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개선시켰다. 이러한 치료로 수개월 동안 잘 기능하는 신장에서도 급성 비가역적 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지만 거부반응에 의한 이식신소실율은 첫 1년 이후에는 많이 줄어들며, 특히 환자가 면역억제제 복용을 소홀히 할 때 이런 일들이 일어난다. 최근 수년간 결과는 환자의 이환율의 감소, 즉 어떤 센터에서는 사망률이 5%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향상은 심한 거부반응 시 환자보다는 이식신을 잃도록 이식팀에 따라 면역억제제의 용량을 줄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이식도 시행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성공률은 첫 번 이식보다 10~20% 정도 낮아진다. Cyclosporine도 재이식 시 증가된 거부반응의 위험성을 낮추지 못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신이식은 대부분의 환자를 거의 정상적인 생활로 회복시킬 수 있다.
말기 신장질환에 대한 치료는 의료보장프로그램에 의해서 커버되며 신장이식환자에게 드는 돈은 투석환자에게 드는 비용의 1/3로 나타난다. 신장이식은 사람들에게 정상적인 생활양식을 가능케 해주고 안녕감이 증가되며 투석환자보다 더 자유로운 투약과 식이가 허용된다. 신장이식은 환자에게 대단한 독립감을 주며 사회심리적 문제 또한 완화되거나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복술laparotomy
19세기 이후 발달된 의술이다. 목적한 장기에 따라 절개법은 다르나, 복벽조직의 해부학적 구조나 특질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조직의 손상은 되도록 피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하여 정중선상의 세로절개가 유리하다. 복벽은 피부·근육·복막으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피부와 근육을 절개할 뿐, 복막)을 절개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복술이라고 하지 않는다.
복막천자술Paracentesis
목적 복수액을 채취하여 진단하기 위함이다. 복수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복막투석, 수술 등의 다른 시술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혈액, 농, 담즙, 세균(그람염색), 아밀라아제를 파악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급성 혈관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세포독성 항체를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제거함으로서 거부반응을 치료하는 것. 약 2~5L의 혈장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나 5%알부민 용액 등으로 대치하는 치료법. plasma exchange라고 할 수 있다.
자가면역 항체나 면역복합체, 고분자량의 단백이나 이와 결합된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혈액 투석법으로는 불가능한 거대분자량을 지닌 독성물질이나 특히 단백과 결합된 병적 물질을 제거해 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
기관절개술tracheotomy
경부의 앞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그 곳에 기관 카눌라를 삽입하여 기관강과 외기를 연결한다. 원래는 상부 기도, 특히 인두 ·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 때문에 일어난 호흡곤란에 시술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그 밖에도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객출되지 않는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도 시술되고 있다. 기관을 절개할 때에는 갑상선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데, 기관이 얕은 곳에 있어서 수술이 용이한 상기도절개와 기관이 깊은 곳에 있어서 갑상선을 손상할 우려가 적은 하기관 절개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전자는 주로 성인에게 후자는 주로 어린이에게 시술된다.
요로전환술Urinary Diversion
요로전환술이란 방광으로부터 소변의 흐름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소변이 방광을 거쳐 요도로 배설될 수 없을 때 요 배설통로 및 개구부를 복부 밖으로 만드는 수술을 말한다. 요로 전환술은 방광암으로 부분적 또는 전 방광절제술 환자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고, 그 외에 요로의 기계적 폐색, 방광 적출술, 신우의 악성종양, 선천성 이상, 신경인성 방광, 신기능이 감소하는 만성 요로감염, 요관, 방광 및 요도외상 환자에게 실시한다. 요로전환은 인공적으로 복부밖에 만들어진 요 배설통로이기 때문에 요로전환술은 인공 뇨 개구부로 사용할 수 있는 장기가 무엇이고 신기능 상태, 비만정도, 체격, 환자의 연령 및 환자의 수용과 자가간호에 대한 능력 등에 따라 결정한다.
