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환아의 퇴원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질환아의 퇴원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의의

2.약물

3.식이요법

4.활동

5.간호

본문내용

위한 간호와 관찰 사항이다.
①간질아동의 일반적인 간호
정상적인 아동과 똑같이 사랑하는 가족의 보호를 받고 칭찬과 처벌을 받으며, 자존심을 세워주어서 자신의 병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
간질아동은 그들의 질병 약물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아동이 충분히 자라고 나면, 스스로 약물을 복용할 수 있어야 하며, 자신의 상태에 대한 관련정보가 적힌 의료주의 표시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아동과 함께 활동을 계획하고 아동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강조함으로써 그들이 스스로의 성취에 만족감을 얻고 성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청소년기는 힘든 시기일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환자 대변인으로서의 역할 을 담당하고, 이 질병에 대해여 일반인들을 교육하는 등 잘못된 인식을 없애도록 도울 수 있다.
②경련하는 간질아동을 위한 간호
간질상태는 뇌의 영구적인 손상, 호흡부전, 사망 등을 예방하기 위해 즉각적인 중재를 필요로 하는 응급 의료상황이다.
- 눕히고 조용히 곁에서 지켜본다.
- 경련상태를 억제하려고 시도하거나 운반하지 않는다. 머리는 바닥에 다치지 않도록 타올 이나 담요를 받혀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며 주위에 부딪힐만한 것은 제거한다. 경련하는 동안 억제대로 묶지 않는다.
- 기도유지와 적절한 호흡을 위해 의복은 느슨히 풀어주고 측위로 눕혀 분비물이 흡인이 되지 않도록 하며 혀가 뒤로 넘어가 기도를 폐쇄하지 않도록 한다. 경련하는 동안 피부색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산소를 제공한다.
- 혀를 깨물지 않도록 설압자를 거즈에 싸서 물려주거나 손수건 등을 꽉 말아서 치아사이에 끼워준다. 그러나 이미 경련이 시작되어 입을 다문 상태에서는 입을 억지로 벌리지 말고 입안으로 어떤 것도 넣지 않는다.
- 경련이 끝나면 이완상태가 되며 반응이 없어지기도 한다. 이때는 측위로 안전하고 편안하게 눕히며 보온해주고 의식이 명료해질 때까지 유지시키며 자주 상태를 관찰한다. 자존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배려한다.
참고문헌
1. Donna L Wong/2003년/아동간호학 각론/현문사/p588~593
2. 김동욱 저/2004년/난치성 간질의 효과적 치료법인 케톤생성 식이요법에 대한 과학적 연구/보건복지부/p6~32
3. Adele Pillitteri/2006년/아동건강간호학2/군자출판사/p944~954
4. KMLE 의학 검색 엔진 - http://www.kmle.co.kr/
5.조선일보 - 의학전문 칼럼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2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