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생물질의 정의
2. 항생물질의 발달
3. 개발과정
4. 주요 항생물질의 분류(아미노글리코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등)
5. 항생물질의 작용기작(세포벽 합성저해, 세포질 막의 손상 등)
6. 항생물질의 정균작용과 살균작용
7. 항생물질의 사용법과 주의점
8. 참고자료
2. 항생물질의 발달
3. 개발과정
4. 주요 항생물질의 분류(아미노글리코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등)
5. 항생물질의 작용기작(세포벽 합성저해, 세포질 막의 손상 등)
6. 항생물질의 정균작용과 살균작용
7. 항생물질의 사용법과 주의점
8. 참고자료
본문내용
리 쓰인다.
A. 약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체중 : 체중에 따라 용량이 변한다.
2) 연령 : 어린 동물이 약에 민감하다.
3) 성 :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약에 대해 민감하다.
4) 투여경로 : 약물의 투여 방법에 따라 흡수 및 생체내 변이의 정도가 달라진다.
5) 투여시간 : 경구 투여하는 방법은 사료섭취 전후에 따라 흡수가 빠르기도 하고 더디기도 하므로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6) 약물의 불활화 및 배설
7) 내성 : 많은 약들이 오래 사용되거나 빈번히 사용됨으로써 체내의 작용부위에 내성을 유발한다. 내성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는 약을 처음 쓰기 시작할 때 최소 용량으로 투약하고 장기적으로 오랫동안 투약하지 않도록 한다.
8) 생리적 요인 :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체액의 pH, 체온등의 생리적인 요인도 약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9) 병리학적 요인 : 질병의 상태로 인하여 약물의 효능이 변경될 수 있다.
10) 환경 : 투약시 돼지가 처해있는 상태에 따라 변화
11) 약물의 상호작용에 따라 : 약의 효과는 투약 전에 이미 투여되었거나 동시에 투여된다.
※ 약물에 의하여 저하되기도 하고 또는 효과가 증진되기도 한다.
① 상승작용 : 두약제의 효능을 합친 것보다 더 큰 효능이 나타나는 것
② 상가작용 : 두약제 각각의 효능을 합친 것만큼의 효능이 나타나는 것
③ 길항작용 : 두약제를 동시에 투여함으로써 효과가 감소되는 것
▲ 상승작용이 있는 항생제 ▲ 길항작용이 있는 항생제
병용항생제
대상
병용항생제
대상
Penicillin+Aminoglycoside제제
Enterococus
Str.viridans,
St. aureus
Gram 음성간균
Aminoglycoside제제+Tetracycline
또는 chloramphenicol
gram 음성간균
(특히 중성구감소시
Carbenicillin+Gentamicin (Tobramycin)
Ps. aeruginosa
Erythromycin+chloramphenicol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Ampicillin+Gentamicin
Enterococus
Listeria
Penicillin + Tetracyclins
streptococcus
Pneumococcus
Nafcillin+Gentamicin
Staphylococcus
Enterococus
Penicillin + chloramphenicol*
Pneumococcus
streptococcus
Klebsiella
Penicillin+Clavulanic acid제제
penicillinase 생성세균일부
* 표는 penicillin 이 고농도일때는 길항 작용이 없다.
Penicillin+Rifampim
Staphylococcus
Penicillin+Clindamycin
Clostridium
Rifampin+Co-trimoxazole
요로내성균
B. 항생물질의 복합사용
1) 항생물질의 상호작용
제1군 : 페니실린, 바시트라신
제2군 : 스트렙토마이신, 후라디오마이신, 폴리믹신B, 콜리스틴 등
제3군 :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크로람
페니콜
o 용법 및 효과 : 제1군+제2군 = 상승작용
제1군+제3군 = 길항작용
2) 복합사용시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
① 페니실린은 수액제에 혼합했을 때 안전성이 없다. 또한 아미노산 제재와 지방성 현탁액에도 불안정하다.
② 테트라사이클린은 칼슘이온이 있는 용액(링거액)에서 침전이 생긴다.
③ 페니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은 항산제와 같이 투여하면 페니실린의 흡수가 지연된다.
④ 네오마이신을 페니실린과 함께 투여하면 페니실린의 흡수가 지연된다.
⑤ 항생제를 하리치료제와 함께 투여하면 항생제의 흡수에 불량이 생긴다.
