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조명의 역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조명의 역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가 많다. 1919년 한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영화 \"의리적 구투\"는 KINO DRAMA로 연극의 일부(실외장면등)을 FILM에 담아 연극중 상영하였다. 한국영화의 조명은 자세한 문헌이 없고 다만 193
년대 제작된 영화 현장 STILL을 보면 실내촬영 장면에서 조명기를 볼 수 있다. 당시의 조명술은 FLAT KEY TONE LIGHTING으로 화면전체의 명암(CONTRAST)이적은 평면적인 조명이 주를 이룬 것으로 생각 된다. 빛을 다루는 기술, 장비와 이론이 열악한 상태 였고, 정식의 영화교육이 부재한 상태였다. 1920년초에 이 필우가 일본 대판(OSAKA)의 촬영소에서 촬영과 현상을 배워오는 것을 시작으로, 조명분야도 기술적 향상을 보게 된다.
1930년대 한국에서도 촬영소 신설을 함에 따라 일본에서 조명을 배운 김 성춘은 오늘날에도 사용하기 힘든 80KW의 조명장비 시설을 들여와 영화에 활용하기 시작 하였다. 1940년의 일제의 한국영화 말살기, 1950년대의 한국전쟁을 거처, 전쟁후 호황기를 맡은 한국영화는 여러면에서 발전을 거듭한다. 오늘날과 같은 신고제가 아닌 허가제로 영화사 등록을 규제하던 당시, 영화사 설립조건에 촬영장비와 SET장이 필수 조건으로 들어 있었기 때문에 조명도 급속도의 발전을 이루게 된다.
당시의 신필름(신 상옥이 설립한 영화사)은 다량의 조명기재를 보유했다고 한다. 60,70년대 멜러물과 문예물을 주로 양산하던 한국영화는 조명분야에서도 일정수준에 도달하게 되고 80년을 고비로 오늘에 이르러서는 장비의 현대화와 기술의 습득으로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조명감독들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현실에 안주하려는 속성을 버리지 못하고 촬영과 함께 기술분야의 무관심 속에서 인재를 양성하지 못하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특히나 CF의 조명은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는 이때에 언제까지나 여건만을 탓할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할 문제이다. 영화에 있어서 조명분야는 하나의 독립적인 자리를 같는 것이 아니라 촬영, 감독, 제작자의 호흡이 맞아야 그 진가를 발휘 하게 된다. 열악한 제작여건은 조명을 위축 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하나의 문제로 전문적인 교육이 가장 열악한 분야가 조명일 수도 있다. 짧은 기간의 졸속 제작은 충분한 조명시간을 단축 시켜 1차원적인 조명(기본조명)상태에서 촬영을 강행해야 하는 원인이 되고, 현장의 촬영과 감독은 현실을 한탄 하며 READY GO를 외치게 된다. 충분한 전력의 공급도 문제중에 하나이다.
SET촬영에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되지만, OPEN과 LOCATION에서는 발전차를 항상가지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양식 없는 제작자로부터 제지 당하기 일쑤이다. 조명기자재의 개발과 투자도 풀어야 할 숙제이다. 현상과정 역시 조명의 발전과 지대한 관계를 같는 분야이다. 현재 CF에서는 조명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과 기재를 지원 받을 수 있다. 년간 80-90편이 제작되는 한국 영화는 대부분이 열악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힘들고 몇안되는 조명감독들에 의해 세계에서도 인정을 받게 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로 한국에서 생산되는 영화 기자재는 대부분 조명및 편집 주변기기 뿐이라는 점은 시장성이 없는 이유와 첨단 기술력이 지원하지 못하는 이유로 그 영세성을 벗어나기 힘든 상태이다. 기술집약적인 고가의 기계는 모두 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은 조명및 영화의 낙후성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조명기사 장 기종은 \"J.K.J\"라는 영화 조명기와 악세사리를 생산하고있다. 신성사에서도 편집장비와 조명및 주변기기를 생산 하지만 영세성과 기숙부족으로 그 정교성과 내구성이 문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처음에 선보인 장비보다는 모두 진 일보한 것을 볼때 앞으로 기대를 걸어 보자.영화 기재 거의를 수입에 의존하는 이때 위의 사람들에게 격려를 보내야 할 것이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조명기를 제작하는 나라로는 이태리(과거 세계영화사에서 대작영화, 네오 리얼리즘등으로 명성을 떨쳤던), 독일(표현주의 영화와 세계대전당시 희틀러의 전폭적인 지지로 정부와 과학이 완성시킨 \"ARRI FLEX\"등을 생산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같고 있다.), 미국(세계영화 시장을 주도하는), 프랑스(예술영화의 자존심), 인도(년간 1.000여편을 제작 국민의교육, 홍보용으로 영화를 활용 하면서 LIGHT가 발달하였다.)등으로 정부의 지원과 영화인의 노력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볼수 있다.
2. 실외조명
앞에서도 기술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0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