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브릭스의 정의
2. 최근 브릭스의 부상
Ⅱ. 본 론
1. 브릭스 부상의 배경
- 지속적인 세계화에 따른 무역 투자 확대
- 국제 자본 흐름의 변화
- 숨겨진 구매력 효과
2. 브릭스의 경제현황 및 전망
3. 브릭스 가입국에 대한 진단
1) 브라질
2) 러시아
3) 인 도
4) 중 국
4. 브릭스와의 한국의 경제 협력 현황
Ⅲ. 결 론
1.BRICs 부상의 의미
2. 브릭스에 대한 미래 예상
- 브릭스, 향후 수십 년 간 견고한 성장 예상
- 2050년 세계 경제의 희망 - BRICs
- 세계의 공장 브릭스를 선점하라
*추가기사
1. 브릭스의 정의
2. 최근 브릭스의 부상
Ⅱ. 본 론
1. 브릭스 부상의 배경
- 지속적인 세계화에 따른 무역 투자 확대
- 국제 자본 흐름의 변화
- 숨겨진 구매력 효과
2. 브릭스의 경제현황 및 전망
3. 브릭스 가입국에 대한 진단
1) 브라질
2) 러시아
3) 인 도
4) 중 국
4. 브릭스와의 한국의 경제 협력 현황
Ⅲ. 결 론
1.BRICs 부상의 의미
2. 브릭스에 대한 미래 예상
- 브릭스, 향후 수십 년 간 견고한 성장 예상
- 2050년 세계 경제의 희망 - BRICs
- 세계의 공장 브릭스를 선점하라
*추가기사
본문내용
The Path To 2050) 보고서의 한 대목이다.
이 보고서는 브릭스의 경제성장률과 투자, 생산성 요인을 감안할 때 2050년 중국이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인도일본브라질러시아영국이 각각 2~7위를 차지해 G7 그룹이 재편된다는 것.
브릭스로 불리는 4개국의 경우 국민소득이나 교역규모 측면에서 아직 높은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세계 인구의 42.6%(2002년), 면적의 28.7%를 차지하고 있어 무한한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 선진국과 세계적인 초우량 기업들이 브릭스 시장 선점을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기업들도 그 격전의 최전방에서 일전을 치르고 있다.
◆총 수출액 중 브릭스 비중 23% = 산업자원부와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 브릭스 수출은 전년(408억 달러)대비 42.1% 증가한 579억 달러로 나타났다. 전체 수출액의 22.6%다. 올 1분기에는 159억 달러 수출로, 전체 수출의 23.6%를 차지, 지난해 말보다 1% 늘었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수출이 498억 달러(올 1분기 137억 달러)로 가장 높다. 지난해는 전년대비 41.7% 증가율을 보였고, 우리나라 총 수출액의 19.6%를 차지했다. 올 1분기 수출비중은 20%대(20.4%)를 넘어섰다.
인도는 전년대비 27.3% 증가한 36억 달러(10억 달러), 러시아는 41.0% 늘어난 23억 달러(7억 달러)로 조사됐다. 브라질은 규모면에서 브릭스 국가 중 가장 작지만 증가율이 56.4%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18억 달러(5억 달러)를 수출했다. 휴대폰과 관련부품 수출이 각각 101%, 85%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이는 국내기업의 공격적 마케팅과 정부의 수출보험 정책이 맞아떨어지면서 시너지효과를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보험공사(사장 김송웅)는 지난해 중국 8조5274억3831만원(8만8621건), 인도 1조6711억644만원(7937건), 브라질 1조6668억581만원(5253건), 러시아 2502억8625만원(60건)을 지원했다.
◆중국에 연 8조5천억 수출보험 지원 = 브릭스 중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은 지난해 긴축정책 속에도 9.4%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올해 역시 내성 강한 경제구조와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8%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중국은 물동량 또한 급증하고 있는데, 해상운송 수요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수출보험공사는 지난해 중국 해운선사인 CSCL에 대한 컨테이너 선박 수주거래에 대해 처음으로 수출보험을 지원했다. 중국 해운선사인 CSCL이 삼성중공업과의 컨테이너 선박 수주거래와 관련, 선박대금 지불에 필요한 금융지원을 요청했기 때문. 수입자 CSCL은 수출자인 삼성중공업의 9580TEU 컨테이너선 2척을 척당 1억달러에 구매키로 했었다. 이에 수출보험공사는 보험가입대상인 연불원금(계약금액의 80%)에 대해 95%의 부보율로 인수했다. 보험기간은 총 14년6개월로, 인출기간 2년6개월, 상환기간 12년이다. CSCL의 경우 앞으로 20척의 컨테이너선 발주를 계획하는 등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중국의 해운 물동량 수요에 따라 선박발주를 늘릴 예정이어서 향후 수주경쟁에 있어 유리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수출보험공사의 이번 지원 건은 수출신용과 선박금융이 결합된 최첨단 인수기법을 적용, 무역금융부문의 세계적 권위지인 트레이드 파이낸스로부터 2004년을 빛낸 수출거래로 선정되기도 했다.
