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류-감자, 고구마, 토란
(감자, 고구마, 토란 3가지 세부사항)
1. 주요 품종
2. 영양성분
3. 품질판정 기준
4.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
5. 주요 산지 및 출하시기
6. 표준규격(등급규격 /표시사항
7. 수입농산물과 국내산 농산물
8.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비교
9. 생산·소비·수출입동향
10. 유 통 실 태
2. 특용작물-[깨종류-참깨, 들깨] [땅콩류-피땅콩, 알땅콩]
[인삼류] [버섯류-표고버섯,송이버섯]
(특용작물 종류 별 7가지 세부사항)
1. 주요 품종
2. 영양성분
3. 품질판정 기준
4.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
5. 주요 산지 및 출하시기
6. 표준규격(등급규격 /표시사항
7. 수입농산물과 국내산 농산물
8.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비교
9. 생산·소비·수출입동향
10. 유 통 실 태
(감자, 고구마, 토란 3가지 세부사항)
1. 주요 품종
2. 영양성분
3. 품질판정 기준
4.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
5. 주요 산지 및 출하시기
6. 표준규격(등급규격 /표시사항
7. 수입농산물과 국내산 농산물
8.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비교
9. 생산·소비·수출입동향
10. 유 통 실 태
2. 특용작물-[깨종류-참깨, 들깨] [땅콩류-피땅콩, 알땅콩]
[인삼류] [버섯류-표고버섯,송이버섯]
(특용작물 종류 별 7가지 세부사항)
1. 주요 품종
2. 영양성분
3. 품질판정 기준
4.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
5. 주요 산지 및 출하시기
6. 표준규격(등급규격 /표시사항
7. 수입농산물과 국내산 농산물
8.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비교
9. 생산·소비·수출입동향
10. 유 통 실 태
본문내용
번호, 인증유형, 인증일차, 품목, 대표자의 인적사항을 기록한다.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유기농산물)
5. 고구마의 주요 산지 및 출하시기
1)주요 산지
- 전남-해남, 무안, 연천과 전북-익산, 경남-남해, 진양
2) 출하 시기
- 조생종 - 8월부터
- 재배종 - 6월 상순
- 일반적인 수학시기와 출하시기 - 10월~11월
6. 고구마 표준규격
1) 등급규격
등 급
항 목
특
상
보 통
다 듬 기
흙 등 이물질 제거정도가 뛰어나고 표면이 적당하게 건조된 것
흙 등 이물질 제거정도가 양호하고 표면이 적당하게 건조된 것
「특\'상」에 미달하는 것
무 게
무게 구분표상 대·중인 것
적용하지 않음
고 르 기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른 것이 10%이하로 섞인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른 것이 20%이하로 섞인 것
육 질
육질이 단단하고 단맛 이 뛰어난 것
육질이 단단하고 단맛 이 양호한 것
경 결 점
5%이하
10%이하
【 정 의 】
백분율(%) : 전량에 대한 개수비율을 말한다
가벼운 결점 : 병충해, 상해, 형상불량, 발아 등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호 칭 (구 분)
특 대
대
중
소
1개의 무게(g)
250 이상
150 이상
100 이상
40 이상
2) 포장규격
가. 겉포장
거래
단위
포장재종류
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5kg
골 판 지
275
220
185
10kg
골 판 지
388
237
230
10kg
골 판 지
440
330
200
15kg
골 판 지
440
330
240
15kg
골 판 지
440
330
260
나. 속포장 : 500g, 600g, 700g, 800g, 900g, 1kg, 2kg,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급, 무게 또는 개수, 생산자 또는 생산자단체의 명칭 및 전화번호
7. 고구마의 수입농산물과 국내산 농산물
국내산 고구마
수입고구마
- 고구마는 보존기간이 짧고 우리나라에서 충분한 양의 고구마가 생산되어 흙속에서 캐낸 일반 고구마는 수입하지 않는다.
- 미국과 중국에서 껍질을 벗겨내고 동결건조시킨 식당용 고구마만 수입되며, 유통구조는 냉동창고-냉동탑차-식당의 냉장고의 루트로만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8. 고구마의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비교
품목 및 품명
거래단위
등급
소매가격
도매가격
고구마
10kg상자
특
27,000
28,500
고구마
10kg상자
상
26,000
26,000
고구마
10kg상자
보통
22,500
22,500
고구마
10kg상자
하
15,000
15,000
9. 고구마의 생산·소비·수출입동향
⊙ 생 산
고구마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중 수량성이 가장 높 은 작물로 발근적온 25∼30℃이고 생육적온 30∼35℃이다. 주요 품종은 충승100호, 수원147호, 신미, 황미, 홍미, 은미, 진미, 선미 용이며 주요 재배지는 전남, 경남, 제주, 전북 등이다.
- 재배면적 : \'92년에서 \'93년에 재배면적이 감소하였으나, \'93년 이후 소폭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2003년 재배면적은 14.2천ha로 경남은 1.7천ha로 전국의 12.2%정도이다.
