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바이러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이러스란

2. 바이러스 감염경로

3. 바이러스 종류

4. 감염증상

5. 예방법

6. 피해사례

본문내용

타나는 일반적인 증상으로 경고 메시지 박스나 음악과 같은 소리, 또는 이상한 그림이 나타난다. 대부분 조잡한 그림이나 단순한 멜로디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이런 증상이 발생하면 거의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크(또는 메모리)의 용량이 이유 없이 계속 줄어든다.
컴퓨터 바이러스가 감염될 때, 또는 바이러스 코드의 자체 오류(버그)로 인해서 스왑(Swap) 파일이나 임시(Temporary) 파일 등의 용량이 비 정상적으로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메모리 상주형 바이러스일 경우에는 주 메모리에 비 정상적으로 로드되므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오류를 일으키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시스템이 이유 없이 자주 다운(Down)된다.
시스템이 다운(Down)되는 이유는 굉장히 다양하다. 시스템 이상이나 운영체제(OS)의 이상일 경우도 많으나 바이러스의 감염에 따른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문의하는 대부분의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데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일단 감염이 되면 시스템이 다운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므로 일단 감염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파일이 사라지거나 생겨난다.
특정한 종류의 파일이 사라지는 경우나 의미 없는 파일이 생겨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특히 문서 파일의 경우에 자주 발생하는데 매크로 바이러스의 경우 문서 파일을 지우거나 특정 매크로 기능이 포함된 파일을 생성하여 감염 기능에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가 작성하지 않은 매크로를 실행하려고 시도할 때에도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바이러스 예방법
출처가 불분명한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자제한다.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면, 그 즉시 패치를 한다.
모르는 사람이나 엉뚱한 내용의 메일은 읽어 보지 않는다.
시스템의 로그인 패스워드는 간단히 유추할 수 없는 것으로 사용한다.
드라이브 전체 공유를 자제한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읽기' 권한으로 공유한다.
항상 최신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최신 보안 정보를 숙지하도록 한다.
중요한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백업을 받아 둔다.
피해사례
2001년 9월 19일 Nimda웜 취약점을 지닌 IIS가 운영중인 윈도계열시스템에서 공격코드를 실행, 감염된 호스트는 다른 인터넷사이트를 공격 Microsoft iis 4.0 / 5.0 directory traversal 취약점 이용, 전자우편을 보거나 웹사이트에 접속만해도 감염. 특징적인 것은 pc와 서버를 한꺼번에 공격하고, 정보 유출하는 트로이목마 기능까지 갖춘 바이러스
2001년 8월 22일 PC방 등 `코드 레드' 바이러스 피해
윈도 NT 또는 윈도 2000를 사용하는 PC에 감염돼 자체 코딩된 IP 주소를 일제히 공격하는 이 바이러스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PC방 등에서 주로 발생함.
이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네트워크 과부하, 시스템 다운 등 치명적인 장애가 발생.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6.0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