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객(1~57화까지)독후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객(1~57화까지)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화 어머니의 쌀
2화 고추장굴비
.
.
56화 빈대떡
57화 완벽한 음식

본문내용

급률은 10% 이하
②벼농사는 홍수조절기능
③논의 지하수 저장능력은 기존 저수지의 저수량의 3~4배
④대기정화 기능
⑤한여름의 대기 냉각 기능
⑥벼농사는 우리민족의 뿌리이면 혼 - 약 4500~5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
종류
만드는 방법
럼주
사탕수수로 설탕을 만든 뒤 남은 찌꺼기인 당밀로 만들어짐
소주
고려 때 몽골군으로부터 증류식 술 내리는 법에서 발달

①금주령 - 쌀의 소비는 많으나 빚어지는 양이 적어 쌀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짐
②주세령 - 1916년 조선총독부가 술 제조허가제를 시작해서 집집마다 술담그는 것을 금 지 시켰다. (술 생산과 판매를 키웠으나 질이 나빠짐)
③양곡 관리법 - 박정희 정권 때 혼식을 장려하고 쌀소비를 억제를 위해 모든 술을 쌀로 빚지 못하게 하였다.
올게쌀
추수를 하기전에 약간 덜익은 벼를 베어서 털어 가마솥에 넣고 물을 부어 쪄준다.
이때 물이 많으면 퍼져서 터져버리고 적게 부으면 나락이 타버린다. 찐 쌀은 바짝 말려 방 쪄 먹는쌀
2화 고추장굴비
잃어버린 인심.
3화 가을전어 맛은 깨가 서말
멸치는 중국산 국산의 구별이 힘들지만 끓여보면 맛이 없다.
추석 무렵부터 전어는 맛이 돌게 된다. - 가을전어 맛은 깨가 서말
<줄거리>
성찬은 장사를 마치고 집에 오게 되는데 그의 요리 솜씨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 문밖에서 기다리고 있다 성찬과 같이 들어가게 된다. 사람들은 TV를 켜고 뉴스에서 자살소동을 보게 되는데 성찬은 그 뉴스를 보고 아는 형이 장사하는 곳으로 가게 된다. 그는 거기서 전어를 사고 그 자살소동이 있는 곳으로 가게 된다. 그 곳에서 석쇠에 가을전어를 굽는데 그 사람은 가을전어를 보고 자살소동을 접게 된다.
4화 36.2.0.60
콩나물을 끓일 때 중간에 뚜껑을 열면 비린내 제거법 - 마늘과 소금을 약간 넣으면 비린 내도 없어지고 맛도 좋아 진다.
5화 밥상의 주인
태양초 - 붉은 빛이 곱고 투명하고 약간 노란빛이 난다.
화건초 - 검붉고 윤기가 떨어지고 푸른빛이 약간 돈다
맛있는 밥 짓기
①밥을 씻을 때 박박 씻지 말고 움켜쥐듯이 씻는다. 쌀씻은 첫물은 쌀겨 냄새가 나지 않게 빨리 헹군다. 씻은 뒤 오래 불리면 쌀겨 냄새가 나고 밥알 모양도 뭉게지고 맛이 없다.
②쌀을 불리는 시간 - 여름 30분, 가을 1시간, 겨울 2시간
③밥하기 1시간 전에 소쿠리에 담아 물기를 제거 한 뒤 밥을 한다.
④햅쌀은 손가락 마디, 묵은 쌀은 손등까지 물 조절.
⑤물의 양은 압력솥, 무쇠솥, 옹기솥, 냄비 순으로 많게 한다.
⑥센 불에 7~8분, 중간 불에 8~10분 끓여 밥물이 잦아들게 하고, 약한 불에 5~10분 뜸 들인다
⑦뜸들이가 끝나면 재빨리 뚜껑을 열고 밥을 세운다. - 수증기가 물이 되어 밥 위로 떨어 져 밥에 물기가 생기기 때문
햅쌀과 묵은쌀
묵은 쌀밥은 휘발성 성분을 이루는 지방산이 분해 되기 때문에 군내가 나서 맛이 없다.
가마솥이 밥맛이 좋은 이유
솥 안의 온도를 105도를 유지(냄비 물은 100도로 수증기 증발로 온도가 오르지 않고 재질 관계로 열전도율이 낮아 맛이 떨어짐) 하고 무거운 뚜껑이 증기의 유출을 막아주면 수증기의 압력을 높여 밥을 잘 익게 해준다. 그리고 솥 아래 부분이 화덕 안 깊숙이 들어가 있어 열전도율이 높은 쇠솥 전체에 고르게 열을 전달한다.
