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에 적응하기
(1) 물속에서 눈뜨기
(2) 호흡법
(3) 엎드려 뜨기
2. 자유형
(1) 팔동작
(2) 다리동작
(3) 호흡법
3. 평형
(1) 팔동작
(2) 다리동작
(3) 호흡법
4. 배형
(1) 팔동작
(2) 다리동작
(3) 호흡법
(1) 물속에서 눈뜨기
(2) 호흡법
(3) 엎드려 뜨기
2. 자유형
(1) 팔동작
(2) 다리동작
(3) 호흡법
3. 평형
(1) 팔동작
(2) 다리동작
(3) 호흡법
4. 배형
(1) 팔동작
(2) 다리동작
(3) 호흡법
본문내용
내쉰 다음 입이 물 밖으로 나오자마자 \'파\'하는 소리와 함께 순간적으로 공기를 재빨리 들이마시는 것이다. 숨쉬기 방법에는 ①벽잡고 숨쉬기와 ②얼굴 잠그고 숨쉬기가 있다.
① 벽잡고 숨쉬기
수영장 벽을 두 손으로 잡고 무릎을 굽혀 물 속에 머리를 잠근 후 숨을 코와 입을 통해 내쉬고 무릎을 펴면서 머리를 물 밖으로 내어 들이마신다. 물 속에서 숨을 내쉴 때에는 단번에 내쉬지 말고 천천히 조금씩 내뱉도록 한다.
② 얼굴 잠그고 숨쉬기
물깊이가 가슴 정도 되는 곳에서 다리를 어깨 너비로 벌리고 양손을 무릎 위로 올린 다음 무릎을 굽혀 목까지 잠기게 선다. 얼굴을 숙여 물 속에서 숨을 내쉰 후 턱을 앞으로 내밀면서 숨을 들이마시고 다시 얼굴을 잠근다. 이때 얼굴을 지나치게 들지 않도록 하며 어깨가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야 한다.
(3) 엎드려 뜨기
해파리 뜨기 자세에서 팔을 앞으로 뻗으며 윗몸을 폄과 동시에 다리를 뒤로 뻗어 하체를 들어 올려 곧게 편 자세를 취한다.
해파리 뜨기는 어깨 깊이의 물 속에서 숨을 크게 들이마신 다음 허리를 천천히 굽히며 팔과 다리를 어깨 너비보다 넓게 벌리고 온몸의 힘을 빼면 떠오른다. 이때 턱은 가슴 쪽으로 끌어당긴다.
2. 자유형
(1) 팔동작
다음은 육상에서의 팔동작 연습모습으로 측면과 정면에서의 장면들이다.
① 연속동작 C에서 손바닥은 가슴 쪽으로 평평하게 위치해 있다.
② D그림에서 손은 손바닥을 밑 쪽으로 향하게 하고 엄지손가락은 가슴과 근접해 있다. 이 상적인 팔꿈치의 높이는 전방관찰 그림에서 살펴보자.
③ 연속그림 E, F, G에서 영자는 엄지손가락을 몸 쪽으로 향하게 해서 대퇴부 상단의 스트로크의 후반부에 다다르는 경로를 따라 움직인다.
④ 이 연습은 팔꿈치를 구부리고 손의 회전을 접목시키는 것이며 이 연습의 다음 단계는 물 속에서 연습하는 것이다.
Pull과 recovery
팔 동작은 편의상 Pull과 recovery 두 가지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Pull
입수 시 손은 거의 편 상태여야 하며 손가락이 입수되었을 때 팔꿈치는 편안하게 어느 정도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Pull의 첫 단계에서는 팔부터 시작하여 전완 순서로 이어지며 손이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매우 큰 원 형태를 취하게 된다. 척골의 끝도 약간 위쪽으로 회전된다. 손목은 약간 밑으로 구부러져 있다.
손가락이 처음에 입수하고 그 다음 손목 전완 팔꿈치 순서로 입수한다. 엄지 손가락은 새끼 손가락 보다 약간 낮게 경사진다.
