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으/ 모음 삽입
2.1.1.구본석(1999)의 최적성이론으로 본 /ɨ/ 모음 삽입
2.1.2. 이현구 ‧ 구본석(1999)의 상응이론으로 본
/으/ 모음 삽입과 제약
2.1.3. 김선철(2000) 생성음운론으로 본 /ɨ/ 모읍 삽입
2.2. 모음 강화
2.2.1. /u/ 모음 표기
2.2.2 모음 강화
3. 결론
2. 본론
2.1. /으/ 모음 삽입
2.1.1.구본석(1999)의 최적성이론으로 본 /ɨ/ 모음 삽입
2.1.2. 이현구 ‧ 구본석(1999)의 상응이론으로 본
/으/ 모음 삽입과 제약
2.1.3. 김선철(2000) 생성음운론으로 본 /ɨ/ 모읍 삽입
2.2. 모음 강화
2.2.1. /u/ 모음 표기
2.2.2 모음 강화
3. 결론
본문내용
揷入)되어 표기(表記)되어야 할 자리에 // 모음(母音) 대신에 /u/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 표기(表記)된 이유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u/ 모음(母音) 삽입(揷入)은 // 모음(母音)에서 /u/ 모음(母音)으로의 모음강화(母音强化) 현상임을 밝힌다. 그러나 이것이 모음강화(母音强化) 현상이라면, 시기가 지남에 따라 그 표기가 모음이 강화된 형태인 /u/ 모음 삽입 표기가 보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해서는 그 가능성만을 언급하기로 한다.
논의(論議)를 전개(展開)하기 전에 본고(本稿)의 대상이 되는 외래어(外來語)에 대한 정의와, 본고(本稿)의 대상이 되는 관찰 자료에 대한 언급(言及)을 한다. 외래어(外來語)란 원래 외국어(外國語)였던 것이 자국어(自國語) 체계(體系)에 동화(同化)되어 쓰이는 어휘(語彙)를 말한다.
임홍빈(1997)에서 외래어(外來語)는 ①외국에서 들어오되, ②외국어와 다르며, ③한국어 속에 사용되는 것이라는 3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외래어(外來語)를 차용어(借用語)라고도 하는데 본고(本稿)에서는 외래어(外來語)라고 부르기로 하고 논의(論議)를 시작한다. 본고(本稿)에서는 1896년부터 1955년의 기간 동안 독립신문, 황성신문, 협성회보, 매일신문, 대한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신문에 나타난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를 그 대상으로 한다.
2. 본론
본론에서는 // 모음(母音) 삽입(揷入)에 대하여 구본석(1999), 이현구 구본석(1999), 김선철(2000) 등의 연구를 통하여 기존 연구를 검토(檢討)해 본다. 그리고 //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야 할 자리에 // 모음(母音)이 아닌 /u/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 나타나는 이유를 오정란(1991)을 통하여 모음강화현상임을 검토(檢討)해 보겠다. 그러나 모음강화현상이 시기에 따라 체계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혼란스럽게 나타나다가 현재에는 // 모음이 삽입된 표기만 쓰이는지에 대하여 그 가능성만을 언급하겠다.
2.1. // 모음(母音) 삽입(揷入)
2.1.1.구본석(1999)의 최적성이론으로 본 // 모음(母音) 삽입(揷入)
구본석(1999)에서는 최적성이론(最適性理論)을 도입(導入)하여 각 언어(言語)가 다른 이유를 제약(制約) 등급(等級)의 차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한국어에 도입된 영어 외래어(外來語) 사이에 제한적(制限的)인 차이가 날 때 그 어휘(語彙)의 제약(制約) 등급(等級)이 달라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다시 말하면, \"값“/kaps/이 [kap]으로 실현되는 것은 한국어에서는 모음(母音)삽입(揷入) 금지 제약(制約)이 자음탈락금지제약(子音脫落禁止制約)보다 상위(上位)에 오지만, spy가 “스파이”로 차용(借用)되는 것은 외래어(外來語)에서는 자음탈락금지제약(子音脫落禁止制約)이 모음삽입금지제약(母音揷入禁止制約制約)보다 상위(上位)에 오는 것으로 설명(說明)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성이론(最適性理論)의 설명(說明)을 통하여 한국어와 영어 외래어(外來語) 사이의 차이를 설명할 때 자의적(恣意的) 제약(制約) 등급(等級)의 차이로 설명하는 것 보다는 제약(制約) 등급(等級)이 재등급화(再等級化)되어 나타나는 차이라고 설명하는 편이 훨씬 타당하고 합리적(合理的)이라고 설명(說明)하고 있다. 그리하여 두음(頭音)에 영어 외래어(外來語)가 차용(借用)될 때 자음군(子音群)이 오면, 한국어 음절(音節) 구조(構造)에 알맞은 모습으로 나타나기 위해 // 모음(母音)을 삽입(揷入)하게 된다. 