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DTV와 HDTV 카메라의 특성
(1) HDTV란 무엇인가?
(2) HDTV의 기본특성
(3) HDTV 카메라의 기술적 특성
(4) 화면 교체방식
(5) HD TV 카메라의 문제점
(6) HD 영상제작을 위한 접근법
2. HDTV 카메라와 제작요소의 관계 (조명, 음향, 세트)
(1) HD환경에서의 조명
(2) HD환경에서의 음향
(3) HD 환경에서의 색상관리
(4) HD 프로그램의 제작세트
3. 넌리니어 편집의 특성
(1) 비선형 편집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형태
(2) 비선형 편집시스템의 기술개발 과정
(3) 비선형 편집의 장단점
4. 넌리니어 편집방법
(1) 비선형 편집(Nonlinear editing) 방법의 기초
(2) 최근 비선형 영상 편집의 흐름
(1) HDTV란 무엇인가?
(2) HDTV의 기본특성
(3) HDTV 카메라의 기술적 특성
(4) 화면 교체방식
(5) HD TV 카메라의 문제점
(6) HD 영상제작을 위한 접근법
2. HDTV 카메라와 제작요소의 관계 (조명, 음향, 세트)
(1) HD환경에서의 조명
(2) HD환경에서의 음향
(3) HD 환경에서의 색상관리
(4) HD 프로그램의 제작세트
3. 넌리니어 편집의 특성
(1) 비선형 편집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형태
(2) 비선형 편집시스템의 기술개발 과정
(3) 비선형 편집의 장단점
4. 넌리니어 편집방법
(1) 비선형 편집(Nonlinear editing) 방법의 기초
(2) 최근 비선형 영상 편집의 흐름
본문내용
램마다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각종 버그들이 존재하는데, 프리미어에서도 역시 수정해야 할 버그들이 있다. 대표적인 증상이 소스로 사용한 자료들이 간혹 하드에서 삭제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편집작업을 한번에 완료하고 이미 사용되어진 프로젝트를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감지할 수 없지만 오랜 시간동안 복잡한 편집을 하면서 수시로 프리미어를 다시 실행해본 사람들은 누구나 몇 번은 경험을 했을 것이다.
그 외에도 한글로 프로젝트를 저장한 후 Preview Render를 실행하면 Disk Full 메시지가 나타나며, 렌더링이 되지 않는 등의 버그는 다음버전의 프리미어에서는 수정되거나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것이다.
⑤ 프리미어 기능의 기본 활용법
마지막으로 프리미어에서의 여러 기능 중에 자주 사용되면서도 소홀하기 쉬운 항목들을 다시 한 번 검토해보기로 한다.
프리미어 5.1에서는 타임라인 윈도우나 모니터 윈도우 어느 곳에서도 현재의 프레임을 정지화로 만들 수 있다. 타임라인 윈도우에서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편집선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지화를 만들 프레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Export-Frame을 실행한다.
동영상에서 정지화를 생성하기 위하여서도 Clip>Video>Flicker Removal을 체크한 후에 Export>Frame을 실행하면 떨림이 없는 정지화를 얻을 수 있다 .
저속의 슬로우 모션을 적용할 때에는 현재의 클립의 뒤에 최소한의 빈 공간을 확보한 후에 실행해야 한다. 만약에 뒷 쪽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선택한 클립의 모든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늘어나지 못하고 중간에서 잘리게 된다.
모션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투명도 설정 등은 기본 트랙인 Video 1A나 Video 1B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Video2 이상의 트랙에서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모션과 필터 등은 기본 트랙을 비롯하여 모든 트랙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필터를 적용하면 효과가 적용된 클립의 상단에 녹색줄이 표시되어 필터의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 윈도우에서 이미지 파일이나 자막 파일 등을 제외한 영상클립이나 사운드 클립들은 바로 타임라인 윈도우로 드래그하여 올리는 것보다는 소스 모니터 윈도우로 드래그하여 필요한 구간만을 인점과 아웃점을 지정한 후에 타임라인 윈도우로 드래그하여 올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영상의 캡처는 프리미어에서가 아닌 업체에서 제공하는 캡처 전용 Tool을 사용한다.
Edge View를 체크하면 클립 Ripple Edit tool을 사용하는 경우에 선택된 클립의 영상을 타깃 모니터 창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리미어를 먼저 설치한 후에 편집카드용 드라이버를 인스톨한다.
