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지구의 에너지 자원
■ 재생가능한 새로운 에너지의 3가지 유형
■ 국내의 에너지사용
■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Ⅱ.에너지의 공급과 수요
■ 세계 에너지 여건과 환경변화
■ 세계 에너지사용 추이 및 전망
■ 환경변화 여건에 따른 에너지 수요 전망
Ⅲ.에너지 소비의 시간적 변화
Ⅳ.건축에서의 에너지 절약 방향
1. 공기식 집열창
■ 공기식 집열창의 개념
2. 태양열 에너지
■ 태양열 에너지의 장․단점
■ 태양열 에너지의 이용방법 분류
3. 지열 에너지
■ 지열 에너지의 특징
■ 지열 시스템의 종류
결론
※참고문헌 및 인터넷
Ⅰ.지구의 에너지 자원
■ 재생가능한 새로운 에너지의 3가지 유형
■ 국내의 에너지사용
■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Ⅱ.에너지의 공급과 수요
■ 세계 에너지 여건과 환경변화
■ 세계 에너지사용 추이 및 전망
■ 환경변화 여건에 따른 에너지 수요 전망
Ⅲ.에너지 소비의 시간적 변화
Ⅳ.건축에서의 에너지 절약 방향
1. 공기식 집열창
■ 공기식 집열창의 개념
2. 태양열 에너지
■ 태양열 에너지의 장․단점
■ 태양열 에너지의 이용방법 분류
3. 지열 에너지
■ 지열 에너지의 특징
■ 지열 시스템의 종류
결론
※참고문헌 및 인터넷
본문내용
될 것이다.
따라서, 화석에너지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향후 환경문제가 주요 이슈로 등장하게 될 것이 다. 실제로 최근 각종 국제적 환경협약이 발효(기후변화협약의` 발효등)됨에 따라 화석에 너지 사용규제의 강화 및 에너지효율 기준설정이 의무화되어 있어, 석유사용이 많은 우리 나라로서는 국가경쟁력의 약화요인으로 작용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 에너지자원의 세계적 매장량 및 가채년수
에너지
구분
석유
천연가스
석탄
우라늄
확인매장량
1,373억bbl
141조㎥
1만 755억t
(고품위탄)
232만t
가 채 년 수
43년
66년
328년
62년
■ 세계 에너지사용 추이 및 전망
세계 1차에너지 수요는 1990년을 기점으로 연율 2.9%로 증가하여 2005년에는 \'90년대디 약43%가 증가했다.
석유의존도는 소비절약 및 대체 에너지 개발의 진전에 따라 1990년 38.6% 수준에서 2000 년에는 36%로 저하되었으며, 반면에 석탄 및 천연 가스, 원자력 등의 비율은 늘어났다.
현재 세계 에너지흐름의 특징은 ‘화석에너지 의존형 체제’에서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 등과 같은 ‘기술의존형 체제’로 전환되고 있으며, 전기 및 가스와 같은 청정에너지의 수 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 세계 에너지사용 추이 및 전망
연 도
1979
1985
1990
1995
2000
2005
단 위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에너지원
석 유
3142
(46.1)
2034
(39.4)
3101
(38.6)
3653
(39.7)
3902
(38.1)
4147
(36.0)
석 탄
1819
(26.7)
2045
(28.4)
2192
(27.3)
2615
(28.4)
2933
(28.7)
3363
(29.2)
천연가스
1271
(18.6)
1459
(20.3)
1738
(21.6)
2089
(22.7)
2470
(24.1)
2938
(25.9)
원 자 력
156
(2.3)
347
(4.8)
461
(5.7)
584
(6.4)
640
(6.3)
692
(6.0)
수 력 등
432
(6.3)
508
(7.1)
541
(6.8)
251
(2.7)
289
(2.8)
337
(2.9)
계
6820
(100)
7193
(100)
8033
(100)
9192
(100)
10234
(100)
11522
(100)
■ 환경변화 여건에 따른 에너지 수요 전망
고도 산업사회의 경제사회적 변화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다양화에 따라 에너지 수요는 크 게 증가하여 1인당 에너지소비는 1992년 2.66TOE에서 2000년 3.8TOE, 2010년에는 1992년 대비 1.9배 증가한 5.12TOE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핵가족화로 인한 주택수요 욕구는 주택보급률을 2000년에 82.2%, 2010년에 85%로 증가 시켜 가정용 연료의 사용증가를 초래할 것이며, 자동차보급률에 있어서도 2000년에는 현재 의 4배, 2010년에 5배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연료 소비증가에 기인한 수송부문 에 너지소비가 증가될 전망이다.
