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지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 영역에서 영국의 4대권역(스코틀랜드, 웨일즈, 아일랜드, 잉글랜드) 별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지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 영역에서 영국의 4대권역(스코틀랜드, 웨일즈, 아일랜드, 잉글랜드) 별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연합왕국 영국

2. 영국의 자연지리
(1)영국의 자연지리
1)잉글랜드
2)웨일즈
3)스코틀랜드
4)아일랜드
(2)영국의 기후

3. 영국의 산업 및 경제
(1)잉글랜드
(2)웨일즈
(3)스코틀랜드
(4)아일랜드

4. 영국의 사회
(1)언어
(2)종교
(3)교육
(4)인구 및 생활

5. 영국의 정치
(1)영국의 역사
(2)각 권역별 정치제도
(3)국기

6. 영국의 문화
(1)전통음식
(2)주거형태
(3)전통축제
(4)전통의상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282년 에드워드 1세와의 싸움에서 패배함으로써 웨일즈의 왕국은 사라지고 말았다. 웨일즈는 본토와 변토로 나누어졌으며, 에드워드 1세는 장남을 프린스 오브 웨일스에 봉하고 본토를 그 영지로 삼았다. 영국 왕의 장남에게 주어지는 프린스 오브 웨일즈라는 칭호는 그때부터의 관행에서 연유한다. 웨일즈 고유의 언어 ·관습 ·문화는 그 후에도 잉글랜드와의 합병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변토지역에서는 그 동안에도 웨일즈인의 반항이 계속되었다. 특히 프린스 오브 웨일스라고 자칭한 O.글렌다우어의 난이 유명한데, 결국 랭카스터가의 헨리 4세에 의하여 진압되고 말았다. 15세기 후반 장미전쟁 때 웨일즈인은 웨일즈의 명문 튜더가의 혈통을 이은 헨리 7세를 지지하였다. 1536년 잉글랜드와의 합병으로 전 웨일즈 영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잉글랜드어가 공용어로 정해지고, 많은 웨일즈 관습법이 폐지되었다. 합병 후 영국 국회에서 웨일즈를 대표하였던 지주층은 18세기 이후에도 국교회에 머물렀고, 일반 대중은 머서디스트계(감리회)의 비국교도가 되었다. 1920년 웨일스 문제를 옹호하는 D.L.조지 등의 자유당에 의하여 웨일스 교회는 국교회의 범위 밖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20년대말 이후의 불황을 계기로 웨일즈는 노동당의 변함없는 기반이 되고 있다.
3)스코틀랜드 역사
처음에는 픽트인과 스코트인으로 대별되는 켈트계 부족들의 소왕국이 몇 개 있었으나 11세기까지 스코트인의 지배하에 있는 통일왕국이 수립되어 점차 주변 부족들을 병합하였으며, 15세기에는 오크니 제도와 헤브리디스 제도도 스코틀랜드의 일부가 되었다. 그동안 잉글랜드와의 항쟁이 계속되었으나 13세기의 스코틀랜드 왕 알렉산더 2세·3세 시대에 현재와 거의 같은 경계선이 확립되고 정치적·경제적 안정을 이루었다. 스코틀랜드인은 흔히 이 시기를 자국의 황금시대로 간주한다. 그러나 그 후에도 잉글랜드와의 항쟁은 계속되었으며, 그 사이사이에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2세에 대한 1313∼1314년의 독립전쟁의 승리, 1503년 제임스 4세와 잉글랜드 왕 헨리 7세의 딸 마거릿과의 결혼, 1567년의 메리 여왕의 처형 등과 같은 큰 사건들이 일어났다. 그러다가 1603년에 잉글랜드 왕 엘리자베스 1세가 죽자, 메리의 아들 제임스 6세가 혈통에 따라 잉글랜드 왕을 겸하게 되어(제임스 1세), 양국의 동군연합관계가 성립하였다. 시민혁명 당시에는 크롬웰에 의한 스코틀랜드 정복도 있었으나, 명예혁명 후인 1707년에 양국의 의회가 통합되고, 이에 양국은 연합왕국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4)아일랜드 역사