⑥ 모든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계 항생제(KM,SM)와 바시트라신, 콜리스틴등은 근육이완제, 마취제, 살충제 등과 사용하면 차단 작용하므로 함께 사용치 않아야 한다.
⑦ 크로람페니콜을 백신 투여와 함께 사용하면 항체형성을 억제하여 면역이 잘 안 된다.
⑧ 정균성 항생물질과 살균성 항생물질을 함께 사용하면 항균효과 저하
⑨ 소에 있어서 링거액과 설파제를 혼합 투여하면 즉사하는 경우가 있음.
⑩ 에리스로마이신은 비타민 B군이나 C와 병용금지
⑪ 카나마이신과 포도당은 병용금지
⑫ 니트로후란계열과 비타민B군이나, C와 병용금지
⑬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과 테트라사이클린은 링거액과 병용금지
C. 수용산 사용할 때의 문제점
1) 종합비타민, 아미노산무기물의 복합제제
① 경수에 용해시 무기물과 반응하여 앙금이 생긴다.
② 용해된 상태에서 상호 반응하여 6시간 후부터 약효소실
③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및 설파제와 혼합 사용할 경우에도 약효가 감소한다.
2) 토코페롤제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및 후라졸리돈과 혼합 용해 시에는 앙금이 생긴다. 약효저하
3) 종합비타민, 아미노산제제
설파제와 함께 물에 용해시킬 때 경수를 사용하면 침전물이 생성
4) 설파제
① 경수에 용해시 앙금이 생긴다.
② pH5 이하의 산성에서 앙금이 생긴다.
D. 항생제 선정의 실제
1) 질병이 발생하면 질병의 원인과 근원을 빨리 파악하여, 즉 세균성 질병인지 병독성 질병인지 확인 후 일단 항생제를 써야 할 세균성 발병일 경우 가급적 다량투약을 통해서 빨리 치료하여야 한다.
2) 감수성 시험을 실시한 후 약제선택이 바람직하다.
3) 가급적 단일제제 항생제 사용
4) 최근에 사용하였거나 배합사료중에 함유시켜 급여되어온 항생제는 가급적 피하고 다른 항생제를 택하여야 한다.
5) 질병 감염축 격리 → 내성균주 출현방지
8. 참고자료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http://gusiworld.co.kr/penni.htm#1
▲ http://ftp.shin-kwang.co.kr/mycin.html
▲ Microbiology: A Human Perspective, 2nd ed. E. W. Nester 外, WCB, 1998
▲ Antibiotic & Chemotherapy, 7th ed. Lambert & OGrady,
Churchill-Livingston, 2000
A. 약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체중 : 체중에 따라 용량이 변한다.
2) 연령 : 어린 동물이 약에 민감하다.
3) 성 :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약에 대해 민감하다.
4) 투여경로 : 약물의 투여 방법에 따라 흡수 및 생체내 변이의 정도가 달라진다.
5) 투여시간 : 경구 투여하는 방법은 사료섭취 전후에 따라 흡수가 빠르기도 하고 더디기도 하므로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6) 약물의 불활화 및 배설
7) 내성 : 많은 약들이 오래 사용되거나 빈번히 사용됨으로써 체내의 작용부위에 내성을 유발한다. 내성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는 약을 처음 쓰기 시작할 때 최소 용량으로 투약하고 장기적으로 오랫동안 투약하지 않도록 한다.
8) 생리적 요인 :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체액의 pH, 체온등의 생리적인 요인도 약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9) 병리학적 요인 : 질병의 상태로 인하여 약물의 효능이 변경될 수 있다.
10) 환경 : 투약시 돼지가 처해있는 상태에 따라 변화
11) 약물의 상호작용에 따라 : 약의 효과는 투약 전에 이미 투여되었거나 동시에 투여된다.
※ 약물에 의하여 저하되기도 하고 또는 효과가 증진되기도 한다.
