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문법(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문법(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조사(助詞)

☐ 중세국어 조사의 변이양상

☐ 중세국어 조사의 갈래

☐ 격조사
(1) 주격조사
(2) 서술격조사
(3) 목적격조사
(4) 소유격조사(속격조사)
(5) 처소격조사(처격조사)
(6) 호격조사

☐ 접속조사

☐ 보조사

본문내용

원적으로 목적격조사의 기본형 ‘ㄹ’에서 다시 ‘/을’이 결합한 이중형이다.
독부수ㄹ 셤기시니 <용비어천가 11장>
지혜ㄹ 여러 뵈샤 <법화경 삼 8장>
셋째, ‘/을’, ‘/를’의 교체는 모음조화에 의한다.
천하 맛시릴 <용비어천가 6장>
몸앳 필 뫼화 그르세 담아 남녀를 내니 <월인석보 일 2장>
목적격조사가 목적어 표시 기능을 갖는 데는 유의할 점이 있다.
첫째, 동족목적어를 나타내는 목적격조사 ‘ㄹ’
‘웃다, 자다’등은 본래 자동사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는 동사류이다. 그러나 이 자동사들은 같은 동사어간에서 파생된 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어, 제한된 타동사로 쓰이게 된다. ‘-(夢), 츠-(舞)’등은 본래 타동사이지만 같은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 한정된 기능의 타동사이다.
둘째, ‘니-(行), 디-(落), 앉-(座)’ 등과 파생동사 ‘당-, 대-, 향-’같은 자동사들이 ‘시간, 장소, 거리’등의 체언과 연결 될 경우 ‘시간, 장소, 거리’표시의 체언이 목적격조사와 결합하여 목적어를 이룬다.
셋째, 여격조사 사람이나 동물 따위를 나타내는 체언 아래에 쓰여, 그 체언으로 하여금 무엇을 받는 자리에 서게 하는 부사격 조사. ‘에게’, ‘께’, ‘한테’ 따위가 있다.
가 출현할 자리에 목적격조사 ‘ㄹ’이 실현된다.
넷째, 종속절의 주어가 목적격조사를 갖고 나타나기도 한다.
(4) 소유격조사(속격조사)
속격조사는 ‘/의’와 ‘ㅅ’으로 대표된다. 속격조사가 나타나는 형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는 선행체언의 조건에 따라 단순히 ‘ㅣ’로 나타나는 경우로 선행체언의 모음이 양성모음이면 ‘’, 음성모음이면 ‘의’로 나타난다.
상 향 <석보상절 십구 17장>
둘째, ‘ㅅ’은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문헌에는 선행체언의 음절말자음에 따라 ‘ㅂ,ㅸ,ㄷ,ㅿ,ㆆ,ㄱ’등으로 쓰인다.
나랏 그를 제나랏 글로 고텨 쓸시라 <석보상절 서문 6장>
(5) 처소격조사(처격조사)
처소격조사는 ‘애/에, 예, /의’가 대표적이다. 그 모습들을 살펴보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선행체언의 말음절모음이 ‘이’(i)나 ‘ㅣ’(y)일 때 ‘예’
적인ㅅ 서리예 가샤 <용비어천가 4장>
귀예 듣논가 너기쇼셔 <월인석보 일 1~2>
둘째, 선행체언의 모음이 양성일 때 ‘애’
세존이 상두산애 가샤 <석보상절 육 1>
셋째, 선행체언의 모음이 음성일 때 ‘에’
처 불법에 드러 세속애 디 한 젼로 <석보상절 육 2>
몸앳 필 뫼화 그르세 담아 <월인석보 일 2장>
넷째, 소유격조사와 같은 형태이나 처소격을 나타낼 때 ‘/의’
바 비취니 <용비어천가 101장>
수미산 밧긔 닐굽 산이 둘어 잇니 <월인석보 일 22장>
(6) 호격조사
호격조사는 체언으로 하여금 문장의 독립성분이 되게 한다. 그 형태로는 ‘아’와 ‘하’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자가 윗사람을 부를 때 ‘-하’
브텨 세존하 세존하 세간애 겨시더니잇가 <월인석보 십팔 34>
둘째, 같은 신분이나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부를 때 ‘-아’
대왕아 네 이 두 아 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