한편 말음에서, 한국어에서는 말음(末音)에 폐쇄음(閉鎖音)을 허용하지 않지만 모음(母音) 삽입(揷入)은 허용하는 제약(制約) 때문에 영어의 폐쇄음(閉鎖音) /p, t, k/가 한국어에 차용(借用)될 때 이 폐쇄음(閉鎖音) 다음에 모음(母音)이 삽입(揷入)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외래어(外來語)에 //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는 현상을 최적성이론(最適性理論)을 통해 제약(制約) 등급(等級)의 재등급화(再等級化)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2.1.2. 이현구 구본석(1999)의 상응이론으로 본 // 모음(母音) 삽입(揷入) 과 제약(制約)
이현구 구본석(1999)에서는 한국어에서 자음군(子音群)의 영어 단어를 차용할 때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맞도록 하는 방법이 모음(母音)삽입(揷入)만이 아니라 자음탈락을 통해서 가능한테 왜 굳이 탈락(脫落)이 아닌 모음(母音) 삽입(揷入)을 통해 음절구조를 유지하는가. 한편 영어의 음절말음에 단일자음인 ‘wit\', \'make\' 등이 차용될 때 음절말음에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 각각 ’-ti\'와 ‘-ki\'로 되지만, ’kick\', \'sirup\' 등에서는 모음(母音)삽입(揷入)이 일어나지 않아 왜 동일한 환경에 놓여 있는 저해음 이면서 전자의 모음(母音)삽입(揷入)을 선택적으로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이를 최적성이론이 발전한 형태인 상응이론의 제약(制約)을 통해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차용어의 // 모음(母音) 삽입(揷入)은 일차적으로 근원어인 영어의 음절구조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구조
영어의 음절구조 : ((C)(C)(C)V(C)(C)(C)(C)) 한국어의 음절구조 ((C)V(C))
가 다른데서 기인하는데, 이를 기존의 생성음운론의 규칙보다는 제약(制約)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가고 설명하고 있다.
2.1.3. 김선철(2000) 생성음운론으로 본 // 모읍 삽입(揷入)
김선철(2000)에서는 차용어 형성시의 모음(母音) 삽입(揷入)에 대하여, 한국어의 표면 음절 구조상 어두와 어말에서 자음군(子音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표면 음성 제약(制約)과, 표면 음절 말음에 대한 제약(制約)인 이른바 7종성법에 비추어 결정된다고 보고 다음과 같이 모음(母音) 삽입(揷入)의 환경을 정리하고 있다.
① 어두 자음군(子音群)에서 그 자음들 사이에 모음(母音) // 가 삽입(揷入)된다.
예 : play /플레이/, black /블랙/. slide /슬라이드/
② 어말음이 t이면 1음절어에서는 대부분 // 첨가가 이루어지나 2음절 이상에 서는 어휘마다 다르다.
예 : set /
논의(論議)를 전개(展開)하기 전에 본고(本稿)의 대상이 되는 외래어(外來語)에 대한 정의와, 본고(本稿)의 대상이 되는 관찰 자료에 대한 언급(言及)을 한다. 외래어(外來語)란 원래 외국어(外國語)였던 것이 자국어(自國語) 체계(體系)에 동화(同化)되어 쓰이는 어휘(語彙)를 말한다.
임홍빈(1997)에서 외래어(外來語)는 ①외국에서 들어오되, ②외국어와 다르며, ③한국어 속에 사용되는 것이라는 3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외래어(外來語)를 차용어(借用語)라고도 하는데 본고(本稿)에서는 외래어(外來語)라고 부르기로 하고 논의(論議)를 시작한다. 본고(本稿)에서는 1896년부터 1955년의 기간 동안 독립신문, 황성신문, 협성회보, 매일신문, 대한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신문에 나타난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를 그 대상으로 한다.
2. 본론
본론에서는 // 모음(母音) 삽입(揷入)에 대하여 구본석(1999), 이현구 구본석(1999), 김선철(2000) 등의 연구를 통하여 기존 연구를 검토(檢討)해 본다. 그리고 //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야 할 자리에 // 모음(母音)이 아닌 /u/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 나타나는 이유를 오정란(1991)을 통하여 모음강화현상임을 검토(檢討)해 보겠다. 그러나 모음강화현상이 시기에 따라 체계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혼란스럽게 나타나다가 현재에는 // 모음이 삽입된 표기만 쓰이는지에 대하여 그 가능성만을 언급하겠다.