① 상승작용 : 두약제의 효능을 합친 것보다 더 큰 효능이 나타나는 것
② 상가작용 : 두약제 각각의 효능을 합친 것만큼의 효능이 나타나는 것
③ 길항작용 : 두약제를 동시에 투여함으로써 효과가 감소되는 것
▲ 상승작용이 있는 항생제 ▲ 길항작용이 있는 항생제
병용항생제
대상
병용항생제
대상
Penicillin+Aminoglycoside제제
Enterococus
Str.viridans,
St. aureus
Gram 음성간균
Aminoglycoside제제+Tetracycline
또는 chloramphenicol
gram 음성간균
(특히 중성구감소시
Carbenicillin+Gentamicin (Tobramycin)
Ps. aeruginosa
Erythromycin+chloramphenicol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Ampicillin+Gentamicin
Enterococus
Listeria
Penicillin + Tetracyclins
streptococcus
Pneumococcus
Nafcillin+Gentamicin
Staphylococcus
Enterococus
Penicillin + chloramphenicol*
Pneumococcus
streptococcus
Klebsiella
Penicillin+Clavulanic acid제제
penicillinase 생성세균일부
* 표는 penicillin 이 고농도일때는 길항 작용이 없다.
Penicillin+Rifampim
Staphylococcus
Penicillin+Clindamycin
Clostridium
Rifampin+Co-trimoxazole
요로내성균
B. 항생물질의 복합사용
1) 항생물질의 상호작용
제1군 : 페니실린, 바시트라신
제2군 : 스트렙토마이신, 후라디오마이신, 폴리믹신B, 콜리스틴 등
제3군 :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크로람
페니콜
o 용법 및 효과 : 제1군+제2군 = 상승작용
제1군+제3군 = 길항작용
2) 복합사용시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
① 페니실린은 수액제에 혼합했을 때 안전성이 없다. 또한 아미노산 제재와 지방성 현탁액에도 불안정하다.
② 테트라사이클린은 칼슘이온이 있는 용액(링거액)에서 침전이 생긴다.
③ 페니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은 항산제와 같이 투여하면 페니실린의 흡수가 지연된다.
④ 네오마이신을 페니실린과 함께 투여하면 페니실린의 흡수가 지연된다.
⑤ 항생제를 하리치료제와 함께 투여하면 항생제의 흡수에 불량이 생긴다.
⑥ 모든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계 항생제(KM,SM)와 바시트라신, 콜리스틴등은 근육이완제, 마취제, 살충제 등과 사용하면 차단 작용하므로 함께 사용치 않아야 한다.
⑦ 크로람페니콜을 백신 투여와 함께 사용하면 항체형성을 억제하여 면역이 잘 안 된다.
⑧ 정균성 항생물질과 살균성 항생물질을 함께 사용하면 항균효과 저하
⑨ 소에 있어서 링거액과 설파제를 혼합 투여하면 즉사하는 경우가 있음.
⑩ 에리스로마이신은 비타민 B군이나 C와 병용금지
⑪ 카나마이신과 포도당은 병용금지
⑫ 니트로후란계열과 비타민B군이나, C와 병용금지
⑬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과 테트라사이클린은 링거액과 병용금지
C. 수용산 사용할 때의 문제점
1) 종합비타민, 아미노산무기물의 복합제제
① 경수에 용해시 무기물과 반응하여 앙금이 생긴다.
② 용해된 상태에서 상호 반응하여 6시간 후부터 약효소실
③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및 설파제와 혼합 사용할 경우에도 약효가 감소한다.
2) 토코페롤제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및 후라졸리돈과 혼합 용해 시에는 앙금이 생긴다. 약효저하
3) 종합비타민, 아미노산제제
설파제와 함께 물에 용해시킬 때 경수를 사용하면 침전물이 생성
4) 설파제
① 경수에 용해시 앙금이 생긴다.
② pH5 이하의 산성에서 앙금이 생긴다.
D. 항생제 선정의 실제
1) 질병이 발생하면 질병의 원인과 근원을 빨리 파악하여, 즉 세균성 질병인지 병독성 질병인지 확인 후 일단 항생제를 써야 할 세균성 발병일 경우 가급적 다량투약을 통해서 빨리 치료하여야 한다.
2) 감수성 시험을 실시한 후 약제선택이 바람직하다.
3) 가급적 단일제제 항생제 사용
4) 최근에 사용하였거나 배합사료중에 함유시켜 급여되어온 항생제는 가급적 피하고 다른 항생제를 택하여야 한다.
5) 질병 감염축 격리 → 내성균주 출현방지
8. 참고자료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http://gusiworld.co.kr/penni.htm#1
▲ http://ftp.shin-kwang.co.kr/mycin.html
▲ Microbiology: A Human Perspective, 2nd ed. E. W. Nester 外, WCB, 1998
▲ Antibiotic & Chemotherapy, 7th ed. Lambert & OGrady,
Churchill-Livingston,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