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Anatomy
2.Lung cancer
1)폐암의 정의
2)종류
3)증상
4)진단
5)치료
6)예후
7)예방
2.Lung cancer
1)폐암의 정의
2)종류
3)증상
4)진단
5)치료
6)예후
7)예방
본문내용
수술 절제의 보조수단이나 또는 수술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에 방사선 치료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외부에서 암 조직에 직접 쏘아 치료한다. 방사선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이거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수술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나, 수술절제 후 재발한 환자에게 적용되며 수술 후 추가 치료의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된다.
방사선치료와 항암제 화학치료는 병행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화학치료와 같이 이 방법도 환자의 상태와 전이정도에 따라 방사선의 양이나, 치료 횟수 등이 결정되며, 치료방사선과 전문의들로부터 조언을 얻어 시행된다.
환자의 치료계획은 치료방사선과 전문의가 결정한 방사선의 양에 의해 세워지게 되는데, 그 양은 하루에 필요한 양으로 나누어져 실시되고,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양을 쓰는 것이 적당하다. 방사선치료는 보통 정상적으로 5-6 주 정도 치료한다.
4) 수술치료의 부작용
폐암 수술은 호흡을 담당하는 폐의 일부분을 외과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이고, 대부분 상대적으로 폐 기능 저하가 있는 고 연령인 환자에서 시행되기 때문에, 여러 의료진들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은 5% 정도 된다.
①폐합병증
: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하여 환자가 기침이나 심호흡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가래를 잘 뱉어내지 못하면 폐 확장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로 폐는 점점 줄어들게 되고,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래가 지속적으로 폐 내에 쌓이게 되면 폐렴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금연을 해야 하고, 수술 후에는 심호흡하기, 기침하기, 가래 뱉기 등을 열심히 해야 하며, 간단한 운동 또한 좋다.
② 심장 합병증
: 수술 전 아무런 심장병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관상동맥경화증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술로 인해 심장병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나타나는 심장병의 양상은 가벼운 부정맥에서부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심근경색까지 다양할 수 있다. 그 빈도는 높지 않지만 심근경색과 같은 중증의 심장 합병증이 발생하면 집중치료에도 불구하고,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③ 수술 상처 부위 감염
: 영양상태가 불량하거나 지방이 과도한 경우, 당뇨병이 있는 경우 등에서는 수술 상처 부위에 염증이 잘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는 항생제를 투약하거나,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가 있다.
④ 신체 각 장기의 기능 부전
: 전신 마취로 인한 간 기능의 저하, 과도한 출혈과 저혈압에 의한 신(콩팥)기능의 저하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수술 전 간, 신장기능이 정상이었던 경우에는 대부분 정상을 회복하게 되지만 수술 전 기능저하가 있었던 경우에는 수술로 인하여 더 악화될 수 있다.
⑤ 통증
: 수술부위와 주변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수술할 때 수술시야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늑골과 늑간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것이다. 가벼운 운동이나 찜질이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⑥ 농흉
: 늑막에 균이 들어가게 되면 늑막액이 농으로 변하게 되는데 결국 흉관을 삽입해서 농을 전부 제거하고 항생제 등을 사용하면서 장기간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비교적 드문 합병증이다.
⑦ 목소리변성
: 수술 후 목이 쉬는 수가 있다. 일시적인 현상으로 시간이 지나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성대신경에 영구적인 손상이 생겨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다.
⑧ 기타 : 위의 경우 외에 기흉이나, 폐부종 등의 경우를 수반할 수 있다.
6. 예후
1) 비소세포암(non-small cell carcinoma) 5년 생존율
-stage IA (1A기) : 78 %
-stage IB (1B기) : 65 %
-stage IIA (2A기) : 58 %
-stage IIB (2B기) : 48 %
-stage IIIA (3A기) : 28 %
-stage IV (4기) : 5 % 미만
2) 소세포암(small cell carcinoma) 병기 생존율
-제한병기
: 2년 생존율 40 %, 5년 생존율 10 %
-확장병기
: 5년생존율 4 % 미만
7. 예방
폐암의 대부분은 흡연과 관련된 금연은 가장 중요한 폐암의 예방법이다.
특히 폐암의 발병 가능성이 높은 고 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이 흡연을 하면, 폐암의 위험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반드시 담배를 끊어야 한다.
또 균형잡힌 식이요법도 암의 에방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외부에서 암 조직에 직접 쏘아 치료한다. 방사선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이거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수술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나, 수술절제 후 재발한 환자에게 적용되며 수술 후 추가 치료의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된다.
방사선치료와 항암제 화학치료는 병행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화학치료와 같이 이 방법도 환자의 상태와 전이정도에 따라 방사선의 양이나, 치료 횟수 등이 결정되며, 치료방사선과 전문의들로부터 조언을 얻어 시행된다.
