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본문내용
drawer test)
5. 전족부 신경종 압착검사(Forefoot neuroma squeeze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눕는다. 환자의 전족을 잡는다. 그리고 중족골 부위를 짜듯이 꼭 쥔다.
원리 : 신경종을 동반한 중족골통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증가된 통증을 재현 할 수 있다.
고전적 의미 : 관통하는 듯한 통증의 재현 또는 바늘로 찌르는 긋한 통증은 신경종에 대한 양성반응이다.
임상적 의미: 비록 중족골에서는 잘 발달되는 것은 아니기는 하지만 중족골 내에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는 발을 압박하게 되면 이와 같은 증상이 발현된다.
추적검사 : 스투룬스키의검사(Strunsky\'s test), 티넬의 족부검사(Tinel\'s foot test)
6. 호파의 징후(Hoffa\'s sign)
방법 : 환자는 검사대에 엎드려 눕게 하고, 양발을 검사대 끝에 약간 나오게 한다. 검사자는 환자의 발바닥에 손을 펴서 놓고 발목을 움직여 본다.
원리 : 종골결출 골절일 경우에 아킬레스 건은 긴장을 잃어 힘없이 당겨질 것이다.
고전적 의미: 아킬레스건의 긴장 감소 또는 족관절 배굴이 정상보다 약간 더 진행될 때 종골결출 골절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임상적 의미 : 징후(sign)가 양성일 때 검사의 간단한 그리고 좋은 방법은 환자에게 발끝으로 걸어보라고 하는 것이다. 만약에 결출골절이 있다면 환자는 이렇게 걸울 수가 없다.
추적검사 : 시몬드의 검사(Simmond\'s test), 아킬레스건 타진 검사(Achilles tap test)
7. 클라이거 검사(Kleiger test)
방법 : 환자를 검사대에 걸터앉게 한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는 환자의 발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경골 하단을 잡은 다음 발을 외반 시킨다.
원리 : 족관절의 삼각인대는 발을 외반 할때 지지해 주기 때문에 손상을 받지 않도록 방지해 준다. 위의 검사에서 외측 회전을 시행할 대 외반 요소가 잘 나타난다.
고전적 의미 : 족관절의 내측에 통증이 있고 거골의 여분의 움직임이 있다면 이것은 거골의 족관절의 내과측으로 전위가 된 것이며 삼각인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임상적 의미 : 일부 사람들은 족관절의 움직임에 여분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며 댄서의 경우이다. 문제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양측을 비교해 보고 만약 이완된 정도가 같다면 그것은 정상인 것이다.
추적검사 : 외측 안정성 검사(Lateral stability test), 내측 안정성 검사(Mediall stability test)
8. 외측안정검사(내반검사)(Lateral stability test(Inversion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눕는다. 한 손으로는 발목 뒤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박바닥을 잡아 수동적으로 발을 내반으로 회전시킨다.
원리 : 내반이나 외반의 정상적인 운동범위는 인대에 의해서 좌우된다. 따라서 인대의 소낭은 과도한 관절 움직임을 초래한다.
고전적 의미 : 만약 관절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일어난다면 전거비인대 또는 종비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족관절에서의 인대손상은 대부분 내반염좌가 일어난다. 그리고 항상 전거비인대에 문제가 있다.
임상적 의미: 영아와 어린이는 정상적으로 족관절에 여분의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인대손상이라고 잘못 판단하기 쉽다. 항상 건측과 비교해야 한다.
추적검사 : 족부서랍검사, 내측 안정성 검사(Mediall stability test)
9. 내측 안정성 검사(외반검사)(Mediall stability test(Eversion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눕는다. 한손으로 발목 뒤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발바닥을 잡아 동적으로 발을 외반으로 회전시킨다.
원리 : 내반이나 외반의 정상적인 운동범위는 인대에 의해서 좌우된다. 따라서 인대의 소낭은 과도한 관절 움직임을 초래한다.
고전적 의미 : 만약 과도한 관절 움직임이 일어난다면 삼각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외반염좌는 내반염좌처럼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내측 종아취가 내려앉은 사람은 외반염좌를 받기 쉽다.
임상적 의미 : 영아와 어린이는 정상적으로 족관절에 열분의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인대손상이라고 잘못 판단하기 쉽다. 항상 건측과 비교해야 한다.
