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觀念과觀念이 아닌 것.
2.觀念은 어떻게 修正되는가.
3.<라스 메니나스>와 理性의 場.
4.觀念은 叙述이다.
5.바르비종의 거부만응.
6.存在가 意味論의 우위에 선다는 것
.
7.觀念과 槪念.
8.데카르트적 方法과 點描主義.
9.헤겔 변증법과 무브망.
10.토루소와 物象化 그리고機能主義.
11.義味당하는 것으로서의 無意識.
12.그리지 않는다는 行爲.
13.리비도와 쉬르셀알리즘.
14. 속임수와 쉬르세알리즘.
15.表現主義와 實存主義.
16.앙포르멜과 禪.
17.액션페인팅과 抽象表現主義.
18.레디메이드와 그리지 않는다는 行爲, 즉 관념의 파괴.
19.컨셉츄얼 아트와 팝 아트.
20.하이퍼 리얼리즘과 인상주의.
2.觀念은 어떻게 修正되는가.
3.<라스 메니나스>와 理性의 場.
4.觀念은 叙述이다.
5.바르비종의 거부만응.
6.存在가 意味論의 우위에 선다는 것
.
7.觀念과 槪念.
8.데카르트적 方法과 點描主義.
9.헤겔 변증법과 무브망.
10.토루소와 物象化 그리고機能主義.
11.義味당하는 것으로서의 無意識.
12.그리지 않는다는 行爲.
13.리비도와 쉬르셀알리즘.
14. 속임수와 쉬르세알리즘.
15.表現主義와 實存主義.
16.앙포르멜과 禪.
17.액션페인팅과 抽象表現主義.
18.레디메이드와 그리지 않는다는 行爲, 즉 관념의 파괴.
19.컨셉츄얼 아트와 팝 아트.
20.하이퍼 리얼리즘과 인상주의.
본문내용
그것을 보는 사람들은 어김없이 그곳에서 만날수있게 된다. 바로 그러한 이야기를 관념이라고 말할수 있다.
2.觀念은 어떻게 修正되는가.
관념이란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 집이기 때문에 관념을 거부한다거나 파괴한다는 것은 결국 자기들이 살고있는 시대의 이념이고 시대의 정신이다.프랑스혁명이 바로크적 관념체계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택했던 것이라면 영국의 청교도 혁명은 바로크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점은 역사 발전의 법칙이라는 것은 결코 뒤로 돌아갈수 없다는 것이다.즉, 새로운 현대인 것이지 결코 본래의 과거는 아니다. 들라크로와 와 앙그르, 두사람의 입장을 낭만주의와 고전주의라고 말하는데 이때의 낭만주의란 바로 프랑스 시민혁명의 이념을 지지하는 입장 이를테면 바로크적 관념 체계를 부인하는 쪽을 말하는 것이며 반대로 고전주의란 바로크적 관념 체계를 부활시키려는 입장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1827년에 열렸던 살롱전에 들라크로와는 <사르다나파르의 죽음>을 그리고 앙그르는 <호메로스 예찬>이라는 작품을 내었다. 이 두작품은 그들의 입장을 상징적으로 대변해주는 작품으로서 당대의 미술계를 떠들석하게 만든 하나의 기념비 적인 것이기도 한다. 앙그르는 바로크적 관념체계를 재건하기 위해서 그리스적 미학에 눈을 돌리는 것이며 들라크로와는 그와 반대로 바로크적 관념 체계를 파괴하기 위해서 완전히 전통적인 화법에 도전한다. 그의 독특한 색체법은 이미 인상파에 계시적인 단서를 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유분방하고 역동적이며 또한 음악적인 것은 그가 시민 사회의 이념을 찬양했다는 증거가 되기도한다.
3.<라스 메니나스>와 理性의 場.
관념을 수정한다는 말과 파괴한다는 말의 뜻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수정은 어디까지나 긍정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지만 파괴는 곧 부정을 뜻한다. 가령 벨라스케스와 들라크로와를 비교해보면 벨라스케스는 어디까지나 페러디의 수법을 이용하고 있다.그러나 들라크로와는 페러디의 형 식을 받지 않고도 충분히 근대적 자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우리가 넬라스케스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관념의 파괴가 아니라 실상은 관념의 수정이라고 할수있다.또 수정적 계승이었다고도 할수있는데 이점은 결코 들라크로와의 경우도 예외가 될 수없었다.오늘날의 우리들의 시점에서 보자면 결코 베토벤은 관념의 파괴자가 아니라 그 역시 벨라스케스와 마찬가지로 바로크적 관념형태에 대한 하나의 수정 계승자라고 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그의 교향악의 양식은 결국 바하나 헨델의 음악이 가지는 패턴을 그대로 계승한 것이기 때문이다.
4.觀念은 述이다.
관념이란 이데아의 변역한 말이라고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념을 이미지로 풀이하는 사람들도 있다. 바로크적관념 형태를 요체라고하는 것은 초월적인 규범이며 그 규범을 아래로 내려 먹이는 하양식 사회 구조를 말한다. 신화적으로 말하자면 그것은 강림과 그세주의 신화이다.그러므로 이러한 관념 형태에는 어디까지나 초월적인 규범과 한께 그것을 실천할수 있는 지배자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지 결코 지배를 당하는 백성들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왜냐하면 그러한 관념 형태에 있어서 백성이란 하나의 소재에 불과한 것, 랑케식으로 표현하자면 신의 작품을 만들기위한 소재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도미에-민중을 이끌고 있는 자유의 여신>
5.바르비종의 거부만응.