한편, 에너지소비 구조는 편리하고 깨끗한 에너지 중심으로 확대전환에 따라 석유 및 석 탄 등과 같은 화석에너지의 구성비율은 점차 줄어들고 천연가스,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등과 같은 청정에너지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1차 에너지 장기수요 전망
(단위: 100만TOE)
연도
구분
1990
1993
2000
2010
석 유
50.2(53.8)
78.5(62.0)
99.4(55.9)
121.8(48.1)
석 탄
24.4(26.2)
25.3(20.0)
38.7(21.8)
50.1(19.7)
천 연 가 스
3.0(14.2)
5.7(4.5)
12.4(6.9)
24.5(9.7)
원 자 력
13.2(14.2)
15.0(11.8)
23.9(13.4)
48.2(19.0)
수 력
1.6(1.7)
1.5(1.2)
1.0(0.7)
1.1(0.5)
신 재 생 등
0.8(0.9)
0.6(0.5)
2.3(1.3)
7.6(3.0)
계
93.2(100.0)
126.6(100.0)
177.7(100.0)
7.6(3.0)
Ⅲ.에너지 소비의 시간적 변화
에너지 자원의 공급량이나 에너지형태별 또는 분야별 소비량은 시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단위 기간 1년 또는 1개월에 공급되거나 소비되는 에너지량은 추산되거나 실제 소비결과의 각종 통계로부터 작성된다. 이러한 연간 통계자료를 수년간, 수십년간 혹은 수백년간 수집하여 정리하면 수요와 공급의 시기적 변화를 알 수가 있고 이 변화의 추세를 이용하고 기타 에너지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면 장기적 에너지 공급과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할 수가 있다.
미국의 에너지 공급, 수요의 추세를 간추려 설명하면 몇가지 에너지수급에서의 특징을 엿볼 수가 있다
소비부문에서 각 분야별 에너지 소비증가는 전체 30년간에 평균적으로 꾸준한 상승세였으나 1973년의 오일쇼크사건은 미국의 에너지 사용증가를 둔화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볼수 있다. 만일 오일 쇼크가 없었더라면 에너지 소비량은 각 분야별로 계속 크게 증가하여 아마 1990년대의 실제 소비량의 두배정도는 증가하지 않았겠는가 하는 추산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1979년의 오일쇼크는 인류의 에너지 과소비 습관을 바꾸게 하는데 역설적으로 효력을 보인 사건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1973년과 1979년의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는 세계각국이 에너지 절약에 대하여 전에 없이 큰 관심을 갖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인류가 요구할 에너지를 어디서 얻어와야 할것인가, 즉 화석에너지 자원에 대신하는 대체에너지는 무엇인가를 심각하게 생각하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소비부문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에너지 사용에서 전기에너지의 손실량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현상은 매우 아이러니칼한 현상인데, 에너지소비절약에 관한 각 분야의 활동이 매우 활발한데도 불구하고 전기에너지 손실량이 전체에너지량의 비율면에서 증가하고 있고, 그 절대량 자체도 증가하고 있는 현상이다. 이것은 전력수송 등에서 수송거리가 길어지고 수송면적이
따라서, 화석에너지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향후 환경문제가 주요 이슈로 등장하게 될 것이 다. 실제로 최근 각종 국제적 환경협약이 발효(기후변화협약의` 발효등)됨에 따라 화석에 너지 사용규제의 강화 및 에너지효율 기준설정이 의무화되어 있어, 석유사용이 많은 우리 나라로서는 국가경쟁력의 약화요인으로 작용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 에너지자원의 세계적 매장량 및 가채년수
에너지
구분
석유
천연가스
석탄
우라늄
확인매장량
1,373억bbl
141조㎥
1만 755억t
(고품위탄)
232만t
가 채 년 수
43년
66년
328년
62년
■ 세계 에너지사용 추이 및 전망
세계 1차에너지 수요는 1990년을 기점으로 연율 2.9%로 증가하여 2005년에는 \'90년대디 약43%가 증가했다.
석유의존도는 소비절약 및 대체 에너지 개발의 진전에 따라 1990년 38.6% 수준에서 2000 년에는 36%로 저하되었으며, 반면에 석탄 및 천연 가스, 원자력 등의 비율은 늘어났다.
