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냉매란
2 냉매의 종류
3 냉매의 분류
4 냉매의 장치 내 영향
5 오존과 냉매의 관계
6 냉매의 오존파괴 분자식
7 냉매의 ODP,GWP
8 냉매의 대기중 잔존 수명
9 오존파괴의 인체 영향
10 대체 냉매
2 냉매의 종류
3 냉매의 분류
4 냉매의 장치 내 영향
5 오존과 냉매의 관계
6 냉매의 오존파괴 분자식
7 냉매의 ODP,GWP
8 냉매의 대기중 잔존 수명
9 오존파괴의 인체 영향
10 대체 냉매
본문내용
하고 있으며 위도나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극지방이 낮고, 겨울~봄에 낮아진다) 특히, 지상 20~25km의 고도에 가장 높은 농도로 밀집되어 있어 이 층을 소위 오존층(Ozone sphere)이라고 한다.
오존층의 두께
최근 오존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라이다(Lidar)를 이용하여 측정된 오존층의 두께는 적도 상공이 약 200돕슨(Dobson), 극지방이 약 400 Dobson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존층 파괴가 심한 남극상공의 봄에는 200 Dobson 이하로 떨어져 대륙 전체를 덮을 정도로 오존홀(Ozone houl)이 확대되기도 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오존홀은 남극특유의 극 소용돌이 내부에서 일어나며 봄이 끝날 때 극 소용돌이가 붕괴되면서 오존홀도 함께 사라지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참고: 돕슨(Dobson) : 기링 단위로서 해면상의 표준상태하에서는 100 Dobson - 1mm에 해당한다.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
염화불화탄소(CFC), 염화브롬화탄소(Halons), 질소산화물(N2O, NO 등), 염화메틸(CH3Cl), 사염화탄소(CCl4), 메틸클로로포름(CH3CCl3), 메탄(CH4), 수증기(H2O), 기타 수소산화물 등이 있다.
오존의 소모능력(ODP)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을 대상으로 단위중량당 오존의 소모능력을 나타낼 때 CFC-11(CCl3F)을 1.0으로 기준하여 표시하고 있는데 이것을 ODP(Ozone Depletion Potential)이라고 한다.
ODP는 CF3Br(12) > CF2ClBr(3) > CCl4(1.2) > CCl3F(1.0) > CCl3CF3(0.8) > CHClF2(0.05) 순이다.
지구 온난화 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 GWP)\"Flon\"류에는 C-Cl 및 C-F 결합으로 인해 대기의 창에 상당하는 파장인 8∼13㎛ 부근의 적외선(열선) 영역에 강한 흡수가 있게 된다. 그래서 \"Flon\"류가 대기 중에 축적되면 지표로부터의 적외선 방사를 흡수하게 되어 \"온실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온난화를 초래하는 대기 오염 물질은 이산화탄소(CO2), 수증기, 오존, 메탄, 산화질소(NO) 등 50여 종이 지적되고 있다. UN 환경계획이 추정한 증가율은 1년당 \"Flon\" 5%, 사염화탄소 1%, 이산화탄소 0.05% 정도이다. 현재 대기 중의 \"Flon\"류 농도는 CO2보다 매우 낮은 값이지만 흡수도 현저하게 커서 CFC-12의 경우 CO2의 2만배에 상당한다.
*Flon류의 평균 대기 중 수명과 GWP값물질
평균수명
GWP
CFC-11
51년
1.0
CFC-12
105
3.2
CFC-113
90
1.3
CFC-114
220
4.0
CFC-115
440
7.5
HCFC-22
16
0.35
HCFC-123
2
0.018
HCFC-124
7
0.10
HCFC-141b
8
0.09
HCFC-142b
21
0.36
HFC-134a
17
0.27
HFC-152a
2
0.03
결국 의식주 각 분야는 물론 인류의 쾌적한 생활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 \"Flon\"류 중요한 것은 CFC-11, 12, 113 및 HCFC-22로서, 앞의 세 가지가 약 85%를 차지한다. 즉 주체는 CFC 화합물로서 이들 CFC-114 및 -115를 합친 앞의 표 상단의 5가지를 \"specialflon\"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들이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어(표 참조) 앞으로 전면적으로 사용 금지될 종류인 것이다. 이에 각 나라는 대용물의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현재 가능성이 높은 대체 후보로는 HFC-l34a(CFC-12대체품), HCFC-123 및 141b(CFC-11 대체품)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타 CFC-12의 대체에 [HCFC-22+FC-152a+CFC-114] 등과 같은 일부 special flon을 조합시킨 3성분계도 고려되고 있다
오존 파괴 지수 (ODP : Ozone Depletion Potential )
지구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현재는 제조가 금지되어 있으나 프레온류 중에서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프레온-11(CCl3F)과 프레온-12(CCl2F2)이며, 특히 프레온-11은 냉매, 분사제, 세정제, 발초제 등으로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국내의 수요량도 가장 많았다.