루소가 도시 부르주아지의 싯뻘건 욕망의 눈을 자연으로 돌리게 한 것이 관념을 수정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한다면 밀레의 그림도 그러한 의미에서 충분히 하나의 역할을 했다고 볼수있다.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와 같이 낡은 관념에 도전했던 화가자신이 결국 그
2.觀念은 어떻게 修正되는가.
관념이란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 집이기 때문에 관념을 거부한다거나 파괴한다는 것은 결국 자기들이 살고있는 시대의 이념이고 시대의 정신이다.프랑스혁명이 바로크적 관념체계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택했던 것이라면 영국의 청교도 혁명은 바로크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점은 역사 발전의 법칙이라는 것은 결코 뒤로 돌아갈수 없다는 것이다.즉, 새로운 현대인 것이지 결코 본래의 과거는 아니다. 들라크로와 와 앙그르, 두사람의 입장을 낭만주의와 고전주의라고 말하는데 이때의 낭만주의란 바로 프랑스 시민혁명의 이념을 지지하는 입장 이를테면 바로크적 관념 체계를 부인하는 쪽을 말하는 것이며 반대로 고전주의란 바로크적 관념 체계를 부활시키려는 입장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1827년에 열렸던 살롱전에 들라크로와는 <사르다나파르의 죽음>을 그리고 앙그르는 <호메로스 예찬>이라는 작품을 내었다. 이 두작품은 그들의 입장을 상징적으로 대변해주는 작품으로서 당대의 미술계를 떠들석하게 만든 하나의 기념비 적인 것이기도 한다. 앙그르는 바로크적 관념체계를 재건하기 위해서 그리스적 미학에 눈을 돌리는 것이며 들라크로와는 그와 반대로 바로크적 관념 체계를 파괴하기 위해서 완전히 전통적인 화법에 도전한다. 그의 독특한 색체법은 이미 인상파에 계시적인 단서를 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유분방하고 역동적이며 또한 음악적인 것은 그가 시민 사회의 이념을 찬양했다는 증거가 되기도한다.
3.<라스 메니나스>와 理性의 場.
관념을 수정한다는 말과 파괴한다는 말의 뜻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수정은 어디까지나 긍정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지만 파괴는 곧 부정을 뜻한다. 가령 벨라스케스와 들라크로와를 비교해보면 벨라스케스는 어디까지나 페러디의 수법을 이용하고 있다.그러나 들라크로와는 페러디의 형 식을 받지 않고도 충분히 근대적 자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우리가 넬라스케스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관념의 파괴가 아니라 실상은 관념의 수정이라고 할수있다.또 수정적 계승이었다고도 할수있는데 이점은 결코 들라크로와의 경우도 예외가 될 수없었다.오늘날의 우리들의 시점에서 보자면 결코 베토벤은 관념의 파괴자가 아니라 그 역시 벨라스케스와 마찬가지로 바로크적 관념형태에 대한 하나의 수정 계승자라고 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그의 교향악의 양식은 결국 바하나 헨델의 음악이 가지는 패턴을 그대로 계승한 것이기 때문이다.
4.觀念은 述이다.
관념이란 이데아의 변역한 말이라고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념을 이미지로 풀이하는 사람들도 있다. 바로크적관념 형태를 요체라고하는 것은 초월적인 규범이며 그 규범을 아래로 내려 먹이는 하양식 사회 구조를 말한다. 신화적으로 말하자면 그것은 강림과 그세주의 신화이다.그러므로 이러한 관념 형태에는 어디까지나 초월적인 규범과 한께 그것을 실천할수 있는 지배자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지 결코 지배를 당하는 백성들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왜냐하면 그러한 관념 형태에 있어서 백성이란 하나의 소재에 불과한 것, 랑케식으로 표현하자면 신의 작품을 만들기위한 소재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도미에-민중을 이끌고 있는 자유의 여신>
5.바르비종의 거부만응.
루소가 도시 부르주아지의 싯뻘건 욕망의 눈을 자연으로 돌리게 한 것이 관념을 수정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한다면 밀레의 그림도 그러한 의미에서 충분히 하나의 역할을 했다고 볼수있다.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와 같이 낡은 관념에 도전했던 화가자신이 결국 그
추천자료
현대 미술의 이해
현대 미술이란
현대 미술관
미술과 현대와의 관계
국립 현대 미술관 관람기
현대 미술론
인상주의미술(인상파)의 특징, 대표적 인상주의미술(인상파) 화가, 후기인상주의미술(후기인...
[단청][단청의 종류[단청의 목적][단청의 양식][단청의 계승][단청의 현대적 개발 방향][전통...
[오방색][오방색 색채의식][오방색과 전통미술][오방색과 민화][오방색 현대적 변용]오방색의...
현대 미술 속 회화론-추상표현주의 회화에서의 표현성
글로벌리즘과 미술 - 정재철 작가의 실크로드를 통해 살펴본 현대 미술의 글로벌리즘
현대 아동미술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
독일의 미술 - 앉아서 보는 미술 전시회 [르네상스 미술, 낭만주의 미술, 표현주의 미술, 신...
현대 미술의 아이콘 앤디워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