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마을 조성으로 인한 지역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테마마을 조성으로 인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제안1
제안2
제안3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활터)우리나라 최초의 활터로 기록)
태기왕의 군사들을 훈련하던 활터로 활 박물관 및 체험관, 학습장을 만들어 지역발전 및 전통계승 및 교육의 장으로 만들고자한다.
○ 지역축제(주몽 연속극으로 국궁인구가 급성장하고 있다.)
국궁 대회를 열어 지역 홍보 및 관광인구 유입.(국궁인구 : 15,000명: 2005년 통계)
(2) 습지 보존 생태교실을 만들어 자연학습 공원조성.
자연과 접하기 어려운 도시민이 자연속에서의 휴식은 물론 생태계를 이루는 생물들이 어떻게 서식하는지를 관찰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습지 보존 생태 자연 학습 공원 조성하고자한다.
(3) 옹기박물관과 현장교육장 설치.
우리조상의 지혜와 삶이 담겨있는 옹기의 뿌리를 찾고 그 발자취를 더듬어 현대 문명에 의해 퇴색되어 가는 옹기문화를 재조명하고자한다. 더불어 이을 잘 보존하고 우리민족만이 갖고 있는 옹기와 민족의 맥을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하고 또한 현장교육의장으로 활용하고자한다.
* 1983년 둔내에서 토기를 비롯하여 많은유물이 발견되었고,이것을 계기로하여 강원대 박물관에서 발굴작업을하여 초기 철기시대의 무문토기(無紋土器)와 김해식토기(金海式 土器)를 비롯하여 토기편(土器片) 철기편(鐵器片) 등 수많은 유물 이 발견되었다.
(4)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마을의 전통을 발굴 복원 관광코스 조성.
가) 호랑바우 : 예전에 호랑이가 사람을 물어다가 이 바위에서 먹었다고 함.
나) 황아재 : 황씨성의 여인이 한양으로 과거보러 떠난, 사랑하는 님을 기다리기 위해 넘던 고개에 집을 짓고 장사하던 주막
다) 칠송배기 : 소나무 자생지 (큰 가지가 일곱 개로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5.1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