폐절제술pneumonectomy
폐결핵 ·폐암 ·폐화농증 등의 국한된 병소에 대하여 행해지는 수술.
개흉술thoracotomy
흉강절개술이라고도 한다. 흉강은 횡격막으로 복강과 경계를 이루며, 종격에 의하여 좌우 흉강으로 나뉘어 있다. 종격은 그 안에 심장 ·대혈관 ·기관 ·식도 등 중요한 장기를 간직하고 있으며, 좌우의 흉강 안에는 폐가 있다. 흉강 안에 있는 장기는 외상을 입는 경우도 있고, 또 여러 질병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외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또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흉강을 절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흉강은 늑골을 절제하지 않더라도 늑골과 늑골 사이에 있는 근육을 잘라서 절개할 수가 있다. 그런데 흉강 안은 호흡상태 여하에 관계없이 항상 대기압보다 음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흉과 동시에 폐가 오그라들고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흉강의 내면은 2매의 늑막(흉벽늑막과 폐늑막)으로 덮여 있으며, 생리적으로 폐와 흉벽 사이에는 좁은 공간이 있다. 늑막염을 앓은 사람은 늑막이 유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흉을 하더라도 폐가 급격히 오그라들지 않으므로 호흡곤란을 느끼지 않는다.
심판막절개술valvotomy
결손을 교정하고 적절한 개폐를 유지하기 위해 심장의 판막을 절개함.
판성형술valvuloplasty
판막성형술의 핵심은 기능부전이 온 판막조직을 제거하지 않고 다듬어서 다시 사용한다는 것으로 예를 들어 판막의 갈라진 부위가 융합되어 생긴 판막협착의 경우에는 융합된 부위를
절개하여 판막이 제대로 열리도록 시도할 수 있으며, 폐쇄부전의 경우에도 변형된 판막의 모양을 교정하거나 판막링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판막을 보강해 줌으로써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인공판막치환술에 따른 갖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커다란 장점이지만, 모든 판막질환에 다 적용될 수는 없어 선택된 환자에서만 시행되고, 수술 후에도 재발의 가능성이 있다.
뇌실복막 단락술ventriculoperitoneal shunt
뇌척수액의 흐름을 뇌실에서 몸 안의 다른 부위, 주로 복강내 나 심방라 불리는 심장의 한 부분으로 바꿔준다.
말기 신장질환에 대한 치료는 의료보장프로그램에 의해서 커버되며 신장이식환자에게 드는 돈은 투석환자에게 드는 비용의 1/3로 나타난다. 신장이식은 사람들에게 정상적인 생활양식을 가능케 해주고 안녕감이 증가되며 투석환자보다 더 자유로운 투약과 식이가 허용된다. 신장이식은 환자에게 대단한 독립감을 주며 사회심리적 문제 또한 완화되거나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복술laparotomy
19세기 이후 발달된 의술이다. 목적한 장기에 따라 절개법은 다르나, 복벽조직의 해부학적 구조나 특질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조직의 손상은 되도록 피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하여 정중선상의 세로절개가 유리하다. 복벽은 피부·근육·복막으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피부와 근육을 절개할 뿐, 복막)을 절개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복술이라고 하지 않는다.
복막천자술Paracentesis
목적 복수액을 채취하여 진단하기 위함이다. 복수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복막투석, 수술 등의 다른 시술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혈액, 농, 담즙, 세균(그람염색), 아밀라아제를 파악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급성 혈관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세포독성 항체를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제거함으로서 거부반응을 치료하는 것. 약 2~5L의 혈장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나 5%알부민 용액 등으로 대치하는 치료법. plasma exchange라고 할 수 있다.