Pull의 중반부에서 팔꿈치는 반드시 바깥쪽으로 향해 있어야 한다. Pull은 S자 모양으로 움직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아래 그림 참조).
또 손바닥면은 pull의 진행에 따라 바깥쪽으로 움직였다가 안쪽으로 다시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Pull은 팔이 완전히 펴지기 전에 끝나게 되고 엄지 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쳐 나가는 순간에 손을 들어 올려 recovery 동작에 들어간다.
▶ Recovery
Recovery로 들어가기 위한 미는 단계는 수면 밑에서 이루어진다.
팔이 물 밖으로 들어 올려질 때 팔이 구부러져 있어야 하며 몸의 롤링 때문에 어깨는 처음에 물 수면 밖으로 보였다가 그 다음 상완과 팔꿈치 손목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이 나온다.
팔꿈치는 위로 높이 들려 있다. 전완이 약간 느슨하게 되어서 팔꿈치부터 되돌리기를 시작한다.
되돌리기의 중반부에서 손가락은 전완이 재입수되는 지점으로 인도된다.
이렇게 손이 팔꿈치를 끌고 다니는 형태는 어깨관절을 보다 나은 형태로 작용하게끔 해준다.
(2) 다리동작
크롤의 다리동작은 1회의 손동작 진행중에 킥을 6번 실시하는 6비트 킥, 4회 실시하는 4비트 킥, 2회 실시하는 2비트 킥 등이 있다. 이 가운데 6비트 킥은 단거리에 적당하고 4비트 킥과 2비트 킥은 장거리에 적당하다. 약한 킥은 몸을 가라앉게 하므로 가벼우면서도 강하게 킥을 실시하면 몸이 쉽게 뜨고 팔동작을 크게 할 수 있다. 크롤의 다리동작은 마치 물고기가 지느러미를 움직이듯이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움직여야 한다. 즉, 발목에 힘을 빼고 허리, 허벅다리, 무릎, 종아리 순으로 물을 아래로 내리치면서 마지막으로 발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물을 뒤로 밀어내는 것이다.
▶킥 다운(kick down)
발목을 펴고 다리 전체를 사용하여 채찍이 휘어지는 것처럼 내려찬다. 허리와 다리의 각도가 너무 굽어져 있으면 다리가 수면 밑으로 깊이 내려가 저항이 커지게 되어 속도가 저하된다.
▶킥 업(kick up)
내려 찬 다리를
① 벽잡고 숨쉬기
수영장 벽을 두 손으로 잡고 무릎을 굽혀 물 속에 머리를 잠근 후 숨을 코와 입을 통해 내쉬고 무릎을 펴면서 머리를 물 밖으로 내어 들이마신다. 물 속에서 숨을 내쉴 때에는 단번에 내쉬지 말고 천천히 조금씩 내뱉도록 한다.
② 얼굴 잠그고 숨쉬기
물깊이가 가슴 정도 되는 곳에서 다리를 어깨 너비로 벌리고 양손을 무릎 위로 올린 다음 무릎을 굽혀 목까지 잠기게 선다. 얼굴을 숙여 물 속에서 숨을 내쉰 후 턱을 앞으로 내밀면서 숨을 들이마시고 다시 얼굴을 잠근다. 이때 얼굴을 지나치게 들지 않도록 하며 어깨가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야 한다.
(3) 엎드려 뜨기
해파리 뜨기 자세에서 팔을 앞으로 뻗으며 윗몸을 폄과 동시에 다리를 뒤로 뻗어 하체를 들어 올려 곧게 편 자세를 취한다.
해파리 뜨기는 어깨 깊이의 물 속에서 숨을 크게 들이마신 다음 허리를 천천히 굽히며 팔과 다리를 어깨 너비보다 넓게 벌리고 온몸의 힘을 빼면 떠오른다. 이때 턱은 가슴 쪽으로 끌어당긴다.