◆휴대폰으로 브라질 진출 교두보 마련 = 브라질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98년부터 2004년까지 연평균 44% 이상 성장했다. 당시 740만명이던 가입자가 올 1월말 현재 6670만명(2004년 신규가입자 1900만명)에 이른다. 현재 브라질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휴대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팬택엔큐리텔은 지난해 모토로라 ODM 방식과 함께 자체브랜드로 진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휴대폰 220만대를 생산했고, LG전자는 연산 220만대의 현 공장을 2007년까지 650만대 규모로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수출보험공사는 국내 휴대폰 업체의 브라질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해 브라질 주요 이동통신사에 대한 보상한도를 책정했다. 올 3월말 현재 약 8000만 달러의 보상한도가 VIVO, CLARO, TIM Brasil, Oi 등 주요 이통통신그룹 13개 계열사에 분할 책정됐다. 지난해 말까지만 하더라도 보상한도가 2000만달러에 불과했으나, 시장 분석을 통해 신규 한도를 적극적으로 책정한 것. 때문에 수출보험으로 지원된 지난해 브라질 휴대폰 수출금액은 8500만달러에서 올해 6배 이상 증가한 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올 상반기 중 6000만달러 규모의 보상한도가 추가 책정되면 브라질로 수출되는 휴대폰의 대부분은 수출보험 지원을 받을 전망이다. 이 경우 수출기업의 적극적인 전략과 맞물려 대 브라질 휴대폰 및 부품 수출액은 올해 10억 달러쯤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업계 역시 2007년 이후 브라질 휴대폰 내수로 추정되는 2700만대 중 절반쯤을 공급, 브라질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중남미 휴대폰 단말기 생산의 전초 기지로 브라질 역할이 확대되면 중남미에서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이 노키아 등을 능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출처: 내일신문/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Ⅲ. 결 론
1.브릭스 부상의 의미
1) 세게 경제 체제의 변화
브릭스 국가들이 예측대로 성장과 발전을 거두면, 세계 인구와 소비수요의 증가가 대부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개발도상국의 기업들이 무역확대와 해외 투자를 통해 위상을 확보할것이다. 세계 경제성장의 열매는중국과 인도 같은 개발도상국들이 대부분 차지 할것이기 때문이다. 자본시장에서 엄청난 파워를 보유하고 상품이나 노동 생산요소 금융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 경제판도에 상당한 지각변동을 일으킬것이다.
브릭스 국가들은 과학, 기술교육, 연구등 신기술 분야에서 기초연구 투자를 강화하여 선두국가로 부상할것이다. 브릭스에 대한 투자 비중이
이 보고서는 브릭스의 경제성장률과 투자, 생산성 요인을 감안할 때 2050년 중국이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인도일본브라질러시아영국이 각각 2~7위를 차지해 G7 그룹이 재편된다는 것.
브릭스로 불리는 4개국의 경우 국민소득이나 교역규모 측면에서 아직 높은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세계 인구의 42.6%(2002년), 면적의 28.7%를 차지하고 있어 무한한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 선진국과 세계적인 초우량 기업들이 브릭스 시장 선점을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기업들도 그 격전의 최전방에서 일전을 치르고 있다.
◆총 수출액 중 브릭스 비중 23% = 산업자원부와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 브릭스 수출은 전년(408억 달러)대비 42.1% 증가한 579억 달러로 나타났다. 전체 수출액의 22.6%다. 올 1분기에는 159억 달러 수출로, 전체 수출의 23.6%를 차지, 지난해 말보다 1% 늘었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수출이 498억 달러(올 1분기 137억 달러)로 가장 높다. 지난해는 전년대비 41.7% 증가율을 보였고, 우리나라 총 수출액의 19.6%를 차지했다. 올 1분기 수출비중은 20%대(20.4%)를 넘어섰다.
인도는 전년대비 27.3% 증가한 36억 달러(10억 달러), 러시아는 41.0% 늘어난 23억 달러(7억 달러)로 조사됐다. 브라질은 규모면에서 브릭스 국가 중 가장 작지만 증가율이 56.4%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18억 달러(5억 달러)를 수출했다. 휴대폰과 관련부품 수출이 각각 101%, 85%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이는 국내기업의 공격적 마케팅과 정부의 수출보험 정책이 맞아떨어지면서 시너지효과를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보험공사(사장 김송웅)는 지난해 중국 8조5274억3831만원(8만8621건), 인도 1조6711억644만원(7937건), 브라질 1조6668억581만원(5253건), 러시아 2502억8625만원(60건)을 지원했다.
