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물적 유통관리◈
1. 물적 유통의 본질
2. 물적 관리의 목표
3. 마케팅과 물적 유통
4. 물적 유통 시스템의 기능
◈ CJ의 물류관리 사례 ◈
1. 연혁
2. 비전/ 경영이념
3. 매출액
4. 유통경로
5. 수․배송 혁신작업
6. 물류거점 전략
7. 생산․물류시스템의 구축
8. 자동창고 시스템
9. 거래처․본사 온라인화
10. 맺음말
*참고문헌
◈물적 유통관리◈
1. 물적 유통의 본질
2. 물적 관리의 목표
3. 마케팅과 물적 유통
4. 물적 유통 시스템의 기능
◈ CJ의 물류관리 사례 ◈
1. 연혁
2. 비전/ 경영이념
3. 매출액
4. 유통경로
5. 수․배송 혁신작업
6. 물류거점 전략
7. 생산․물류시스템의 구축
8. 자동창고 시스템
9. 거래처․본사 온라인화
10.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 첨단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제약과 바이오, 정보통신과 금융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선두기업으로서 CJ의 모습을 만들어 가고 있다.
2. 비전/ 경영이념
-고객(Customer Focus): 항상 고객의 Needs를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존중(Respect for the Individual): 서로를 존중하고 개인의 발전을 지원한다.
-팀웍(Teamwork): 자신과 부서의 이해를 넘어 공동의 이익을 위해 동료들과 협력한다.
-창의(Creativity): 최초의 것, 최고의 것, 남다른 것을 위해 늘 새로운 방법을 추구한다.
-도전(Entrepreneurship): 각자의 직책에서 리스크를 기꺼이 수용하며, 그 결과에 대해 책 임을 진다.
-정직 (Honesty): 내외부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받기 위해 어떤 상황에서도 정직하게 행동 한다.
3. 매출액(2000년 기준)
-매출액: 2,182,476,502
-국내매출액: 1,966,424,756
-수출액: 214,310,014
-부제품 매출액: 1,741,732
(단위: 천원)
4. 유통경로
CJ의 유통경로는 공장에서 물류센터의 비율(26%)에 비해 공장에서 실수요 거래처의 직거래 비율(42%)이 높은 편이다.
20.000개 이상의 거래처(유통업체, 대리점, 병원, 약국, 농촌 등)에 직접 납품하는 형태가 많아 물류 서비스 전략이 중요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실수요 거래처에 직거래 비율(42%)과 초대형 거래처의 직송비율(8%)을 합하면 약50%는 직거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지역물류센터의 통폐합 축소 문제도 물류 거점별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5. 수배송 혁신작업
해상수송 도입(인천→부산간)
제주권 해상수송 개선
복합 연계수송 시스템
셔틀 수송시스템
수송차량의 대형화
배차관리의 전산화
수송정보 온라인 시스템
권역별 수송 시스템
야간수송 시스템
철도수송 도입 추진
6. 물류거점 전략
-물류거점 운영 기본 전략
물류거점의 성격 구분
구분
식품생활
육가공냉동
사료
제약
보관특성
상온
상온+냉장+냉동
상온
냉장+상온
유통경로
대리점,신경로
대리점,신경로
사양가, 위탁점
도매,병원,약국
물류거점 기능 구분
단순 지역배송센터 개념에서 광역물류센터, 지역 배송 센터 개념으로 기능을 구분하여 운영.
물류거점 운영 기본 방향
→거점수 축소, 규모 대형화, 임차 자가화, 지역 통폐합 조정
→광역물류센터 적극 활용, 지역배송센터 재고 최대 축소 운영, 타사 제품 취급여력 창출.
→가능한 지역은 무재고거점 운영.
→기존 거점으로 도매물류사업 최대한 수용.
→사료는 수요지 특성 감안, 필요한 곳은 단독 운영.
-광역물류센터 운영
-무재고 데포 운영(CROSS DOCKING SYSTEM 도입)
데포의 정의 및 목적
물류의 주된 기능을 보관, 파킹분배, 수송기능이라고 볼 때 보관과 파킹 기능이 생략된 센터를 말한다. 따라서 데포는 재고없이 母DC로부터 출고제품을 받아 분배배송하므로 재고의 통합화, 수송의 분실화 효율을 최대로 높이는 전략을 추구한다.
-하역부문 협력업체 운영(외주화)
-하역 협력업체 평가제도 운영
-환경변화 대응의 재고관리
7. 생산물류시스템의 구축
-추진배경
종합물류시스템 중 생산과 물류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이 시스템은 생산라인의 자동화와 물류라인을 컴퓨터로 연결하여 공장운용 전분얀의 기능을 높이고 FA와 OA를 통합한 미래의 공장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추진하였다.