'Extracting' - 타임라인의 일정구간을 삭제하는 기능이다. 삭제된 공간은 뒷부분의 클립이 자동으로 당겨진다.
'Lift' - 타임라인의 일정구간을 삭제하는 기능은 Extracting과 같지만 삭제된 공간은 그대로 남아 있다.
자주 사용하는 구간에서는 Marker를 활용한다. 마커는 타임라인의 프레임 표시 위치에 삽입할 수도 있고 클립 안에 삽입할 수도 있다.(소스 모니터에서 Ctrl+Alt+해당번호 1-9, 타임라인 모니터에서 스쿠루부 후에 Ctrl+Alt+해당번호 1-9) 찾는 법은 Alt+해당번호
트랙의 전체 게인 조정은 Shift키를 누르고 마우스 커서를 게인 조절선 위에 위치한 후 왼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조정한다.
캡처 후에 파일을 저장할 경우 가급적이면 캡처한 하드에 저장해야 한다
트랙 사용하지 않기 - 눈 아이콘을 클릭하면 눈 아이콘이 사라진다.
트랙 감추기 - Ctrl키를 누른 상태로 눈 아이콘을 클릭하면 눈동자가 하얗게 변화되며, 이후에 타임라인 윈도우 메뉴에서 Hide Shy Tracks를 체크하면 타임라인 윈도우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트랙 잠그기 - 눈 아이콘 옆에 있는 네모박스를 클릭하면 잠겨있는 트랙은 모든 설정이나 조정이 불가능해지며 마우스커서를 위치하면 커서 옆에 자물쇠 그림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강상욱김종철김문욱(2003). HDTV 기술과 영상제작 노하우. TV 영상제
작 이론과 실무. 도서출판 차승.
구재모(2003). DTV의 흐름과HD포맷의 이해와 활용.「비디오플러스」창간 4
주년 기념 HD세미나 발표 원고.
김종대 (2003). 한국의 디지털 TV 산업 발전전략 연구. 컴퓨터 시스템 개론.
방송위원회(2003). DMB데이터방송 및 DMC 등 디지털 방송에 관한 종합
계획. 디지털방송추진위원회 종합보고서.
설진아오종환(2004). 방송기획 및 제작 Ⅱ.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출간예정.
이재홍(2003). 디지털 방송정책과 지원방향. 「비디오플러스」 창간 4주년
기념 HD세미나 발표 원고.
이화진(2000). 지상파 방송사의 DTV 편성과 운영전략. 방송연구 2000년
겨울호.
디지털방송의개요
(http://www.kbs.co.kr/techcenter/digi_broad/outline.html)
비선형 편집에 대한 자료 (http://www.nare.co.kr)
30대 품목 기술/ 시장 통합 요약보고서. 디지털 TV.
디지털 위성방송 동향. PPT 파일.
디지털 방송기술 워크숍 자료.
Lester, P. (2002). Visual communication: Image with massages(3rd edition). Wadsworth Publishing.
Mascelli, J. (1988). The Five C's of Cinematography. Motion picture filming techniques. Silmon-James Press.
Millerson, G. (2003). Television Production(13th edition). Focal Press.
Ward, P. (2003). Picture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2nd edition). Focal Press.
Zettle, H. (1988). 텔레비전 제작론 (下). 황인성, 정재철, 윤선희, 조찬식 공역. 나남.
그 외에도 한글로 프로젝트를 저장한 후 Preview Render를 실행하면 Disk Full 메시지가 나타나며, 렌더링이 되지 않는 등의 버그는 다음버전의 프리미어에서는 수정되거나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것이다.
⑤ 프리미어 기능의 기본 활용법
마지막으로 프리미어에서의 여러 기능 중에 자주 사용되면서도 소홀하기 쉬운 항목들을 다시 한 번 검토해보기로 한다.
프리미어 5.1에서는 타임라인 윈도우나 모니터 윈도우 어느 곳에서도 현재의 프레임을 정지화로 만들 수 있다. 타임라인 윈도우에서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편집선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지화를 만들 프레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Export-Frame을 실행한다.
동영상에서 정지화를 생성하기 위하여서도 Clip>Video>Flicker Removal을 체크한 후에 Export>Frame을 실행하면 떨림이 없는 정지화를 얻을 수 있다 .
저속의 슬로우 모션을 적용할 때에는 현재의 클립의 뒤에 최소한의 빈 공간을 확보한 후에 실행해야 한다. 만약에 뒷 쪽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선택한 클립의 모든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늘어나지 못하고 중간에서 잘리게 된다.
