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일본부논쟁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나일본부논쟁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임나일본부설의 성립

3. 기마민족 정복왕족설

4. 일본열도내 분국설

5. 위왜 자치집단설

6. 백제군 사령부설

7. 임나지배설의 축소 및 외교교역설

8. 안라왜신관설의 제기

9. 맺음말

10. 참고자료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즉 안라국에 있는 여러 왜인 신하들이라고 부른 말이 한번 나오는데 이것이 당시의 호칭이었을것
으로 보이며 임나일본부가 아니라 안라왜신관으로 용어를 바꾸는 것이 선입견을 배제하는 첫 번
째 조치이다. 안라왜신관은 530년 중엽 백제가 친백제계 왜인 관료를 안라에 배치함으로써 성립
되었으며 당시의 안라왜신관은 백제가 안라에 설치한 대왜무역의 중개기관이라고 볼수 있다. 이
러한 점에서 안라왜신관은 특수 외무관서로 임나지배를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었음을 입증한다.
임나일본부와 관련하여 가야사와 고대 한 일 관계사에 대한 논쟁사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있으며 4c 이전의 역사상은 불분명한점이 많은 한편 그 시기를 반영하는 사료인 「광개토왕릉비」와 고고학적 유물자료에 대해 부단한 연구가 필요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