2. 자유형
(1) 팔동작
다음은 육상에서의 팔동작 연습모습으로 측면과 정면에서의 장면들이다.
① 연속동작 C에서 손바닥은 가슴 쪽으로 평평하게 위치해 있다.
② D그림에서 손은 손바닥을 밑 쪽으로 향하게 하고 엄지손가락은 가슴과 근접해 있다. 이 상적인 팔꿈치의 높이는 전방관찰 그림에서 살펴보자.
③ 연속그림 E, F, G에서 영자는 엄지손가락을 몸 쪽으로 향하게 해서 대퇴부 상단의 스트로크의 후반부에 다다르는 경로를 따라 움직인다.
④ 이 연습은 팔꿈치를 구부리고 손의 회전을 접목시키는 것이며 이 연습의 다음 단계는 물 속에서 연습하는 것이다.
Pull과 recovery
팔 동작은 편의상 Pull과 recovery 두 가지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Pull
입수 시 손은 거의 편 상태여야 하며 손가락이 입수되었을 때 팔꿈치는 편안하게 어느 정도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Pull의 첫 단계에서는 팔부터 시작하여 전완 순서로 이어지며 손이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매우 큰 원 형태를 취하게 된다. 척골의 끝도 약간 위쪽으로 회전된다. 손목은 약간 밑으로 구부러져 있다.
손가락이 처음에 입수하고 그 다음 손목 전완 팔꿈치 순서로 입수한다. 엄지 손가락은 새끼 손가락 보다 약간 낮게 경사진다.
Pull의 중반부에서 팔꿈치는 반드시 바깥쪽으로 향해 있어야 한다. Pull은 S자 모양으로 움직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아래 그림 참조).
또 손바닥면은 pull의 진행에 따라 바깥쪽으로 움직였다가 안쪽으로 다시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Pull은 팔이 완전히 펴지기 전에 끝나게 되고 엄지 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쳐 나가는 순간에 손을 들어 올려 recovery 동작에 들어간다.
▶ Recovery
Recovery로 들어가기 위한 미는 단계는 수면 밑에서 이루어진다.
팔이 물 밖으로 들어 올려질 때 팔이 구부러져 있어야 하며 몸의 롤링 때문에 어깨는 처음에 물 수면 밖으로 보였다가 그 다음 상완과 팔꿈치 손목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이 나온다.
팔꿈치는 위로 높이 들려 있다. 전완이 약간 느슨하게 되어서 팔꿈치부터 되돌리기를 시작한다.
되돌리기의 중반부에서 손가락은 전완이 재입수되는 지점으로 인도된다.
이렇게 손이 팔꿈치를 끌고 다니는 형태는 어깨관절을 보다 나은 형태로 작용하게끔 해준다.
(2) 다리동작
크롤의 다리동작은 1회의 손동작 진행중에 킥을 6번 실시하는 6비트 킥, 4회 실시하는 4비트 킥, 2회 실시하는 2비트 킥 등이 있다. 이 가운데 6비트 킥은 단거리에 적당하고 4비트 킥과 2비트 킥은 장거리에 적당하다. 약한 킥은 몸을 가라앉게 하므로 가벼우면서도 강하게 킥을 실시하면 몸이 쉽게 뜨고 팔동작을 크게 할 수 있다. 크롤의 다리동작은 마치 물고기가 지느러미를 움직이듯이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움직여야 한다. 즉, 발목에 힘을 빼고 허리, 허벅다리, 무릎, 종아리 순으로 물을 아래로 내리치면서 마지막으로 발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물을 뒤로 밀어내는 것이다.
▶킥 다운(kick down)
발목을 펴고 다리 전체를 사용하여 채찍이 휘어지는 것처럼 내려찬다. 허리와 다리의 각도가 너무 굽어져 있으면 다리가 수면 밑으로 깊이 내려가 저항이 커지게 되어 속도가 저하된다.
▶킥 업(kick up)
내려 찬 다리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