◆중국에 연 8조5천억 수출보험 지원 = 브릭스 중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은 지난해 긴축정책 속에도 9.4%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올해 역시 내성 강한 경제구조와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8%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중국은 물동량 또한 급증하고 있는데, 해상운송 수요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수출보험공사는 지난해 중국 해운선사인 CSCL에 대한 컨테이너 선박 수주거래에 대해 처음으로 수출보험을 지원했다. 중국 해운선사인 CSCL이 삼성중공업과의 컨테이너 선박 수주거래와 관련, 선박대금 지불에 필요한 금융지원을 요청했기 때문. 수입자 CSCL은 수출자인 삼성중공업의 9580TEU 컨테이너선 2척을 척당 1억달러에 구매키로 했었다. 이에 수출보험공사는 보험가입대상인 연불원금(계약금액의 80%)에 대해 95%의 부보율로 인수했다. 보험기간은 총 14년6개월로, 인출기간 2년6개월, 상환기간 12년이다. CSCL의 경우 앞으로 20척의 컨테이너선 발주를 계획하는 등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중국의 해운 물동량 수요에 따라 선박발주를 늘릴 예정이어서 향후 수주경쟁에 있어 유리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수출보험공사의 이번 지원 건은 수출신용과 선박금융이 결합된 최첨단 인수기법을 적용, 무역금융부문의 세계적 권위지인 트레이드 파이낸스로부터 2004년을 빛낸 수출거래로 선정되기도 했다.
◆휴대폰으로 브라질 진출 교두보 마련 = 브라질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98년부터 2004년까지 연평균 44% 이상 성장했다. 당시 740만명이던 가입자가 올 1월말 현재 6670만명(2004년 신규가입자 1900만명)에 이른다. 현재 브라질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휴대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팬택엔큐리텔은 지난해 모토로라 ODM 방식과 함께 자체브랜드로 진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휴대폰 220만대를 생산했고, LG전자는 연산 220만대의 현 공장을 2007년까지 650만대 규모로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수출보험공사는 국내 휴대폰 업체의 브라질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해 브라질 주요 이동통신사에 대한 보상한도를 책정했다. 올 3월말 현재 약 8000만 달러의 보상한도가 VIVO, CLARO, TIM Brasil, Oi 등 주요 이통통신그룹 13개 계열사에 분할 책정됐다. 지난해 말까지만 하더라도 보상한도가 2000만달러에 불과했으나, 시장 분석을 통해 신규 한도를 적극적으로 책정한 것. 때문에 수출보험으로 지원된 지난해 브라질 휴대폰 수출금액은 8500만달러에서 올해 6배 이상 증가한 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올 상반기 중 6000만달러 규모의 보상한도가 추가 책정되면 브라질로 수출되는 휴대폰의 대부분은 수출보험 지원을 받을 전망이다. 이 경우 수출기업의 적극적인 전략과 맞물려 대 브라질 휴대폰 및 부품 수출액은 올해 10억 달러쯤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업계 역시 2007년 이후 브라질 휴대폰 내수로 추정되는 2700만대 중 절반쯤을 공급, 브라질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중남미 휴대폰 단말기 생산의 전초 기지로 브라질 역할이 확대되면 중남미에서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이 노키아 등을 능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출처: 내일신문/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Ⅲ. 결 론
1.브릭스 부상의 의미
1) 세게 경제 체제의 변화
브릭스 국가들이 예측대로 성장과 발전을 거두면, 세계 인구와 소비수요의 증가가 대부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개발도상국의 기업들이 무역확대와 해외 투자를 통해 위상을 확보할것이다. 세계 경제성장의 열매는중국과 인도 같은 개발도상국들이 대부분 차지 할것이기 때문이다. 자본시장에서 엄청난 파워를 보유하고 상품이나 노동 생산요소 금융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 경제판도에 상당한 지각변동을 일으킬것이다.
브릭스 국가들은 과학, 기술교육, 연구등 신기술 분야에서 기초연구 투자를 강화하여 선두국가로 부상할것이다. 브릭스에 대한 투자 비중이
추천자료
APEC의 정의, 의의, 추진배경,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세계화의 정의, 특징, 배경, 당위성과 세계화 교육
치료레크리에이션( 발전방향과 정의,문제점, 배경등 포함)
사회보장의 개념과 정의 및 의료보장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논하시오.
홀리스틱교육의 정의, 홀리스틱교육의 배경, 홀리스틱교육의 특징, 홀리스틱교육의 기본방침,...
홀리스틱교육의 정의, 홀리스틱교육의 유래, 홀리스틱교육의 도입배경, 홀리스틱교육의 기본...
중소벤처기업의 정의, 중소벤처기업의 특징, 중소벤처기업의 배경, 중소벤처기업의 지원내용,...
지식경영의 개념_ 지식경영의 정의와 필요성, 등장배경, 구성요소
델(DELL)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 전략 (SCM 정의, DELL의 SCM을 선택한 배경, 기업...
세계화의 의의(개념정의)와 배경, 우리나라(한국)에서 세계화의 전개과정, 세계화시대의 국가...
건강가정기본법 [건강가정기본법 정의, 건강가정기본법의 배경]
사례관리의 정의와 특성,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의 출현배경
NLP [정의 역사 이론적 배경 전제조건 주요기법 적용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