추적검사 : 족부서랍검사, 외측 안정성 검사(Lateral stability test)
10. 중족골검사(Metatarsal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누워 양발을 검사사대 끝으로 약간 나오게 한다. 발가락을 강하게 배굴하여 발의 볼이 튀어나오게 한다. 반사해머를 사용하여 돌출된 중족지절관절을 때린다.
원리 : 중족골이 전방으로 쏠려 있으면 관절 내에 염증이 발생되기 쉽다. 전방 중족골통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발에서 볼을 때리면 검사하고자 하는 곳 위에 통증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고전적 의미 : 염증이 있는 중족지절관절을 해머로 때릴 때 통증이 있으면 양성을 의미한다.
임상적 의미 : 몰톤의 신경종(Morton\'s neuroma)은 3~4의 중족골관절에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족부 신경종 압박검사를 시행하여 양성을 나타내는지도 검사한다.
추적검사 : 전족부 신경종 압박검사(Forefoot neuroma squeeze test), 스트룬스키의 검사(Strunsky\'s test)
11. 거골 좌우측 안정성 검사(Side to side talar test)
방법 : 환자는 걸터 앉게 하고 , 검사자는 한손은 환자의경골 하단을 잡고 다른 한손은 양측의 복사뼈 아래의 거골을 잡는다. 거골을 조우로 움직여 본다.
원리 : 이러하 동동은 거비관절에 따른 순수한 힘 때문이다. 만일 이 부위가 안정되어 있다면 아무런 움직임을 느낄수가 없을 것이다 움직임이 있다면 반대측과 비교해 보도록한다.
고전적 의미 : 지나친 움직임이나 통증은 경비인대가 단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적 의미 : 손상은 후방거비인대, 거경인대가 포함될수 있다.
추적검사 : 내측외측 안정성 검사
12. 심몬드의 검사(톰프손검사)(Simmon\'d test(Thompson test))
방법 : 환자는 엎드려 누워 무릎을 90도 구부린다. 검사자는 환자의 종아리를 짜듯이 잡는다.
원리 : 하퇴근의
5. 전족부 신경종 압착검사(Forefoot neuroma squeeze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눕는다. 환자의 전족을 잡는다. 그리고 중족골 부위를 짜듯이 꼭 쥔다.
원리 : 신경종을 동반한 중족골통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증가된 통증을 재현 할 수 있다.
고전적 의미 : 관통하는 듯한 통증의 재현 또는 바늘로 찌르는 긋한 통증은 신경종에 대한 양성반응이다.
임상적 의미: 비록 중족골에서는 잘 발달되는 것은 아니기는 하지만 중족골 내에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는 발을 압박하게 되면 이와 같은 증상이 발현된다.
추적검사 : 스투룬스키의검사(Strunsky\'s test), 티넬의 족부검사(Tinel\'s foot test)
6. 호파의 징후(Hoffa\'s sign)
방법 : 환자는 검사대에 엎드려 눕게 하고, 양발을 검사대 끝에 약간 나오게 한다. 검사자는 환자의 발바닥에 손을 펴서 놓고 발목을 움직여 본다.
원리 : 종골결출 골절일 경우에 아킬레스 건은 긴장을 잃어 힘없이 당겨질 것이다.
고전적 의미: 아킬레스건의 긴장 감소 또는 족관절 배굴이 정상보다 약간 더 진행될 때 종골결출 골절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임상적 의미 : 징후(sign)가 양성일 때 검사의 간단한 그리고 좋은 방법은 환자에게 발끝으로 걸어보라고 하는 것이다. 만약에 결출골절이 있다면 환자는 이렇게 걸울 수가 없다.
추적검사 : 시몬드의 검사(Simmond\'s test), 아킬레스건 타진 검사(Achilles tap test)
7. 클라이거 검사(Kleiger test)
방법 : 환자를 검사대에 걸터앉게 한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는 환자의 발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경골 하단을 잡은 다음 발을 외반 시킨다.
원리 : 족관절의 삼각인대는 발을 외반 할때 지지해 주기 때문에 손상을 받지 않도록 방지해 준다. 위의 검사에서 외측 회전을 시행할 대 외반 요소가 잘 나타난다.