- 생 산 량 : 2003년 생산량은 268.7천톤으로 나타났다.
⊙ 소 비
고구마는 오래전부터 구황작물로서 식량 부식으로 이용 되었으며 근래 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공급되고 더 나아가 주정원료로 이용된 다.
⊙ 수 출 입
고구마의 수출량은 많지 않으며 수출은 전분형태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비해 수입은 전분형태로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 향후 수급전망
총수요량 및 공급량은 증가하고 특히 식용, 종자용 등은 국내생산이 증가하겠 으나 전분, 주정용은 감소하여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0. 고구마의 유 통 실 태
⊙ 산지유통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10월이후에 수확, 시장출하를 하고 있으나 시설재배에 의 한 조기 출하가 점차 늘고 있다. 6월하순경부터 출하되는 햇고구마의 경우 가 격이 매년 오르는 추세이나, 8월하순이후 급격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 소비지유통
주정용, 가공용을 제외한 일반식용은 외형이 큰 물고구마와 외형이 비교적 작 은 밤고구마이다. 도매단계에서는 표준거래 점유율이 99.4%정도 이루어지고, 전문소매상은 없으며 일반 소매상, 슈퍼, 구멍가게, 노점군고구마상 등을 통해 관 또는 개당 등으로 판매된다.
⊙ 유통경로
고구마의 유통경로는 생고구마와 절간고구마로 구분되며 절간고구마는 전량 농 협을 거쳐 출하되고 생고구마는 수집 반출상과 농협을 통해 출하되거나 직접 출하한다.
⊙ 등급 및 포장
크기, 색깔, 품질 등에 따라 상, 중, 하의 3등급으로 분류하며 표준거래 단위 가 정착단계에 들어있는 품목으로 20kg골판지 상자로 포장 출하된다. 일부지역 에서 40∼60kg PP포대로 출하하기도 한다.
ⅱ. 감자
1. 감자의 주요 품종 및 특성
표 2. 우리 나라 감자 장려품종
품 종
장려년도
숙 기
내 병 성
용 도
역병
바이러스
남 작수 미대 지세 풍조 풍남 서대 서가 원추 백자 심
1960197819781988198819951995199919991999
조 생조 생중만생중 생조 생조 생중 생중 생조 생만 생
약약약약강강중강약중
약약강약강중중강중중
식 용식용 및 칩가공용식용, 2기작용 후렌치후라이 가공용식 용식 용식용 및 칩가공용식용 및 칩가공용식용, 2기작용식 용
2) 주요 재배품종의 특성
가. 남작(男爵)
(1) 주요특성
- 감자 품종 중 재배역사가 가장 오래된 품종
- 조리 후 육질이 분질성으로 식미가 우수한 식용전용 품종이다.
- 생육기간은 80∼90일 내외로 극조생종이며, 괴경 형태는 편원형으로 담황색이고 눈이 깊다.
- 휴면기간은 90∼100일 정도로 길어 저장성이 좋으나 가을재배는 정상 생육이 어려워 부적합하다.
- 초세가 왕성하지 않으며 복지길이가 짧아 밀식 적응성이 높다.
- 바이러스병과 역병에 약하다.
표 1. 고유특성
숙기
초세
초형
잎크기
꽃색
덩이줄기모양
표피색
육색
눈깊이
조생
중
개장
중
담적자
편원
담황
백
깊음
나. 수미(秀美)
(1) 주요특성
봄, 여름재배의 대표적인 재배품종으로 식용 및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유기농산물)
5. 고구마의 주요 산지 및 출하시기
1)주요 산지
- 전남-해남, 무안, 연천과 전북-익산, 경남-남해, 진양
2) 출하 시기
- 조생종 - 8월부터
- 재배종 - 6월 상순
- 일반적인 수학시기와 출하시기 - 10월~11월
6. 고구마 표준규격
1) 등급규격
등 급
항 목
특
상
보 통
다 듬 기
흙 등 이물질 제거정도가 뛰어나고 표면이 적당하게 건조된 것
흙 등 이물질 제거정도가 양호하고 표면이 적당하게 건조된 것
「특\'상」에 미달하는 것
무 게
무게 구분표상 대·중인 것
적용하지 않음
고 르 기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른 것이 10%이하로 섞인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른 것이 20%이하로 섞인 것
육 질
육질이 단단하고 단맛 이 뛰어난 것
육질이 단단하고 단맛 이 양호한 것
경 결 점
5%이하
10%이하
【 정 의 】
백분율(%) : 전량에 대한 개수비율을 말한다
가벼운 결점 : 병충해, 상해, 형상불량, 발아 등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호 칭 (구 분)
특 대
대
중
소
1개의 무게(g)
250 이상
150 이상
100 이상
40 이상
2) 포장규격
가. 겉포장
거래
단위
포장재종류
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5kg
골 판 지
275
220
185
10kg
골 판 지
388
237
230
10kg
골 판 지
440
330
200
15kg
골 판 지
440
330
240
15kg
골 판 지
440
330
260
나. 속포장 : 500g, 600g, 700g, 800g, 900g, 1kg, 2kg,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급, 무게 또는 개수, 생산자 또는 생산자단체의 명칭 및 전화번호
7. 고구마의 수입농산물과 국내산 농산물
국내산 고구마
수입고구마
- 고구마는 보존기간이 짧고 우리나라에서 충분한 양의 고구마가 생산되어 흙속에서 캐낸 일반 고구마는 수입하지 않는다.
