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금론
2. 지대론
3. 이자론
4. 이윤론
2. 지대론
3. 이자론
4. 이윤론
본문내용
지불되어야 한다.
2. 시차설(時差說) : 현재재와 장래재 간의 가치평가 차이를 이자로 보는 견해 → 뵘-바베르크(E.Bohm-Bawerk)가 주장
1) 현재에서의 욕구충족은 장래에서 그것보다 높게 평가된다.
2) 현재재가 장래재보다 높게 평가되는 이유
가)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나) 저축된 자원은 우회적 생산방법을 통해서 소득을 창출하기 때문에
3. 한계생산력설 : 이자도 다른 생산요소와 마찬가지로 한계생산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견해 → 클라크(J.B.Clark)
1) 자본에 대해서 이자가 지불되는 이유 : 자본이 생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
2) 이자 = 자본을 사용할 때의 생산력 - 자본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생산력의 차이
4. 유동성선호설 : 유동성(liquidity) 즉, 화폐보유를 포기한 대가를 이자로 보는 견해. → 케인즈(J.M.Keynes)
1) 화폐를 보유하는 이유 : 가치의 손실 없이 화폐로 다른 재화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
2) 유동성선호(Liquidity Preference) : 사람들이 자산의 일부를 유동자산인 현금이나 요구불예금 형태로 보유하려고 하는 욕구
4. 이윤론(利潤論)
1) 이윤(profit)의 개념
이윤 = 기업의 총수입(TR) - 총비용(TC)
→ 이윤 속에는 기업가의 자기자본과 자기노동에 대한 대가도 포함되어 있다.
→ 암묵적 비용 = 암묵적 이자 + 암묵적 임금
순수이윤 = 총수입 - 명시적 생산비 - 암묵적 생산비(암묵적 이자임금)
2) 이윤학설
1. 잔여설 : 이윤은 총생산물에서 임금, 지대, 등 제비용을 뺀 나머지라고 보는 견해 → 리카아도(D.Ricardo)
2. 착취설 : 자본가가 노동자를 필요노동시간 이상으로 일을 시켜, 그 노동성과를 착취한 부분이 이윤이라는 견해 → 마르크스(K.Marx)를 비롯한 마르크스학파 경제학자들
1)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 : 가치의 원천은 노동 → 노동자는 노동력을 자본가에게 가치대로 판매하지만, 자본가는 노동자를 가치 이상으로 노동시킨다. → 이 가치 이상의 노동에서 잉여가치가 발생 → 잉여가 곧 이윤의 원천이다.
2) 이윤을 착취로 보는 이유 : 자본은 잉여가치를 창출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이 창출한 잉여의 일부를 분배받아 가므로
3. 마찰설 : 완전경쟁을 제한하는 모든 요인이 이윤의 원천이라는 견해 → 클라크(J.B.Clark), 왈라스(L.Walras)
1) 정학적 균형이론에 기초하여 이윤이론을 전개
2) 변동이나 마찰이 없는 균형상태 : 생산에 참여한 모든 생산요소는 각자의 한계생산력에 따라 보수를 받으며, 기업의 초과이윤도 발생하지 않는다.
3) 이윤이 발생하는 이유 : 현실세계는 언제나 변동하고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에
4. 혁신설이윤동기설 : 기업혁신에 대한 보수가 이윤이라는 견해 → 슘페터(J.A.Schumpeter)
1) 혁신(innovation) : 새로운 상품의 생산, 새로운 생산방법의 도입, 새로운 시장의 개척, 새로운 자원의 발견, 새로운 경영조직의 결성 등
2) 혁신의 도입으로 이윤 발생 → 새로운 투자를 자극하여 경제가 발전한다.
5. 위험부담설 : 이윤을 위험(risk)이나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보수로 보는 견해 → 나이트(F.Knight)
1) 불확실성 : 확정적이지 않으며, 가능성의 확률도 알 수 없는 상태 → 이윤 또는 손실 발생
2) 불확실성의 원인
가) 기업가의 활동에 관계되는 것 : 슘페터의 혁신설에 있어서처럼 기업가가 새로운 방식을 채택(혁신)함으로써 이윤이 생기는 경우
나) 기업가의 활동과 관계없이 외부적인 것 : 기업가의 의도나 능력 등과는 관계없이 천재지변 등과 같이 어떤 사람에게 뜻하지 않게 일어나는 경우
2. 시차설(時差說) : 현재재와 장래재 간의 가치평가 차이를 이자로 보는 견해 → 뵘-바베르크(E.Bohm-Bawerk)가 주장
1) 현재에서의 욕구충족은 장래에서 그것보다 높게 평가된다.
