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권의 정의
2. 상권의 중요성
3. 상권의 특징
4. 개별점포 상권분석
1) 기존점포 상권분석
2) 신설점포 상권분석
(1) 서술적 방법
- 체크리스트법
- 유추법
(2) 규범적 모형
- 중심지 이론
- Reilly의 소매중력 법칙
- Converse의 분기점 공식
(3) 확률 모형
- 루스의 선택공리
- 허프의 법칙
2. 상권의 중요성
3. 상권의 특징
4. 개별점포 상권분석
1) 기존점포 상권분석
2) 신설점포 상권분석
(1) 서술적 방법
- 체크리스트법
- 유추법
(2) 규범적 모형
- 중심지 이론
- Reilly의 소매중력 법칙
- Converse의 분기점 공식
(3) 확률 모형
- 루스의 선택공리
- 허프의 법칙
본문내용
illy의 법칙을 이용하여 손쉽게 상권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경영자는 이 기법과 다른 분석도구들을 함께 사용하여
최적의 상권을 결정할 수 있음.
- 한계점 : Reilly의 법칙에서는 특정 상업지구까지의 거리는 주요도로를 사용
하여 측정되지만, 소비자들이 샛길이나 간선도로를 이용할 경우 거리는
보다 짧지만 여행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상업지구까지의 거리보다
여행시간이 보다 나은 척도가 될 수 있다. 둘째, 실제거리는 소비자가 지각
하는 거리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음.
③Converse의 분기점 공식
라일리의 소매중력법칙을 수정하여 도출된 공식. 이 공식의 의미는 두 도시
혹은 지역간에 무차별점(point of indifference)을 설정함으로써 두 집단
각각의 상권을 자연스럽게 설정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무차별점은
소비자가 양쪽 지역을 쇼핑할 가능성이 같게 하는 분기점이 되는 셈이다.
(3)확률모형
- 최근에 들어 신규점포의 매출액 및 상권범위를 예측하고, 점포성과(매출액)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소매환경변수간의 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있어 공간적
상호작용모델(spatial-interaction models)의 이용이 증가. 공간적 상호작용
모델은 목표상권 내에서 구매를 하는 소비자의 쇼핑여행 (spatial behavior)
패턴을 실증 분석하는 데 이용.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은 해당상권내의
경쟁점포들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패턴이나 소비자의 쇼핑여행 패턴을
반영함으로써 특정점포의 매출액과 상권규모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가능.
-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의 출발점은 한 상권 내에서 특정점포가 끌어들일 수
있는 소비자점유율은 점포까지의 방문거리에 반비례하고 해당 점포의
매력도에 비례한다는 가정. 점포까지의 방문거리가 짧을수록, 그리고
점포특성에 의해 형성된 그 점포의 매력도가 클수록 매출규모가 커진다는
것임.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에서는 특정점포의 효용(utility) 또는
매력도(attraction) 가 다른 경쟁점포보다 높을수록 그 점포가 선택될 확률이
높다고 가정하고 있음. 그러므로 서로 다른 거주지역에 사는 소비자들의 특정
점포에 대한 효용 (매력도)이 경쟁점포보다 클수록 그 점포를 방문할 확률,
나아가 상권의 규모가 커짐을 의미.
Pij : 소비자 i가 점포 j를 선택할 확률
Uij : 소비자 i 에게 있어서 점포 j 의 효용(매력도)
J : 소비자가 고려하는 초 점포의 수
- 공간적 상호작용모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Huff모형이다. 점포의 상권을
추정하기 위한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을 소개한 이후 Huff모형은 이론적 및
실제 적용력 측면에서의 이점 때문에 소매기관 연구자들 및 소매업체들에
의해 상권분석에 폭넓게 활용
두 가지 가정에 기초
첫째, 소비자의특정점포에 대한 효용(매력도)은 점포의 크기와 점포까지의
거리(시간)에 좌우됨
둘째, Luce의 모형에 따라 특정점포에 대한 선택확률은 상권 내에서 소비자가
방문을 고려하는 각 점포대안이 효용(매력도)의 총합에 대한 해당점포의
효용(매력도)이 비율로 표시됨
Huff모형
결정할 수 있으므로 경영자는 이 기법과 다른 분석도구들을 함께 사용하여
최적의 상권을 결정할 수 있음.
