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의 나라 쿠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혁명의 나라 쿠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서 론

Ⅱ.국가개요

Ⅲ.도시

Ⅳ.역사

Ⅴ.정치

Ⅵ.외교관계

Ⅶ.경제

Ⅷ.90년대 이후의 쿠바
참고문헌

본문내용

디언들은 거의 사라져 현재는 절멸하였다. 인디언들을 대신할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아프리카로부터 팔려온 흑인 노예들이 현재의 쿠바 흑인의 선조이다. 인구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백인과 흑인의 혼혈인 물라토 인종 쿠바의 정치, 경제,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전주민의 약 60%가 물라토, 약 25%가 에스파냐계 백인, 약 15% 흑인이며, 그 밖에 소수의 메스티소(백인과 인디언의 혼혈)가 있다.
2)인구 증가추이
쿠바의 인구는 1960년대의 700만 명에서 1991년에는 1,071만 명으로 53% 증가함으로써 연평균 1.39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60~70년에는 인구가 연평균 2%정도씩 증가하였으나 1970~80년에는 1.28%로 낮아졌으며 1980~1985년도에는 0.8%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1985년 이후에는 인구증가율이 조금씩 높아져 1.03%를 나타냈다.
1970~85년 사이의 인구증가율이 1960년대에 비해 현격히 낮아진 이유는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산률이 급격히 하락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인구구조
1991년말 현재 인구는 1,071만 명으로 남자가 538만 명(50.3%), 여자가 523만 명(49.7%)을 차지하고 있다. 쿠바의 인구를 연령구성별로 보면 20~24세 계층이 가장 많은 116만 명으로 전체의 10.8%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25~29세 계층이 112만 명으로 10.5%를, 그리고 15~19세 계층이 105만 명으로 9.8%를 차지하고 있다.
합계
남자
여자
총계
10,709(100.0)
5,382(50.26)
5,327(49.74)
0~4세
906(8.46)
464(4.33)
442(4.13)
5~9세
788(7.36)
403(3.76)
385(3.60)
10~14세
726(6.78)
371(3.46)
355(3.32)
15~19세
1,046(9.77)
534(4.99)
512(4.78)
20~24세
1,158(10.81)
592(5.53)
566(5.28)
25~29세
1,123(10.49)
566(5.29)
557(5.20)
30~34세
764(7.13)
379(3.54)
385(3.59)
35~39세
709(6.62)
351(3.28)
358(3.34)
40~44세
678(6.33)
333(3.11)
345(3.22)
45~49세
602(5.62)
297(2.77)
305(2.85)
50~54세
522(4.87)
260(2.43)
262(2.44)
55~59세
410(3.83)
203(1.90)
207(1.93)
60~64세
636(3.39)
179(1.67)
184(1.72)
65~69세
284(2.65)
142(1.33)
142(1.33)
70~74세
253(2.36)
124(1.16)
129(1.20)
75~79세
193(1.80)
93(0.87)
100(0.93)
80세 이상
184(1.72)
89(0.83)
95(0.89)
주 : ()안은 구성비임.
자료 : UN, Statistical Yearbook for Latin America and Caribbean, 1991
1991년 6월 현재 5~9세 및 10~14 구성의 인구가 15~19세 계층과 20~24세 계층에 비해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표 Ⅱ-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76년 이후 출생률이 급격히 감소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인구증가율
(%)
출생율
(천명당)
사망률
(천명당)
출산율
(여성1인당)
평균수명
(년)
1970~75
1.8
26.7
6.5
3.6
71.0
1976~80
0.8
16.6
6.0
2.1
73.1
1981~85
0.8
16.0
6.3
1.9
74.2
1986~90
1.0
17.5
6.5
1.8
75.2
1991~95
0.9
17.4
6.7
1.9
75.7
자료 : UN, Statistical Yearbook for Latin America and Caribbean, 1991
5) 인구전망
UN이 현재의 인구구조, 출산율, 사망률 등을 기초로 작성한 추계치에 따르면 쿠바의 인구는 2025년에 약 1,3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르면 1990~2025년 쿠바의 인구증가율은 1960~90년의 1.4%보다 훨씬 낮은 수치인 0.58%에 머무를 전망이다. ( 표<>참조)
인구
연평균 증가율
1990
10,608
-
1995
11,091
0.89
2000
11,504
0.73
2005
11,848
0.59
2010
12,155
0.51
2015
12,467
0.51
2020
12,756
0.46
2025
12,993
0.37
자료 : UN, Statistical Yearbook for Latin America and Caribbean, 1991
6.문화
아프리카 노예들에 의해 전래된 리듬과 의식에 사용되는 춤은 쿠바로 전해진 뒤 스페인의 기타, 멜로디와 혼합되었고 미국은 이러한 음악을 자기 것인 양 발전시켰다(1920년대 미국은 룸바 리듬에 심취하였고 재즈 풍의 관악기와 드럼이 혼합된 이 음악은 커다란 재즈 밴드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콩가 춤은 여럿이 족쇄에 묶인 노예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현대 쿠바의 춤은 아프리카출신 쿠바인들의 종교인 산테리아(Santer眼) 종교와 중요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쿠바 음악은 손(Son)으로 오리엔떼의 언덕에서 세기가 바뀔 무렵 발전하였고 기타와 트레스(세줄 짜리 작은 현악기), 더블베이스, 봉고, 클라베스, 마라카스, 그리고 목소리로 이루어진다. 맘보, 볼레로, 살사, 차차차 음악 또한 이 형태에서 나온 것이다. 쿠바 음악에서 가장 유명한 연주자는 뻬레스 쁘라도(P本ez Prado)와 베니 모레(Benny Mor渣)이지만 이들뿐만 아니라 쿠바의 음악은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훌륭한 연주자들도 계속 멋진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쿠바의 가장 유명한 문학가는 호세 마르띠(Jos Mart縯)로 그의 인생과 사상, 순교자적 죽음은 그를 국민적인 영웅으로 만들었다. 이외에 다른 중요한 문학가로는 시릴로 빌랴베르데 이 데 라 빠스(Cirilo Villaverde y de la Paz, 1812-94), 알레호 카르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07.05.24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