모션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투명도 설정 등은 기본 트랙인 Video 1A나 Video 1B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Video2 이상의 트랙에서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모션과 필터 등은 기본 트랙을 비롯하여 모든 트랙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필터를 적용하면 효과가 적용된 클립의 상단에 녹색줄이 표시되어 필터의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 윈도우에서 이미지 파일이나 자막 파일 등을 제외한 영상클립이나 사운드 클립들은 바로 타임라인 윈도우로 드래그하여 올리는 것보다는 소스 모니터 윈도우로 드래그하여 필요한 구간만을 인점과 아웃점을 지정한 후에 타임라인 윈도우로 드래그하여 올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영상의 캡처는 프리미어에서가 아닌 업체에서 제공하는 캡처 전용 Tool을 사용한다.
Edge View를 체크하면 클립 Ripple Edit tool을 사용하는 경우에 선택된 클립의 영상을 타깃 모니터 창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리미어를 먼저 설치한 후에 편집카드용 드라이버를 인스톨한다.
'Extracting' - 타임라인의 일정구간을 삭제하는 기능이다. 삭제된 공간은 뒷부분의 클립이 자동으로 당겨진다.
'Lift' - 타임라인의 일정구간을 삭제하는 기능은 Extracting과 같지만 삭제된 공간은 그대로 남아 있다.
자주 사용하는 구간에서는 Marker를 활용한다. 마커는 타임라인의 프레임 표시 위치에 삽입할 수도 있고 클립 안에 삽입할 수도 있다.(소스 모니터에서 Ctrl+Alt+해당번호 1-9, 타임라인 모니터에서 스쿠루부 후에 Ctrl+Alt+해당번호 1-9) 찾는 법은 Alt+해당번호
트랙의 전체 게인 조정은 Shift키를 누르고 마우스 커서를 게인 조절선 위에 위치한 후 왼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조정한다.
캡처 후에 파일을 저장할 경우 가급적이면 캡처한 하드에 저장해야 한다
트랙 사용하지 않기 - 눈 아이콘을 클릭하면 눈 아이콘이 사라진다.
트랙 감추기 - Ctrl키를 누른 상태로 눈 아이콘을 클릭하면 눈동자가 하얗게 변화되며, 이후에 타임라인 윈도우 메뉴에서 Hide Shy Tracks를 체크하면 타임라인 윈도우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트랙 잠그기 - 눈 아이콘 옆에 있는 네모박스를 클릭하면 잠겨있는 트랙은 모든 설정이나 조정이 불가능해지며 마우스커서를 위치하면 커서 옆에 자물쇠 그림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강상욱김종철김문욱(2003). HDTV 기술과 영상제작 노하우. TV 영상제
작 이론과 실무. 도서출판 차승.
구재모(2003). DTV의 흐름과HD포맷의 이해와 활용.「비디오플러스」창간 4
주년 기념 HD세미나 발표 원고.
김종대 (2003). 한국의 디지털 TV 산업 발전전략 연구. 컴퓨터 시스템 개론.
방송위원회(2003). DMB데이터방송 및 DMC 등 디지털 방송에 관한 종합
계획. 디지털방송추진위원회 종합보고서.
설진아오종환(2004). 방송기획 및 제작 Ⅱ.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출간예정.
이재홍(2003). 디지털 방송정책과 지원방향. 「비디오플러스」 창간 4주년
기념 HD세미나 발표 원고.
이화진(2000). 지상파 방송사의 DTV 편성과 운영전략. 방송연구 2000년
겨울호.
디지털방송의개요
(http://www.kbs.co.kr/techcenter/digi_broad/outline.html)
비선형 편집에 대한 자료 (http://www.nare.co.kr)
30대 품목 기술/ 시장 통합 요약보고서. 디지털 TV.
디지털 위성방송 동향. PPT 파일.
디지털 방송기술 워크숍 자료.
Lester, P. (2002). Visual communication: Image with massages(3rd edition). Wadsworth Publishing.
Mascelli, J. (1988). The Five C's of Cinematography. Motion picture filming techniques. Silmon-James Press.
Millerson, G. (2003). Television Production(13th edition). Focal Press.
Ward, P. (2003). Picture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2nd edition). Focal Press.
Zettle, H. (1988). 텔레비전 제작론 (下). 황인성, 정재철, 윤선희, 조찬식 공역. 나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