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 꼬르뷔제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르 꼬르뷔제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Le Corbusier의 연혁

3. Le Corbusierd의 건축물
1) 라뚜레드 수도원
2) 롱샹 성당
3) 라로쉬-잔느레
4) 유니떼 다비따시옹
5)빌라 사보아

4. 맺음말

본문내용

이야말로 1920년대의 국제주의 양식이 나타냈던 가치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일 것이다.
4. 맺음말
지금까지 Le corbusier의 연혁과 그의 건축물인 라뚜레뜨 수도원, 롱샹 성당, 라로쉬-잔느레 주택, 유니떼 다비따시옹, 빌라사보아 라는 건축물들을 살펴보았다. 보고서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큐비즘과 미래주의에 영향을 받은 공간을 사용한다. 여기서 큐비즘 이란 르네상스 이래 서양 회화의 전통인 원근법과 명암법 그리고 다채로운 색채를 이용한 순간적인 현실 묘사를 지양하고 시점을 다수로 하고, 색채도 녹색과 향토색으로만 한정시키며 그 위에 자연의 여러 형태를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태로 환원시켜 사물의 존재성을 2차원의 ‘타블로’로 구축하여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그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몇 가지 건축형식이 있다. 첫째로 필로티(pilotis)이다. 필로티는 건물 전체 또는 일부를 지상(地上)에서 기둥으로 들어올려 건물을 지상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공간, 또는 그 기둥 부분을 말한다. 둘째는 대와 벽의 기능적인 독립이다. Le Corbusier가 제안한 도미노 시스템은 파사드의 폭 안에서 창의 가로폭은 무제한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특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로 자유로운 평면 이다. 지금까지 건축평면은 구조벽의 구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는데 1914~1945년에 걸쳐 Le corbusier는 건축의 참된 유연성을 추구하였다. 즉 내부공간의 구성을 사용자의 자유에 맡긴다는 사고방식은 1932년 알지에의 오뷰계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고 바이센호프 주택에서 Le corbusier는 가동식 칸막이를 도입해서 야간에는 거실을 3개의 작음 침실로 바꿀수 있게 처리 했는데, 이 작품에서 나타난 자유로운 평면의 개념은 단지 주거공간의 참다운 가동성을 확보한다는 방법에 그치지 않고 그의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의지를 관철 시키는 방법이 된다는 점이다. 넷째로는 자유로운 건물정면이다. 자유로운 파사다의 건축원리는 독립되어 구상된 원리라기보다는 이상의 네 가지 원리의 준수에 뒤따르는 조형상의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 같은 파사다의 구상원리는 미스의 경우처럼 완전한 유리상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Le corbusier의 경우 파사드란, 회화의 화면과 마찬가지로 항상 개구부와 비개구부로 질서가 부여되어야 하는 면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옥상 정원이다. 기술적, 경제적, 기능적, 정신적인 이유로 평지붕과 옥상 정원을 채택할 것을 Le Corbusier는 권유 했고, 여기에는 화초, 관목, 나무, 잔디 등이 심어진다. 그는 평지붕의 옥상 정원을 주택의 공간적인 연장으로 인지하였다.
또 Le Corbusier는 기능주의와 합리주의의 성격을 갖는 근대건축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의 재료사용은 수 년 후 영구에서 이런 접근방법을 출발점으로 한 브루탈리즘이라 부르는 건축 경향이 나타났으며, 장누벨의 볼륨작업, 도미니크페로의 유리상자, 앙리시리아니의 두꺼운 파사드에 영향을 미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5.04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