환자의 치료계획은 치료방사선과 전문의가 결정한 방사선의 양에 의해 세워지게 되는데, 그 양은 하루에 필요한 양으로 나누어져 실시되고,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양을 쓰는 것이 적당하다. 방사선치료는 보통 정상적으로 5-6 주 정도 치료한다.
4) 수술치료의 부작용
폐암 수술은 호흡을 담당하는 폐의 일부분을 외과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이고, 대부분 상대적으로 폐 기능 저하가 있는 고 연령인 환자에서 시행되기 때문에, 여러 의료진들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은 5% 정도 된다.
①폐합병증
: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하여 환자가 기침이나 심호흡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가래를 잘 뱉어내지 못하면 폐 확장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로 폐는 점점 줄어들게 되고,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래가 지속적으로 폐 내에 쌓이게 되면 폐렴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금연을 해야 하고, 수술 후에는 심호흡하기, 기침하기, 가래 뱉기 등을 열심히 해야 하며, 간단한 운동 또한 좋다.
② 심장 합병증
: 수술 전 아무런 심장병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관상동맥경화증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술로 인해 심장병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나타나는 심장병의 양상은 가벼운 부정맥에서부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심근경색까지 다양할 수 있다. 그 빈도는 높지 않지만 심근경색과 같은 중증의 심장 합병증이 발생하면 집중치료에도 불구하고,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③ 수술 상처 부위 감염
: 영양상태가 불량하거나 지방이 과도한 경우, 당뇨병이 있는 경우 등에서는 수술 상처 부위에 염증이 잘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는 항생제를 투약하거나,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가 있다.
④ 신체 각 장기의 기능 부전
: 전신 마취로 인한 간 기능의 저하, 과도한 출혈과 저혈압에 의한 신(콩팥)기능의 저하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수술 전 간, 신장기능이 정상이었던 경우에는 대부분 정상을 회복하게 되지만 수술 전 기능저하가 있었던 경우에는 수술로 인하여 더 악화될 수 있다.
⑤ 통증
: 수술부위와 주변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수술할 때 수술시야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늑골과 늑간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것이다. 가벼운 운동이나 찜질이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⑥ 농흉
: 늑막에 균이 들어가게 되면 늑막액이 농으로 변하게 되는데 결국 흉관을 삽입해서 농을 전부 제거하고 항생제 등을 사용하면서 장기간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비교적 드문 합병증이다.
⑦ 목소리변성
: 수술 후 목이 쉬는 수가 있다. 일시적인 현상으로 시간이 지나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성대신경에 영구적인 손상이 생겨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다.
⑧ 기타 : 위의 경우 외에 기흉이나, 폐부종 등의 경우를 수반할 수 있다.
6. 예후
1) 비소세포암(non-small cell carcinoma) 5년 생존율
-stage IA (1A기) : 78 %
-stage IB (1B기) : 65 %
-stage IIA (2A기) : 58 %
-stage IIB (2B기) : 48 %
-stage IIIA (3A기) : 28 %
-stage IV (4기) : 5 % 미만
2) 소세포암(small cell carcinoma) 병기 생존율
-제한병기
: 2년 생존율 40 %, 5년 생존율 10 %
-확장병기
: 5년생존율 4 % 미만
7. 예방
폐암의 대부분은 흡연과 관련된 금연은 가장 중요한 폐암의 예방법이다.
특히 폐암의 발병 가능성이 높은 고 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이 흡연을 하면, 폐암의 위험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반드시 담배를 끊어야 한다.
또 균형잡힌 식이요법도 암의 에방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추천자료
[바이러스] 신종플루 완벽정리 (정의, 원인, 증상, 예방법, 치료법)
[바이러스] 신종플루 완벽정리 (정의, 원인, 증상, 예방법, 치료법)
[우수레포트]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정의, 원인, 증상, 유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틱 장애 - 틱 정의, 인지도, 원인, 증상, 치료법, 운동틱, 음성틱, 사례, 치료방법, 예방법, ...
치매 질병스터디 (치매의 정의, 원인과 종류, 증상, 간호 관리, 간호 시 주의할 점, 의사소통...
뇌수막염
case (뇌수막염의 정의, 뇌수막염의 원인, 뇌수막염의 증상, 뇌수막염... 폐렴(PNEUMONIA) - 정의, 원인, 종류, 증상, 진료 및 치료, 예방방법.pptx
★★평가우수자료★★[약물중독] 약물중독 정의, 약물중독 증상, 약물중독 특성, 약물중독 종류, ...
[신종新種플루] 신종플루 정의, 신종플루 감염 경로, 신종플루 증상, 신종플루 진단, 신종플...
뇌종양(Brain tumor)의 정의 및 원인, 증상 , 징후, 종류
천식 asthma 간호과정 3개 병태생리 정의 치료 간호 증상 등등
폐렴, 폐렴정의, 폐렴분류, 폐렴병태생리, 폐렴빈도, 폐렴위험요인, 폐렴증상, 폐렴치료, 폐...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상피내암, 자궁경부암정의, 자궁경부암병태생리, 자궁경부암치료, 자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