2) 현재재가 장래재보다 높게 평가되는 이유
가)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나) 저축된 자원은 우회적 생산방법을 통해서 소득을 창출하기 때문에
3. 한계생산력설 : 이자도 다른 생산요소와 마찬가지로 한계생산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견해 → 클라크(J.B.Clark)
1) 자본에 대해서 이자가 지불되는 이유 : 자본이 생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
2) 이자 = 자본을 사용할 때의 생산력 - 자본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생산력의 차이
4. 유동성선호설 : 유동성(liquidity) 즉, 화폐보유를 포기한 대가를 이자로 보는 견해. → 케인즈(J.M.Keynes)
1) 화폐를 보유하는 이유 : 가치의 손실 없이 화폐로 다른 재화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
2) 유동성선호(Liquidity Preference) : 사람들이 자산의 일부를 유동자산인 현금이나 요구불예금 형태로 보유하려고 하는 욕구
4. 이윤론(利潤論)
1) 이윤(profit)의 개념
이윤 = 기업의 총수입(TR) - 총비용(TC)
→ 이윤 속에는 기업가의 자기자본과 자기노동에 대한 대가도 포함되어 있다.
→ 암묵적 비용 = 암묵적 이자 + 암묵적 임금
순수이윤 = 총수입 - 명시적 생산비 - 암묵적 생산비(암묵적 이자임금)
2) 이윤학설
1. 잔여설 : 이윤은 총생산물에서 임금, 지대, 등 제비용을 뺀 나머지라고 보는 견해 → 리카아도(D.Ricardo)
2. 착취설 : 자본가가 노동자를 필요노동시간 이상으로 일을 시켜, 그 노동성과를 착취한 부분이 이윤이라는 견해 → 마르크스(K.Marx)를 비롯한 마르크스학파 경제학자들
1)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 : 가치의 원천은 노동 → 노동자는 노동력을 자본가에게 가치대로 판매하지만, 자본가는 노동자를 가치 이상으로 노동시킨다. → 이 가치 이상의 노동에서 잉여가치가 발생 → 잉여가 곧 이윤의 원천이다.
2) 이윤을 착취로 보는 이유 : 자본은 잉여가치를 창출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이 창출한 잉여의 일부를 분배받아 가므로
3. 마찰설 : 완전경쟁을 제한하는 모든 요인이 이윤의 원천이라는 견해 → 클라크(J.B.Clark), 왈라스(L.Walras)
1) 정학적 균형이론에 기초하여 이윤이론을 전개
2) 변동이나 마찰이 없는 균형상태 : 생산에 참여한 모든 생산요소는 각자의 한계생산력에 따라 보수를 받으며, 기업의 초과이윤도 발생하지 않는다.
3) 이윤이 발생하는 이유 : 현실세계는 언제나 변동하고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에
4. 혁신설이윤동기설 : 기업혁신에 대한 보수가 이윤이라는 견해 → 슘페터(J.A.Schumpeter)
1) 혁신(innovation) : 새로운 상품의 생산, 새로운 생산방법의 도입, 새로운 시장의 개척, 새로운 자원의 발견, 새로운 경영조직의 결성 등
2) 혁신의 도입으로 이윤 발생 → 새로운 투자를 자극하여 경제가 발전한다.
5. 위험부담설 : 이윤을 위험(risk)이나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보수로 보는 견해 → 나이트(F.Knight)
1) 불확실성 : 확정적이지 않으며, 가능성의 확률도 알 수 없는 상태 → 이윤 또는 손실 발생
2) 불확실성의 원인
가) 기업가의 활동에 관계되는 것 : 슘페터의 혁신설에 있어서처럼 기업가가 새로운 방식을 채택(혁신)함으로써 이윤이 생기는 경우
나) 기업가의 활동과 관계없이 외부적인 것 : 기업가의 의도나 능력 등과는 관계없이 천재지변 등과 같이 어떤 사람에게 뜻하지 않게 일어나는 경우
추천자료
미국의 사회복지발달사
외국인 노동자
중국철학&인도철학
여성의 빈곤
기업의 기본사항과 조직 및 직무정리
연군가사
고전파경제학의 공헌과 문제점
[노동과사회]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황사][황사현상][황사피해][황사발생][중국][호흡기질환]황사(황사현상)의 개념과 황사(황사...
10장 진보와 빈곤 8장
외국인 근로자와 관려한 판례의 태도 (고용허가제 시행전후 판례태도 비교검토
[기혼여성][기혼][여성][기혼여성 갈등][성적 자율성]기혼여성의 갈등, 기혼여성의 성적 자율...
특수고용직 - 학습지 교사
임진왜란의 발발과 파천에 대한 선조의 고민 - 어떻게 하는 것이 최선의 길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