R-11(CCl3F) : 냉매, 분사제, 세정제, 발포제로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71년동안 존재하고 R-11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ODP :1.0.
R-12(CCl2F2) : 냉매, 분사제,
오존층의 두께
최근 오존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라이다(Lidar)를 이용하여 측정된 오존층의 두께는 적도 상공이 약 200돕슨(Dobson), 극지방이 약 400 Dobson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존층 파괴가 심한 남극상공의 봄에는 200 Dobson 이하로 떨어져 대륙 전체를 덮을 정도로 오존홀(Ozone houl)이 확대되기도 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오존홀은 남극특유의 극 소용돌이 내부에서 일어나며 봄이 끝날 때 극 소용돌이가 붕괴되면서 오존홀도 함께 사라지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참고: 돕슨(Dobson) : 기링 단위로서 해면상의 표준상태하에서는 100 Dobson - 1mm에 해당한다.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
염화불화탄소(CFC), 염화브롬화탄소(Halons), 질소산화물(N2O, NO 등), 염화메틸(CH3Cl), 사염화탄소(CCl4), 메틸클로로포름(CH3CCl3), 메탄(CH4), 수증기(H2O), 기타 수소산화물 등이 있다.
오존의 소모능력(ODP)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을 대상으로 단위중량당 오존의 소모능력을 나타낼 때 CFC-11(CCl3F)을 1.0으로 기준하여 표시하고 있는데 이것을 ODP(Ozone Depletion Potential)이라고 한다.
ODP는 CF3Br(12) > CF2ClBr(3) > CCl4(1.2) > CCl3F(1.0) > CCl3CF3(0.8) > CHClF2(0.05) 순이다.
지구 온난화 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 GWP)\"Flon\"류에는 C-Cl 및 C-F 결합으로 인해 대기의 창에 상당하는 파장인 8∼13㎛ 부근의 적외선(열선) 영역에 강한 흡수가 있게 된다. 그래서 \"Flon\"류가 대기 중에 축적되면 지표로부터의 적외선 방사를 흡수하게 되어 \"온실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온난화를 초래하는 대기 오염 물질은 이산화탄소(CO2), 수증기, 오존, 메탄, 산화질소(NO) 등 50여 종이 지적되고 있다. UN 환경계획이 추정한 증가율은 1년당 \"Flon\" 5%, 사염화탄소 1%, 이산화탄소 0.05% 정도이다. 현재 대기 중의 \"Flon\"류 농도는 CO2보다 매우 낮은 값이지만 흡수도 현저하게 커서 CFC-12의 경우 CO2의 2만배에 상당한다.
*Flon류의 평균 대기 중 수명과 GWP값물질
평균수명
GWP
CFC-11
51년
1.0
CFC-12
105
3.2
CFC-113
90
1.3
CFC-114
220
4.0
CFC-115
440
7.5
HCFC-22
16
0.35
HCFC-123
2
0.018
HCFC-124
7
0.10
HCFC-141b
8
0.09
HCFC-142b
21
0.36
HFC-134a
17
0.27
HFC-152a
2
0.03
결국 의식주 각 분야는 물론 인류의 쾌적한 생활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 \"Flon\"류 중요한 것은 CFC-11, 12, 113 및 HCFC-22로서, 앞의 세 가지가 약 85%를 차지한다. 즉 주체는 CFC 화합물로서 이들 CFC-114 및 -115를 합친 앞의 표 상단의 5가지를 \"specialflon\"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들이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어(표 참조) 앞으로 전면적으로 사용 금지될 종류인 것이다. 이에 각 나라는 대용물의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현재 가능성이 높은 대체 후보로는 HFC-l34a(CFC-12대체품), HCFC-123 및 141b(CFC-11 대체품)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타 CFC-12의 대체에 [HCFC-22+FC-152a+CFC-114] 등과 같은 일부 special flon을 조합시킨 3성분계도 고려되고 있다
오존 파괴 지수 (ODP : Ozone Depletion Potential )
지구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현재는 제조가 금지되어 있으나 프레온류 중에서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프레온-11(CCl3F)과 프레온-12(CCl2F2)이며, 특히 프레온-11은 냉매, 분사제, 세정제, 발초제 등으로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국내의 수요량도 가장 많았다.
R-11(CCl3F) : 냉매, 분사제, 세정제, 발포제로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71년동안 존재하고 R-11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ODP :1.0.
R-12(CCl2F2) : 냉매, 분사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