자가면역 항체나 면역복합체, 고분자량의 단백이나 이와 결합된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혈액 투석법으로는 불가능한 거대분자량을 지닌 독성물질이나 특히 단백과 결합된 병적 물질을 제거해 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
기관절개술tracheotomy
경부의 앞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그 곳에 기관 카눌라를 삽입하여 기관강과 외기를 연결한다. 원래는 상부 기도, 특히 인두 ·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 때문에 일어난 호흡곤란에 시술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그 밖에도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객출되지 않는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도 시술되고 있다. 기관을 절개할 때에는 갑상선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데, 기관이 얕은 곳에 있어서 수술이 용이한 상기도절개와 기관이 깊은 곳에 있어서 갑상선을 손상할 우려가 적은 하기관 절개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전자는 주로 성인에게 후자는 주로 어린이에게 시술된다.
요로전환술Urinary Diversion
요로전환술이란 방광으로부터 소변의 흐름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소변이 방광을 거쳐 요도로 배설될 수 없을 때 요 배설통로 및 개구부를 복부 밖으로 만드는 수술을 말한다. 요로 전환술은 방광암으로 부분적 또는 전 방광절제술 환자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고, 그 외에 요로의 기계적 폐색, 방광 적출술, 신우의 악성종양, 선천성 이상, 신경인성 방광, 신기능이 감소하는 만성 요로감염, 요관, 방광 및 요도외상 환자에게 실시한다. 요로전환은 인공적으로 복부밖에 만들어진 요 배설통로이기 때문에 요로전환술은 인공 뇨 개구부로 사용할 수 있는 장기가 무엇이고 신기능 상태, 비만정도, 체격, 환자의 연령 및 환자의 수용과 자가간호에 대한 능력 등에 따라 결정한다.
폐절제술pneumonectomy
폐결핵 ·폐암 ·폐화농증 등의 국한된 병소에 대하여 행해지는 수술.
개흉술thoracotomy
흉강절개술이라고도 한다. 흉강은 횡격막으로 복강과 경계를 이루며, 종격에 의하여 좌우 흉강으로 나뉘어 있다. 종격은 그 안에 심장 ·대혈관 ·기관 ·식도 등 중요한 장기를 간직하고 있으며, 좌우의 흉강 안에는 폐가 있다. 흉강 안에 있는 장기는 외상을 입는 경우도 있고, 또 여러 질병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외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또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흉강을 절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흉강은 늑골을 절제하지 않더라도 늑골과 늑골 사이에 있는 근육을 잘라서 절개할 수가 있다. 그런데 흉강 안은 호흡상태 여하에 관계없이 항상 대기압보다 음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흉과 동시에 폐가 오그라들고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흉강의 내면은 2매의 늑막(흉벽늑막과 폐늑막)으로 덮여 있으며, 생리적으로 폐와 흉벽 사이에는 좁은 공간이 있다. 늑막염을 앓은 사람은 늑막이 유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흉을 하더라도 폐가 급격히 오그라들지 않으므로 호흡곤란을 느끼지 않는다.
심판막절개술valvotomy
결손을 교정하고 적절한 개폐를 유지하기 위해 심장의 판막을 절개함.
판성형술valvuloplasty
판막성형술의 핵심은 기능부전이 온 판막조직을 제거하지 않고 다듬어서 다시 사용한다는 것으로 예를 들어 판막의 갈라진 부위가 융합되어 생긴 판막협착의 경우에는 융합된 부위를
절개하여 판막이 제대로 열리도록 시도할 수 있으며, 폐쇄부전의 경우에도 변형된 판막의 모양을 교정하거나 판막링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판막을 보강해 줌으로써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인공판막치환술에 따른 갖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커다란 장점이지만, 모든 판막질환에 다 적용될 수는 없어 선택된 환자에서만 시행되고, 수술 후에도 재발의 가능성이 있다.
뇌실복막 단락술ventriculoperitoneal shunt
뇌척수액의 흐름을 뇌실에서 몸 안의 다른 부위, 주로 복강내 나 심방라 불리는 심장의 한 부분으로 바꿔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