2.1. // 모음(母音) 삽입(揷入)
2.1.1.구본석(1999)의 최적성이론으로 본 // 모음(母音) 삽입(揷入)
구본석(1999)에서는 최적성이론(最適性理論)을 도입(導入)하여 각 언어(言語)가 다른 이유를 제약(制約) 등급(等級)의 차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한국어에 도입된 영어 외래어(外來語) 사이에 제한적(制限的)인 차이가 날 때 그 어휘(語彙)의 제약(制約) 등급(等級)이 달라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다시 말하면, \"값“/kaps/이 [kap]으로 실현되는 것은 한국어에서는 모음(母音)삽입(揷入) 금지 제약(制約)이 자음탈락금지제약(子音脫落禁止制約)보다 상위(上位)에 오지만, spy가 “스파이”로 차용(借用)되는 것은 외래어(外來語)에서는 자음탈락금지제약(子音脫落禁止制約)이 모음삽입금지제약(母音揷入禁止制約制約)보다 상위(上位)에 오는 것으로 설명(說明)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성이론(最適性理論)의 설명(說明)을 통하여 한국어와 영어 외래어(外來語) 사이의 차이를 설명할 때 자의적(恣意的) 제약(制約) 등급(等級)의 차이로 설명하는 것 보다는 제약(制約) 등급(等級)이 재등급화(再等級化)되어 나타나는 차이라고 설명하는 편이 훨씬 타당하고 합리적(合理的)이라고 설명(說明)하고 있다. 그리하여 두음(頭音)에 영어 외래어(外來語)가 차용(借用)될 때 자음군(子音群)이 오면, 한국어 음절(音節) 구조(構造)에 알맞은 모습으로 나타나기 위해 // 모음(母音)을 삽입(揷入)하게 된다. 한편 말음에서, 한국어에서는 말음(末音)에 폐쇄음(閉鎖音)을 허용하지 않지만 모음(母音) 삽입(揷入)은 허용하는 제약(制約) 때문에 영어의 폐쇄음(閉鎖音) /p, t, k/가 한국어에 차용(借用)될 때 이 폐쇄음(閉鎖音) 다음에 모음(母音)이 삽입(揷入)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외래어(外來語)에 //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는 현상을 최적성이론(最適性理論)을 통해 제약(制約) 등급(等級)의 재등급화(再等級化)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2.1.2. 이현구 구본석(1999)의 상응이론으로 본 // 모음(母音) 삽입(揷入) 과 제약(制約)
이현구 구본석(1999)에서는 한국어에서 자음군(子音群)의 영어 단어를 차용할 때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맞도록 하는 방법이 모음(母音)삽입(揷入)만이 아니라 자음탈락을 통해서 가능한테 왜 굳이 탈락(脫落)이 아닌 모음(母音) 삽입(揷入)을 통해 음절구조를 유지하는가. 한편 영어의 음절말음에 단일자음인 ‘wit\', \'make\' 등이 차용될 때 음절말음에 모음(母音)이 삽입(揷入)되어 각각 ’-ti\'와 ‘-ki\'로 되지만, ’kick\', \'sirup\' 등에서는 모음(母音)삽입(揷入)이 일어나지 않아 왜 동일한 환경에 놓여 있는 저해음 이면서 전자의 모음(母音)삽입(揷入)을 선택적으로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이를 최적성이론이 발전한 형태인 상응이론의 제약(制約)을 통해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차용어의 // 모음(母音) 삽입(揷入)은 일차적으로 근원어인 영어의 음절구조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구조
영어의 음절구조 : ((C)(C)(C)V(C)(C)(C)(C)) 한국어의 음절구조 ((C)V(C))
가 다른데서 기인하는데, 이를 기존의 생성음운론의 규칙보다는 제약(制約)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가고 설명하고 있다.
2.1.3. 김선철(2000) 생성음운론으로 본 // 모읍 삽입(揷入)
김선철(2000)에서는 차용어 형성시의 모음(母音) 삽입(揷入)에 대하여, 한국어의 표면 음절 구조상 어두와 어말에서 자음군(子音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표면 음성 제약(制約)과, 표면 음절 말음에 대한 제약(制約)인 이른바 7종성법에 비추어 결정된다고 보고 다음과 같이 모음(母音) 삽입(揷入)의 환경을 정리하고 있다.
① 어두 자음군(子音群)에서 그 자음들 사이에 모음(母音) // 가 삽입(揷入)된다.
예 : play /플레이/, black /블랙/. slide /슬라이드/
② 어말음이 t이면 1음절어에서는 대부분 // 첨가가 이루어지나 2음절 이상에 서는 어휘마다 다르다.
예 : set /
추천자료
채팅(통신언어)을 통해 일어 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좋은 글,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글
대중매체의 선정성과 사회적 영향
일제 시기 조선의 변사들과 극장 풍경
한글의 우수성과 외국인들의 평가
[유아사회교육]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
[인간과 환경] '소음공해'란 무엇인가?
광고 유형에따른 사례연구
조기유학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
민족주의의 자극, 김진명 작가와 대표작품 연구
[일제의 언론통제] 일제 시대의 언론통제의 원인과 특징 및 문제점
활동중심학습(수업)프로그램 사례, 통일협동학습(수업)프로그램 사례, 자기주도적학습(수업)...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입법배경과 추진과정 및 내용을 정리하여 제출하세요
[현대시][시론][환유][모더니즘기법][몽타주기법][시적 화자][모더니즘][몽타주][시]]현대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