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실태와 질병 영양사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강실태와 질병 영양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인의 건강실태-보사부 통계자료
1) 보건통계로본 건강실태
2) 체위의 변화, 평균수명의 증가

2. 한국인의 질병구조 변화
1) 사망원인의 변화양상
2) 중요질병원인의 변화

3. 지역사회에서 실시되는 영양사업
1) 보건소 영양사업
2) 시범 보건소의 영양사업
3) 일반 보건소의 영양사업


4. 참고문헌
* 홍순명 「영양 상태판정 및 영양상담」대하출판사 2005
* 구재옥.박혜련,손숙미「지역사회영양학」방송대출판부 2005
* 이명,이민준 공저「영양교육」신광출판사 2002

본문내용

222
-
663
629
606
< 표 3-1> 우리나라의 주요 보건통계자료의 연도별 변화
자료: 통계청,2002
2)평균수명의 증가
2001년 8월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의학발달과 영양상태 개선에 힘입어 20년 전보다 10년 정도 늘어났다. 그래서 한국인 남자의 평균수명은 71.71세, 여자는 79.22세로 남자의 경우 경제개발 협력기구(OECD) 20개국 평균인 73.9t보다는 2.2세가 낮지만 여자는 평균인 80.3세에 접근했다고 볼 수 있다.
2. 한국인의 질병구조 변화
한국인의 질병 구조의 변화를 보면 1960년대까지만 해도 폐렴과 결핵, 소화기 질환이 주요 사인이었으나 1970년대에 들어와서는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감염 및 악성 신생들이 주요 사인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 이후에는 계속해서 순환기 질환과 악성 신생물이 주요 사인이 되고 있다. 1985년에는 악성 신생물에 의한 사망률이 인구 10만명 당 74.2였던 것이 1994년에는 109.8명으로 증가하였고 1998년에는 114.3명이다.
1998년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은 순환기 질환이 23.9%로 가장 높고 다음은 악성 신생들에 의한 사망으로 21.4%를 차지하고 있다. 당뇨병의 경우는 1985년 인구 10만명 당 5.9명이었던 것이 1994년에는 16.1명으로 거의 2.7배가 되었고 1998년에는 17.0명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질병 양상의 변화는 식생활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앞으로 서구화된 식사가 더 자리를 잡게 되면 건강상 위협이 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식생활 형태는 해방 이후 많은 변화를 거쳤는데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인구 및 경제력의 변화, 농협기술의 혁신, 식품산업 분야의 발달, 외래문화의 유입, 의학. 영양학 등 건강관련 분야의 발달, 국민의식 구조 및 가족제도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서구식 식사는 현재 만성 퇴행성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고유의 식생활이 갖는 건강상의 의미를 자각하여 계승, 발전하고 개개인이 전통과 수정을 적절히 조화하여 지혜로운 식생활을 영위하여야겠다.
1) 사망원인의 변화양상
1966년까지는 폐렴, 기관지염, 결핵 등이 주요 사망원인이었지만, 1980년대 이후로 호흡기계질환은 크게 감소하고 악성신생물(암)과 순환기계질환에 의한 사망비율이 크게 높아져 2003년에는 악성신생물과 순환기계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이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의 사망원인이 되는 질병구조가 선진국형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표 3-2참조).
<표 3-2>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의 변화양상
1983
1987
1990
1993
1997
2003
감염성질환
결 핵
악성신성물
위 암
식도암
간 암
폐 암
대장암
자궁암
유방암
내분비영양대서잘환 및
면역장애
당뇨병
순환기계질환
허혈성심질환
고혈압성질환
뇌혈관질환
호흡기계질환
폐 렴
소화기계질환
만성간질환 및간경변증
손상 및 중독(사고)
교통사고
중 독
익 사
자 살
기타 사고사
(단위 :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수)
2) 중요 질병 원인의 변화
식품산업의 발달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 지방과 설탕을 가미한 가공식춤의 증가로 섬유소 부족과 식품의 과다소비 현상을 초래하여 활동량 감소와 함께 영양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비만이 증가하고 질병패턴도 고지혈증, 순환기계 질환, 당뇨병, 암 등 만성퇴행성 질환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김혜련(1996)의 보고에 따르면 1980년대 이후 사망 및 질병 동향을 보면 식사 섭취와 생활양식이 발병원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순환기계 질환 및 암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 중 우선 순위를 차치하고 있으며 그 비중이 또한 지속적으로 높아가고 있으며 고혈압, 당뇨병, 허혈성 심질환 등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만성퇴행성 질환은 치료가 어렵고 사망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어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키며 의료보험 재정에 부담을 주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의 질병예방과 건강관리에서 보다 예방적이고 비용절감적이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영양과 식사섭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2002년 우리나라의 사망자 총 소 247천명 중 암(악성신생물) 사망자가 63천명(전체사망자의 25.6%)으로 사망원인 순위 1위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뇌혈관질환(2위), 심장질환(3위), 당뇨병(4위), 만성하기도질환(5위) 순이었다(그림3-1). 1일 평균 사망자수는 암 172명, 죄혈관질환 102명, 심장질환49명, 당뇨병 33명, 만성하기도 질환 30명이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5대 사망원인인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자수가 141천명(총사망자의 57.3%)으로 전체 사망자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 사인순위를 보면 남자는 여자에 비해 간 질환(4위), 운수사고(5위) 순위가 높고, 여자는 당뇨병(4위), 만성하기도질환(5위) 순위가 높았다(표 3-1). 연령계층별 사인순위를 보면 20대 이하에서는 운수사고, 30대이상에서는 암 사망률이 가장 높고, 사인순위 2위를 보면 10대 이하에서는 암이고 20~30대는 자살 순위가, 40대에서는 간질환이고 50대 이후에는 뇌혈관질환의 사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지역사회에서 실시되는 영양사업
1)보건소의 영양사업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모자건강교실 운영
새로운 생명과 모체에게 좋은 영양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분만 후 일상생활이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식생활 지도를 한다.
②어린이 영양관리
어린이가 무엇을 얼마나 먹어야 하고 어떤 식품을 선택해야 하며 모순된 영양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등의 영양교육은 어릴때부터 식사를 통해 이루어 지도록 한다.
③ 성인기의 영양관리
인생을 건강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만성 퇴행성 질환의 예방은 최대의 과제이다. 만성 퇴행성 질환은 오랜 동안의 생활습관, 특히 식생활 방법에 큰 영향을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