B.C. 6000년 중석기시대 영국으로부터 건너온 수렵인의 최초 정착해서 B.C. 6세기부터 중부유럽에서 이주해온 라틴문명의 켈트족이 정착자를 제압하고 애란인종을 형성하였다. 9세기경부터 바이킹 침입, 약탈당했고 12세기 중엽, 영국의 헨리 2세, 아일랜드 본토 침입, 지배 시작하였다. 17세기 초 영국, 아일랜드북부 Ulster 지방에 신교도 대량 이주정책 착수한 것이 북아일랜드 분쟁의 불씨가 되었다. 1653년 영국, 아일랜드전체 식민지화, 구교도에 대한 토지박탈되고 1801년 영국, 아일랜드 합병하였다. 1919-1921년간 영국. 아일랜드 전쟁한 뒤, 1922년 아일랜드 독립하게 되고 북아일랜드는 영국령으로 존속되었다. 1932년 FF(Fianna Fail)당 총선에서 집권하고 1937년 국민투표를 통해 아일랜드 자주, 독립, 민주국으로 선언하는 신헌법 제정하였다. 국호를 Eire로 개칭, 주권 독립국가가 되었다. 1948년 영연방으로부터 완전이탈하고 1955년에는 UN 가입, 1973년에는 구주공동체(EC) 가입하였다. 1997년 6월총선결과 FF 당과 PD 당간 연립정부 수립국을 세웠다.
(2)각 권역별 정치제도
1)영국의 정치
영국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원은 26명의 성직귀족, 1147명의 세속귀족, 그리고 고등법원 판사 중 대법관으로 임명된 종신 귀족인 23명의 법률귀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실제 상원에 출석하는 의원수는 100명에서 300명 정도이다. 모든 볍률안은 원칙적으로 상원과 하원을 통과하여야 하지만, 하원은 상원의 동의를 얻지 못하더라도 1년 후에는 국왕의 재가를 요청할 수 있어서 입법권에 있어서 하원우위 원칙은 확고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원은 민사사건은 영국 전체를 통괄하고 형사사건은 스코틀랜드를 제외한 지역을 총괄하는 대법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원의원은 보수가 없으며, 다만 회기중 교통비로 31파운드와 사무용품비로 30파운드를 받을 뿐이다.
하원은 보통선거와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2001년 6월 총선시의 경우에 659개 지역 선거구에서 각 1명씩 의원이 선출된다. 잉글랜드 529명, 웨일즈 40명, 스코틀랜드 72명, 북아일랜드 18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원의원의 임기는 5년이나 보통 임기 전에 해산되고 총선이 실시된다.
2)잉글랜드 정치
영국정부가 지역발전기구와 지역연합체를 잉글랜드 지역에 설립한 것은 1998년 북아일랜드, 1999년 스코틀랜드와 웨일스, 2000년 런던의 분권화 움직임과 궤를 같이 한다. 지역발전기구는 1999년과 2000년에, 지역협의체는 1998년과 1999년에 설립되었다. 1997년 이후 노동당 정부가 집권하고 나서 이러한 지역분산과 분권화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영국 노동당 정부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역정책 추진체계를 개편하였다. 영국정부는 지역관련정책의 원활한 조정과 통합을 위하여 2000년에 부부상실 산하에 지역조정국을 신설하였다. 지역조정국은 지역청을 관할하고 있으며, 지역관련시책을 합리화하고 통합하여 지역정책의 효과를 배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환원하면, 지역관련시책들이 여러 부처의 공동작업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역조정국은 이들 정책들이 적절히 계획, 입안되고 수행되도록 부처간의 조정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영국정부는 중앙정부 기능이 지역차원에서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국정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성과에 기초한 예산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3)웨일즈 정치
지방행정단위는 1972년 지방행정법(1974년 4월 시행)에 따라 클루이드·디버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4.2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