맛있는 밥의 조건
①밥이 될 때 흡수하는 물의 비율, 쌀이 밥이 되면서 늘어난 부피, 온도, 향기와 성분, 입 안에 느끼는 밥의 차진 정도, 단단함, 씹히는 맛, 혀에 닿는 감촉
②밥을 놋그릇에 담으면 맛있는 이유 - 밥이 가장 맛있는 온도가 65도 인데 놋그릇이 가 장 적절하게 온도를 유지시켜 준다.
6화 부대찌개
부대찌개
부대찌개는 6.25전쟁 때 만들어져 50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다. 다른나라를 가도 부대찌개는 우리나라에서만 먹을 수 있다. 그리고 국물이 있는 우리 음식으로 비교해보자면 우리나라 음식으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아구찜 역사 또한 40년이 조금 넘었다.
7화 Thanks Pa
김치의 기원
김치는 한민족의 역사다.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사람들이 개국 이전부터 채소류를 먹었다고 한다. 일본의 정창원문서나 평안시대 문헌인 연희식에 절임류가 삼국시대에 있었다고 한다.중국은 2600년 전에 쓰여진 중국 최초 시집 시경에 “밭두둑에 외가 열렸다. 외를 깎아서 저(菹)를 담자”라는 구절이 있는데 저가 김치의 원형이다. 중국의 저(菹)가 함채 또는 엄채로 변했고 고려 중엽에는 지염→침채→팀채→딤채→짐채→김채→김치로 변했다. 그러다가 고추의 유입으로 김치의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져 맛있고 다양한 김치가 만들어 졌다.
고추의 유입경로는 원산지인 중앙아메리카→ 16C 중엽 포루투칼 상선에서 일본으로 전해져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로 유입됐다는 설이 있다. 임진왜란 때 ‘고려후추’로 불렸던 걸 보면 중국→한국→일본 설도 가능해 보인다. 임진왜란 이후 설이 유력하다면 임진왜란은 1592년부터 7년 동안 치루어진 전쟁이기 때문에 고추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400년 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추가 있었던 중국, 일본은 절임류에 고추가 쓰이지 않아 우리처럼 다양한 김치가 없다.
우리의 김치문화 발달은 중국, 일본과 다른 우리 토양이 맛있는 고추를 생산시켰고 이걸 이용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있었기 때문이다.
평안도김치
젓갈을 쓰지만 남쪽 김치보다 훨씬 적게 쓴다. 그 이유는 추운지방이라 김치가 빨리 시지 않는 것도 있지만 김치 국물 맛을 살리기 위한 것도 있다. 고춧가루를 적게 넣는 대신 쇠고기 육수를 식혀 기름을 걷어내고 넉넉하게 부어 담근 김치맛도 맛이겠지만 평안도김치는 한겨울에 잘 익은 김치 국물을 살짝 얼은 얼음이랑 같이 퍼서 국수를 말아 멋는 맛, 찡하면서 신맛이 나고 상큼한 맛이 난다.
8화
대령숙수 - 궁중의 잔치 때 음식 만드는 일을 맡아하던 남자조리사.
태좌 - 고추씨를 고정시키는 노란부분으로 고추의 매운맛을 더하는 성분이 있다.
원양태가 맛이 없는 이유
원양태는 잡는 즉시 급랭을 하기 때문에 명태 몸 속의 수분과 염분이 빠져 육징이 변해 버리고 얼음에 냉장하는 명태도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신선도가 떨어져서

키워드

식객,   독후감,   감상문,   허영만,   만화,   성찬,   요리,   57화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7.06.0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