), 널장(놀다), 넹(네), 누낭(누나), 들어용(들어와요)
머르는뎅-모르는데, 머시땅-멋있다, 머양-뭐야, 멀랑-몰라, 모장-모자, 모징-뭐지
바부텅-바보, 무서벙-무서워, 미옹-미워, 몰게땅-모르겠다, 보이징-보이지
사귀야징-사귀어야지, 슬프당-슬프다, 아빵-아빠, 싫당-싫다, 어렵종-어렵지, 왜그랭-왜 그래
있었는뎅-있었는데, 장하당-장하다, 인갑당-인가보다, 오빵-오빠, 외롭당-외롭다, 미옹-미워
쥐겅-죽어, 저용-저요, 했는뎅-했는데
가지셈-가지세요, 구러세염-그러세요, 나얌-나야, 내꼬얌-내거야, 내꾸얌-내거야, 넴-네
누구셈-누구세요, 되셈-되세요, 드셈-드세요, 띰띰해염-심심해요, 머그셈-먹어요
뭐하셈-뭐하세요, 안냐세염-안녕하세요, 어솨염-어서와요, 주무셨오옴-주무셨어요
주셈-주세요, 즐팅하세염-즐팅하세요
③ 저능아어화
저능아어화란 일종의 의식적인 비정상화이다. 의식적인 비정상화란 특별한 이유 없이 그냥 재미삼아서 혹은 웃기게 보이기 위해서 비정상적인 표현을 하는 경우이되 그것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비정상적인 표현은 대체로 발음을 제대로 배우지 못했거나 지능지수가 낮은 저능아를 흉내내려는 표현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현상은 기성 규칙에 대한 반발로 보이는데, 이러한 반발에는 어떤 사고나 의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재미삼아서’ 일탈하는 것으로 보인다.
단모음의 복모음화 표기도 마치 발음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저능아와 같은 이상 발음자처럼 표현하고자 한다는 뜻에서 의도적인 비정상화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겅듀(공주), 금뒤(금지), 듀금(죽음), 듄뷔(준비), 문뒈(문제)
놔그네(나그네), 감솨(감사), 솨탕(사탕), 눼(네), 어마뉘(어머니), 할모뉘(할머니)
구개음화를 일부러 역행하려 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 다음과 같은 현상들도 발음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바보같은 발음을 흉내낸다는 점에서 바보화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대체로 ‘ㅅ -> ㄷ’ 과 ‘ㅈ -> ㄷ’ 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따람(사람), 따랑(사랑), 띰띰해(심심해), 버뚜(버스), 따우지마(싸우지마), 불땅(불쌍)
띤구(친구), 디따(진짜), 디굼(지금), 다갸(자기야), 덩말(정말), 꼬도(꺼저)
일반적으로는 바보처럼 행동하는 것은 텔레비전의 코미디 프로그램에 자주 등장한다. 채팅어의 바보화 현상은 상당 부분 텔레비전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텔레비전과 채팅은 서로 경쟁적으로 바보스러운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텔레비전의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언어의 바보화를 사용하는 것은 기성의 가치와 질서에 대한 반발 의식의 의도적인 발로라는 측면이 있는 반면 채팅에서의 바보화 현상은 특별한 의도가 작용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러한 저능아어화 현상은 영어의 표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땅쑤(땡큐), 아뚜꾸림(아이스크림), 키쭈(키스), 할룽, 꼰설(콘서트), 칼쭈마(카리스마)
♣ 단순화
단순화는 대체로 구어화의 영향을 받아 구어처럼 축약 혹은 단모음화 하거나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려는 현상과, 의도적으로 음절 수를 줄이거나 축약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는 대체로 시각적으로 낯설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적인 효과를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① 구어화
구어에서 축약되는 것들은 대부분 축약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채팅이 글쓰기보다는 말하기에 가깝기 때문이다. 구어화에는 구어와 마찬가지로 ‘ㅎ’ 소리 탈락 현상도 포함된다.
쌈-싸움, 선생님-샘, 게임-겜, 글구-그리구, 글고-그리고, 첨-처음, 담-다음, 낼-내일
울-우리, 암-아무, 걍-그냥, 땜-때문, 뱅기-비행기, 쫌만-조금만, 괌 - 고함
글군 - 그렇군, 글구나 - 그렇구나, 굴두 - 그래도, 굴서-그래서, 굴지마-그러지마
구어화에는 받침의 탈락과 단순화도 포함된다. 이는 타이핑의 경제성도 함께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많이-마니, 싫어-시러 글케-그렇게, 글쿠나-그렇구나, 글쿤-그렇군
어떻게-어또케/어케, 해놓고-해너코
②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위한 축약
일부러 복모음화 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소리로 만드는 것은 낯설게 함으로써 청각적 강화를 위한 것이며,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를 함께 노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격-기억, 드뎌 - 드디어, 라됴 - 라디오, 뷘 - 부인, 쥔 - 주인
어솨 - 어서와,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4.28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