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커리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베이커리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파리바케트& 뚜레쥬르 소개

Ⅲ. 상황분석

Ⅳ.SWOT분석

Ⅴ.시장 세분화 전략 (공통)

Ⅵ. 포지셔닝 전략

Ⅶ. 마케팅 믹스 / 성과

Ⅷ.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현재 제과업계는 약 2조원에 가까운 시장규모로 자리잡고 있다. 1990년을 기점으로 베이커리업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1990년 하반기에는 성숙기로 접어들었다. 현 시장에서 그 위치가 확고한 두 기업, 베이커리 시장에서 업계매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파리바게뜨와 소비자 만족도조사에서 3년연속 제과부문 1등을 고수한 뚜레쥬르를 선정하여 비교 조사해 보았다. 파리바게트와 뚜레쥬르의 기업소개와 상황분석, SWOT분석, 시장 세분화, 포지셔닝, 마케팅믹스 및 성과 등을 통해 알아보자.
Ⅱ. 파리바케트& 뚜레쥬르 소개
ⅰ. 파리바케트
파리바게뜨는 파리크라상의 회사명으로 1986년 10월 17일 ㈜샤니베이커리 사업부에서 발족 되었고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베이커리 전문회사라는 업종으로PARIS BAGUETTE란 브랜드로 가맹사업 실시하였다.1986 파리크라상 1호점 개점되었으며 1988 파리바게뜨란 이름으로 1호점이 광화문에 개점되었으며 국내 최초 냉동생지로 일본에 수출되었다.1997년 국내 프랜차이즈 최초로 600호점을 개점하였고 2000년 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 베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공용의 해피포인트 카드를 발매하였고 그리고 현재(2004년) 파리바케뜨는 4년 연속 한국산업의 브랜드 파워 1위로 인증었으며 파리바게뜨 중국 상하이 구베이에 1호점 개점하여 진출해 있다.
ⅱ. 뚜레쥬르
뚜레쥬르는 가장 신선하고 맛있는 빵을 만들려는 CJ의 노력으로 1996년 처음 선을 보였고 8월에 뚜레쥬르 (Tous les Jours) 프랑스어로 매일매일로 브랜드 이름이 확정 되었다.
1997년9월 뚜레쥬르 1호점이 오픈 했으며 냉동생지공장을 준공하여 대량생산과 점포공급을 시작하였다. 03년에는 점포수가 420개의 매출액이 820억 규모로 성장하였고 브랜드 다각화로 유럽풍 카폐 투썸플레이스에 진출하였다.
Ⅲ. 상황분석
ⅰ.거시적 환경 분석
기술적 환경 분석
최신 시설에 의한 냉동 반죽의 대량생산으로 신선한 빵을 공급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력
고유의 제빵 훈련원, 전문반 등에서의 구별된 기술자 배출
외국 선진 기술 도입
식품 기술 연구소에서 각종 인증 취득
경제적 환경
중국의 진출의 기회의 증가
사이버 쇼핑몰 개설
다른 업종과 혼합함으로써 새로운 수요 창출
저원가 고마진
사회 문화적 환경
간단히 아침식사를 하는 가정의 증가
신 소비추세 ‘웰빙족’
→잡곡& 채소가 첨가된 제품을 선호
바쁜 사회 생활의 간단한 식사 대용
ⅱ. 기업자원분석
파리바게뜨
구분
뚜레쥬르
1986년 10월 17일, 샤니베이커리 사업부 발족
설립일
1996년 2월 CJ 주식회사내 B-Project 팀 발족
-고품질, 혁신적인 마케팅을 고객만족 중심
-냉동생지를 통한 Bake-Off System을 베이커리 업계 최초로 도입 및 확산
-저원가, 고마진
-향후 소비 패턴에 대비
-제품정예화 및 제품구색 다양화
경영 방침
-냉동반죽 공장
-뚜레쥬르만의 차별화된 기술자 지원
-뚜레쥬르에서 자체 개발한 운영시스템 TIS를 통해 선진화된 매장 운영
-매장별 컨설턴트를 통한 합리적인 점포운영과 차별화된 판매전략
약 1200여개점
점포수
약 420여개점
(주)파리크라상, 비알코리아(주), (주)샤니, (주)삼립식품, 식품기술연구소, 한불제과제빵학원,
관계사 및 부설기관
CJ 주식회사, 뚜레쥬르 제빵 훈련원
ⅲ. 시장분석
국내 제빵업계 시장분석
① 시장흐름
60년대말부터 양산업계 형성-> 70년대초 정착(정부의 분식장려 정책에 고속신장)-> 80년 이후 소비자의 욕구 변화(고급화추세)-> 80년대 후반에 베이커리 업계의 주도권 장악->개인 제과점의 위기론 팽배
②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업계
파리바게뜨, 크라운베이커리, 뚜레쥬르, 신라명과, 고려당 등 : 5천73억원
③ 대형화, 브랜드화, 고급화 확산
1980년대 후반기에는 수입 자유화로 유럽 명품 제품이 국내에 보급 -외국 제과업체와 기술합작의 형태 등 고급화 확산
④ 다이어트식의 확대
건강빵류를 비롯, 바게뜨 등 프랑스빵과 페이스트리 제품의 신장세가 두드러짐.
⑤ 베이커리시장은 프랜차이즈형이 강세를 보이는데 반해 개인 제과점의 위축이 두드러짐. (2002년: 1조1800억원대의 시장 (2003년 2조2000억)
◆ 파리바게뜨는 어린이를 내세운 CF 제작으로 행복한 가족을 기업 이미지로 대체시키는 효과를 노리고 즉각적인 효과보다는 지속적인 고객 노출을 통한 선호적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뚜레쥬르는 공격적 점포 출점을 통한 브랜드 노출과 대언론 공보활동과 “카폐 뚜레쥬르”출점의 적극주력하며 브랜드와 고객의 선호도 구축의 전략하고 있다.
-연령별로 제과점 이용 분포차
크라운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고려당
신라명과
10대
29.1%
56.4%
1.8%
9.1%
3.6%
20~24세
22.2%
57.4%
13.3%
2.5%
3.4%
25~29세
25.%
55.7%
8.0%
3.6%
5.8%
30~34세
36.0%
47.5%
8.7%
3.3%
3.3%
35~39세
24.2%
60.4%
5.5%
3.3%
5.5%
40세 이상
28.3%
56.5%
4.3%
2.2%
8.7%
→연령별로 제과점의 선호도를 알아 봤을 때 업계의 1위답게 파리 바게뜨가 평균50%가 넘었고 뚜레쥬르는 평균 10%가 넘기 어려웠다.
Ⅳ.SWOT분석
파리바게트
구분
뚜레쥬르
신선도, 맛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
제휴판촉활동(sk카드 20% 할인)
본사차원의 지원 (프로모션 등)
강점
냉동반죽으로 신선한 빵을 공급
할 수 있는 구별된 기술력
점포생산성이 일반점포에 비해
3-4배 높음
TIS으로 능률적인 관리
매장별 제품의 변형불가
가격융통성 부족
프랜차이즈 브랜드간 차별화 부족
온라인 주문제도 비활성화
특정지역에 매장 과다 밀집
약점
종업원 교육이 어려움
온라인 주문
배달제도 활성화
프랜차이즈 제과점 선호추세
기회
강력한 경쟁자
업계점포수의 포화
해외 브랜드의 유입
전문매장(샌드위치, 케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5.1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