현재 세계 에너지흐름의 특징은 ‘화석에너지 의존형 체제’에서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 등과 같은 ‘기술의존형 체제’로 전환되고 있으며, 전기 및 가스와 같은 청정에너지의 수 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 세계 에너지사용 추이 및 전망
연 도
1979
1985
1990
1995
2000
2005
단 위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100만
TOE
(%)
에너지원
석 유
3142
(46.1)
2034
(39.4)
3101
(38.6)
3653
(39.7)
3902
(38.1)
4147
(36.0)
석 탄
1819
(26.7)
2045
(28.4)
2192
(27.3)
2615
(28.4)
2933
(28.7)
3363
(29.2)
천연가스
1271
(18.6)
1459
(20.3)
1738
(21.6)
2089
(22.7)
2470
(24.1)
2938
(25.9)
원 자 력
156
(2.3)
347
(4.8)
461
(5.7)
584
(6.4)
640
(6.3)
692
(6.0)
수 력 등
432
(6.3)
508
(7.1)
541
(6.8)
251
(2.7)
289
(2.8)
337
(2.9)
계
6820
(100)
7193
(100)
8033
(100)
9192
(100)
10234
(100)
11522
(100)
■ 환경변화 여건에 따른 에너지 수요 전망
고도 산업사회의 경제사회적 변화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다양화에 따라 에너지 수요는 크 게 증가하여 1인당 에너지소비는 1992년 2.66TOE에서 2000년 3.8TOE, 2010년에는 1992년 대비 1.9배 증가한 5.12TOE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핵가족화로 인한 주택수요 욕구는 주택보급률을 2000년에 82.2%, 2010년에 85%로 증가 시켜 가정용 연료의 사용증가를 초래할 것이며, 자동차보급률에 있어서도 2000년에는 현재 의 4배, 2010년에 5배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연료 소비증가에 기인한 수송부문 에 너지소비가 증가될 전망이다.
한편, 에너지소비 구조는 편리하고 깨끗한 에너지 중심으로 확대전환에 따라 석유 및 석 탄 등과 같은 화석에너지의 구성비율은 점차 줄어들고 천연가스,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등과 같은 청정에너지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1차 에너지 장기수요 전망
(단위: 100만TOE)
연도
구분
1990
1993
2000
2010
석 유
50.2(53.8)
78.5(62.0)
99.4(55.9)
121.8(48.1)
석 탄
24.4(26.2)
25.3(20.0)
38.7(21.8)
50.1(19.7)
천 연 가 스
3.0(14.2)
5.7(4.5)
12.4(6.9)
24.5(9.7)
원 자 력
13.2(14.2)
15.0(11.8)
23.9(13.4)
48.2(19.0)
수 력
1.6(1.7)
1.5(1.2)
1.0(0.7)
1.1(0.5)
신 재 생 등
0.8(0.9)
0.6(0.5)
2.3(1.3)
7.6(3.0)
계
93.2(100.0)
126.6(100.0)
177.7(100.0)
7.6(3.0)
Ⅲ.에너지 소비의 시간적 변화
에너지 자원의 공급량이나 에너지형태별 또는 분야별 소비량은 시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단위 기간 1년 또는 1개월에 공급되거나 소비되는 에너지량은 추산되거나 실제 소비결과의 각종 통계로부터 작성된다. 이러한 연간 통계자료를 수년간, 수십년간 혹은 수백년간 수집하여 정리하면 수요와 공급의 시기적 변화를 알 수가 있고 이 변화의 추세를 이용하고 기타 에너지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면 장기적 에너지 공급과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할 수가 있다.
미국의 에너지 공급, 수요의 추세를 간추려 설명하면 몇가지 에너지수급에서의 특징을 엿볼 수가 있다
소비부문에서 각 분야별 에너지 소비증가는 전체 30년간에 평균적으로 꾸준한 상승세였으나 1973년의 오일쇼크사건은 미국의 에너지 사용증가를 둔화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볼수 있다. 만일 오일 쇼크가 없었더라면 에너지 소비량은 각 분야별로 계속 크게 증가하여 아마 1990년대의 실제 소비량의 두배정도는 증가하지 않았겠는가 하는 추산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1979년의 오일쇼크는 인류의 에너지 과소비 습관을 바꾸게 하는데 역설적으로 효력을 보인 사건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1973년과 1979년의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는 세계각국이 에너지 절약에 대하여 전에 없이 큰 관심을 갖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인류가 요구할 에너지를 어디서 얻어와야 할것인가, 즉 화석에너지 자원에 대신하는 대체에너지는 무엇인가를 심각하게 생각하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소비부문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에너지 사용에서 전기에너지의 손실량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현상은 매우 아이러니칼한 현상인데, 에너지소비절약에 관한 각 분야의 활동이 매우 활발한데도 불구하고 전기에너지 손실량이 전체에너지량의 비율면에서 증가하고 있고, 그 절대량 자체도 증가하고 있는 현상이다. 이것은 전력수송 등에서 수송거리가 길어지고 수송면적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