- 미국과 중국에서 껍질을 벗겨내고 동결건조시킨 식당용 고구마만 수입되며, 유통구조는 냉동창고-냉동탑차-식당의 냉장고의 루트로만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8. 고구마의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비교
품목 및 품명
거래단위
등급
소매가격
도매가격
고구마
10kg상자
특
27,000
28,500
고구마
10kg상자
상
26,000
26,000
고구마
10kg상자
보통
22,500
22,500
고구마
10kg상자
하
15,000
15,000
9. 고구마의 생산·소비·수출입동향
⊙ 생 산
고구마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중 수량성이 가장 높 은 작물로 발근적온 25∼30℃이고 생육적온 30∼35℃이다. 주요 품종은 충승100호, 수원147호, 신미, 황미, 홍미, 은미, 진미, 선미 용이며 주요 재배지는 전남, 경남, 제주, 전북 등이다.
- 재배면적 : \'92년에서 \'93년에 재배면적이 감소하였으나, \'93년 이후 소폭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2003년 재배면적은 14.2천ha로 경남은 1.7천ha로 전국의 12.2%정도이다.
- 생 산 량 : 2003년 생산량은 268.7천톤으로 나타났다.
⊙ 소 비
고구마는 오래전부터 구황작물로서 식량 부식으로 이용 되었으며 근래 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공급되고 더 나아가 주정원료로 이용된 다.
⊙ 수 출 입
고구마의 수출량은 많지 않으며 수출은 전분형태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비해 수입은 전분형태로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 향후 수급전망
총수요량 및 공급량은 증가하고 특히 식용, 종자용 등은 국내생산이 증가하겠 으나 전분, 주정용은 감소하여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0. 고구마의 유 통 실 태
⊙ 산지유통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10월이후에 수확, 시장출하를 하고 있으나 시설재배에 의 한 조기 출하가 점차 늘고 있다. 6월하순경부터 출하되는 햇고구마의 경우 가 격이 매년 오르는 추세이나, 8월하순이후 급격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 소비지유통
주정용, 가공용을 제외한 일반식용은 외형이 큰 물고구마와 외형이 비교적 작 은 밤고구마이다. 도매단계에서는 표준거래 점유율이 99.4%정도 이루어지고, 전문소매상은 없으며 일반 소매상, 슈퍼, 구멍가게, 노점군고구마상 등을 통해 관 또는 개당 등으로 판매된다.
⊙ 유통경로
고구마의 유통경로는 생고구마와 절간고구마로 구분되며 절간고구마는 전량 농 협을 거쳐 출하되고 생고구마는 수집 반출상과 농협을 통해 출하되거나 직접 출하한다.
⊙ 등급 및 포장
크기, 색깔, 품질 등에 따라 상, 중, 하의 3등급으로 분류하며 표준거래 단위 가 정착단계에 들어있는 품목으로 20kg골판지 상자로 포장 출하된다. 일부지역 에서 40∼60kg PP포대로 출하하기도 한다.
ⅱ. 감자
1. 감자의 주요 품종 및 특성
표 2. 우리 나라 감자 장려품종
품 종
장려년도
숙 기
내 병 성
용 도
역병
바이러스
남 작수 미대 지세 풍조 풍남 서대 서가 원추 백자 심
1960197819781988198819951995199919991999
조 생조 생중만생중 생조 생조 생중 생중 생조 생만 생
약약약약강강중강약중
약약강약강중중강중중
식 용식용 및 칩가공용식용, 2기작용 후렌치후라이 가공용식 용식 용식용 및 칩가공용식용 및 칩가공용식용, 2기작용식 용
2) 주요 재배품종의 특성
가. 남작(男爵)
(1) 주요특성
- 감자 품종 중 재배역사가 가장 오래된 품종
- 조리 후 육질이 분질성으로 식미가 우수한 식용전용 품종이다.
- 생육기간은 80∼90일 내외로 극조생종이며, 괴경 형태는 편원형으로 담황색이고 눈이 깊다.
- 휴면기간은 90∼100일 정도로 길어 저장성이 좋으나 가을재배는 정상 생육이 어려워 부적합하다.
- 초세가 왕성하지 않으며 복지길이가 짧아 밀식 적응성이 높다.
- 바이러스병과 역병에 약하다.
표 1. 고유특성
숙기
초세
초형
잎크기
꽃색
덩이줄기모양
표피색
육색
눈깊이
조생
중
개장
중
담적자
편원
담황
백
깊음
나. 수미(秀美)
(1) 주요특성
봄, 여름재배의 대표적인 재배품종으로 식용 및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