-운영방법
기준생산 일정계획
공장별, 설비별 용량 기준을 정립하여 판매계획, 공정능력을 감안한 기간별, 제품별 생산 체계 시뮬레이션을 구축하면서 자재적정재고에 의한 자
2. 비전/ 경영이념
-고객(Customer Focus): 항상 고객의 Needs를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존중(Respect for the Individual): 서로를 존중하고 개인의 발전을 지원한다.
-팀웍(Teamwork): 자신과 부서의 이해를 넘어 공동의 이익을 위해 동료들과 협력한다.
-창의(Creativity): 최초의 것, 최고의 것, 남다른 것을 위해 늘 새로운 방법을 추구한다.
-도전(Entrepreneurship): 각자의 직책에서 리스크를 기꺼이 수용하며, 그 결과에 대해 책 임을 진다.
-정직 (Honesty): 내외부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받기 위해 어떤 상황에서도 정직하게 행동 한다.
3. 매출액(2000년 기준)
-매출액: 2,182,476,502
-국내매출액: 1,966,424,756
-수출액: 214,310,014
-부제품 매출액: 1,741,732
(단위: 천원)
4. 유통경로
CJ의 유통경로는 공장에서 물류센터의 비율(26%)에 비해 공장에서 실수요 거래처의 직거래 비율(42%)이 높은 편이다.
20.000개 이상의 거래처(유통업체, 대리점, 병원, 약국, 농촌 등)에 직접 납품하는 형태가 많아 물류 서비스 전략이 중요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실수요 거래처에 직거래 비율(42%)과 초대형 거래처의 직송비율(8%)을 합하면 약50%는 직거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지역물류센터의 통폐합 축소 문제도 물류 거점별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5. 수배송 혁신작업
해상수송 도입(인천→부산간)
제주권 해상수송 개선
복합 연계수송 시스템
셔틀 수송시스템
수송차량의 대형화
배차관리의 전산화
수송정보 온라인 시스템
권역별 수송 시스템
야간수송 시스템
철도수송 도입 추진
6. 물류거점 전략
-물류거점 운영 기본 전략
물류거점의 성격 구분
구분
식품생활
육가공냉동
사료
제약
보관특성
상온
상온+냉장+냉동
상온
냉장+상온
유통경로
대리점,신경로
대리점,신경로
사양가, 위탁점
도매,병원,약국
물류거점 기능 구분
단순 지역배송센터 개념에서 광역물류센터, 지역 배송 센터 개념으로 기능을 구분하여 운영.
물류거점 운영 기본 방향
→거점수 축소, 규모 대형화, 임차 자가화, 지역 통폐합 조정
→광역물류센터 적극 활용, 지역배송센터 재고 최대 축소 운영, 타사 제품 취급여력 창출.
→가능한 지역은 무재고거점 운영.
→기존 거점으로 도매물류사업 최대한 수용.
→사료는 수요지 특성 감안, 필요한 곳은 단독 운영.
-광역물류센터 운영
-무재고 데포 운영(CROSS DOCKING SYSTEM 도입)
데포의 정의 및 목적
물류의 주된 기능을 보관, 파킹분배, 수송기능이라고 볼 때 보관과 파킹 기능이 생략된 센터를 말한다. 따라서 데포는 재고없이 母DC로부터 출고제품을 받아 분배배송하므로 재고의 통합화, 수송의 분실화 효율을 최대로 높이는 전략을 추구한다.
-하역부문 협력업체 운영(외주화)
-하역 협력업체 평가제도 운영
-환경변화 대응의 재고관리
7. 생산물류시스템의 구축
-추진배경
종합물류시스템 중 생산과 물류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이 시스템은 생산라인의 자동화와 물류라인을 컴퓨터로 연결하여 공장운용 전분얀의 기능을 높이고 FA와 OA를 통합한 미래의 공장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추진하였다.
-운영방법
기준생산 일정계획
공장별, 설비별 용량 기준을 정립하여 판매계획, 공정능력을 감안한 기간별, 제품별 생산 체계 시뮬레이션을 구축하면서 자재적정재고에 의한 자
추천자료
(유통관리론) 점포소매상 정리
유통관리 사례 eBay(이베이)
[유통관리]중국유통환경분석과 중국진출 할인점의 광고기획
[유통관리론]쇼핑아울렛의 현황과 문제점 및 미래성장방안 (A+리포트)
[유통관리론]택배서비스 시장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유통관리론]국내 편의점산업 현황 및 GS25의 성공전략 분석
[유통관리론] CJ홈쇼핑 유통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유통관리론(창업)
[유통물류관리] 지게차,크레인,컨베이어
유통경로관리,피쉬&그린,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유통기구][유통][유통기구 정의][유통기구 소매상][유통기구 도매상][유통기구 물류관리시스...
[유통경로][유통경로 제조업체 촉진활동][유통경로 갈등관리]유통경로의 개념, 유통경로의 중...
[유통경로][유통경로 설계][유통경로 관리][유통경로 근대화][유통경로 통합]유통경로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