고전적 의미 : 족관절의 내측에 통증이 있고 거골의 여분의 움직임이 있다면 이것은 거골의 족관절의 내과측으로 전위가 된 것이며 삼각인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임상적 의미 : 일부 사람들은 족관절의 움직임에 여분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며 댄서의 경우이다. 문제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양측을 비교해 보고 만약 이완된 정도가 같다면 그것은 정상인 것이다.
추적검사 : 외측 안정성 검사(Lateral stability test), 내측 안정성 검사(Mediall stability test)
8. 외측안정검사(내반검사)(Lateral stability test(Inversion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눕는다. 한 손으로는 발목 뒤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박바닥을 잡아 수동적으로 발을 내반으로 회전시킨다.
원리 : 내반이나 외반의 정상적인 운동범위는 인대에 의해서 좌우된다. 따라서 인대의 소낭은 과도한 관절 움직임을 초래한다.
고전적 의미 : 만약 관절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일어난다면 전거비인대 또는 종비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족관절에서의 인대손상은 대부분 내반염좌가 일어난다. 그리고 항상 전거비인대에 문제가 있다.
임상적 의미: 영아와 어린이는 정상적으로 족관절에 여분의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인대손상이라고 잘못 판단하기 쉽다. 항상 건측과 비교해야 한다.
추적검사 : 족부서랍검사, 내측 안정성 검사(Mediall stability test)
9. 내측 안정성 검사(외반검사)(Mediall stability test(Eversion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눕는다. 한손으로 발목 뒤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발바닥을 잡아 동적으로 발을 외반으로 회전시킨다.
원리 : 내반이나 외반의 정상적인 운동범위는 인대에 의해서 좌우된다. 따라서 인대의 소낭은 과도한 관절 움직임을 초래한다.
고전적 의미 : 만약 과도한 관절 움직임이 일어난다면 삼각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외반염좌는 내반염좌처럼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내측 종아취가 내려앉은 사람은 외반염좌를 받기 쉽다.
임상적 의미 : 영아와 어린이는 정상적으로 족관절에 열분의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인대손상이라고 잘못 판단하기 쉽다. 항상 건측과 비교해야 한다.
추적검사 : 족부서랍검사, 외측 안정성 검사(Lateral stability test)
10. 중족골검사(Metatarsal test)
방법 : 환자는 바로 누워 양발을 검사사대 끝으로 약간 나오게 한다. 발가락을 강하게 배굴하여 발의 볼이 튀어나오게 한다. 반사해머를 사용하여 돌출된 중족지절관절을 때린다.
원리 : 중족골이 전방으로 쏠려 있으면 관절 내에 염증이 발생되기 쉽다. 전방 중족골통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발에서 볼을 때리면 검사하고자 하는 곳 위에 통증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고전적 의미 : 염증이 있는 중족지절관절을 해머로 때릴 때 통증이 있으면 양성을 의미한다.
임상적 의미 : 몰톤의 신경종(Morton\'s neuroma)은 3~4의 중족골관절에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족부 신경종 압박검사를 시행하여 양성을 나타내는지도 검사한다.
추적검사 : 전족부 신경종 압박검사(Forefoot neuroma squeeze test), 스트룬스키의 검사(Strunsky\'s test)
11. 거골 좌우측 안정성 검사(Side to side talar test)
방법 : 환자는 걸터 앉게 하고 , 검사자는 한손은 환자의경골 하단을 잡고 다른 한손은 양측의 복사뼈 아래의 거골을 잡는다. 거골을 조우로 움직여 본다.
원리 : 이러하 동동은 거비관절에 따른 순수한 힘 때문이다. 만일 이 부위가 안정되어 있다면 아무런 움직임을 느낄수가 없을 것이다 움직임이 있다면 반대측과 비교해 보도록한다.
고전적 의미 : 지나친 움직임이나 통증은 경비인대가 단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적 의미 : 손상은 후방거비인대, 거경인대가 포함될수 있다.
추적검사 : 내측외측 안정성 검사
12. 심몬드의 검사(톰프손검사)(Simmon\'d test(Thompson test))
방법 : 환자는 엎드려 누워 무릎을 90도 구부린다. 검사자는 환자의 종아리를 짜듯이 잡는다.
원리 : 하퇴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