- 한계점 : Reilly의 법칙에서는 특정 상업지구까지의 거리는 주요도로를 사용
하여 측정되지만, 소비자들이 샛길이나 간선도로를 이용할 경우 거리는
보다 짧지만 여행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상업지구까지의 거리보다
여행시간이 보다 나은 척도가 될 수 있다. 둘째, 실제거리는 소비자가 지각
하는 거리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음.
③Converse의 분기점 공식
라일리의 소매중력법칙을 수정하여 도출된 공식. 이 공식의 의미는 두 도시
혹은 지역간에 무차별점(point of indifference)을 설정함으로써 두 집단
각각의 상권을 자연스럽게 설정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무차별점은
소비자가 양쪽 지역을 쇼핑할 가능성이 같게 하는 분기점이 되는 셈이다.
(3)확률모형
- 최근에 들어 신규점포의 매출액 및 상권범위를 예측하고, 점포성과(매출액)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소매환경변수간의 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있어 공간적
상호작용모델(spatial-interaction models)의 이용이 증가. 공간적 상호작용
모델은 목표상권 내에서 구매를 하는 소비자의 쇼핑여행 (spatial behavior)
패턴을 실증 분석하는 데 이용.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은 해당상권내의
경쟁점포들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패턴이나 소비자의 쇼핑여행 패턴을
반영함으로써 특정점포의 매출액과 상권규모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가능.
-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의 출발점은 한 상권 내에서 특정점포가 끌어들일 수
있는 소비자점유율은 점포까지의 방문거리에 반비례하고 해당 점포의
매력도에 비례한다는 가정. 점포까지의 방문거리가 짧을수록, 그리고
점포특성에 의해 형성된 그 점포의 매력도가 클수록 매출규모가 커진다는
것임.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에서는 특정점포의 효용(utility) 또는
매력도(attraction) 가 다른 경쟁점포보다 높을수록 그 점포가 선택될 확률이
높다고 가정하고 있음. 그러므로 서로 다른 거주지역에 사는 소비자들의 특정
점포에 대한 효용 (매력도)이 경쟁점포보다 클수록 그 점포를 방문할 확률,
나아가 상권의 규모가 커짐을 의미.
Pij : 소비자 i가 점포 j를 선택할 확률
Uij : 소비자 i 에게 있어서 점포 j 의 효용(매력도)
J : 소비자가 고려하는 초 점포의 수
- 공간적 상호작용모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Huff모형이다. 점포의 상권을
추정하기 위한 공간적 상호작용모델을 소개한 이후 Huff모형은 이론적 및
실제 적용력 측면에서의 이점 때문에 소매기관 연구자들 및 소매업체들에
의해 상권분석에 폭넓게 활용
두 가지 가정에 기초
첫째, 소비자의특정점포에 대한 효용(매력도)은 점포의 크기와 점포까지의
거리(시간)에 좌우됨
둘째, Luce의 모형에 따라 특정점포에 대한 선택확률은 상권 내에서 소비자가
방문을 고려하는 각 점포대안이 효용(매력도)의 총합에 대한 해당점포의
효용(매력도)이 비율로 표시됨
Huff모형
추천자료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 변천에 대하여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골목 상권 진출에 관한 갈등 보고서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진입한 상권 내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조사
재벌의 영세상권 잠식,골목상권,서민경제,대기업횡포,영세 상인의 몰락
[러시아][러시아 마피아][성바실리사원][러시아 음주문화]러시아의 사상(마르크시즘, 맑시즘)...
[한국의 상업과 서비스업] 우리나라의 상업과 서비스업 - 상업과 무역(상업의 발달과 상권, ...
[SSM과 대형마트 규제]SSM(기업형 슈퍼마켓),SSM과 대형마트의 상권침해 현황,해외국가 사례 ...
[경제 시스템] 대기업과 하청기업의 관계 (자동차 업계, 유통 업계, 대기업과 골목상권)
[건축] 인문적, 자연적 지역성격 - 대구 지형 환경, 사월동, 사월역, 욱수천(旭水川), 시지상권
[외식창업] 창업계획, 외식창업의 요소, 외식사업의 성공요소, 외식창업의 과정(단계), 상권...
(독서감상문) 각 시대의 대쟁투(상권)를 읽고
각 시대의 대쟁투(상권)를 읽고
각 시대의 대쟁투(상권)
각새대의 대쟁투(상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