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하드디스크관련
2. 부팅관련
3.플로피디스크관련
4.CD-ROM관련
5.파워서플라이와 전원관련
6.모니터관련
7.CPU관련
8.RAM관련
9.메인보드관련
10.윈도우 관련
2. 부팅관련
3.플로피디스크관련
4.CD-ROM관련
5.파워서플라이와 전원관련
6.모니터관련
7.CPU관련
8.RAM관련
9.메인보드관련
10.윈도우 관련
본문내용
1.하드디스크관련
CMOS SETUP에서 하드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하드 디스크에 연결된 케이블의 문제이다.
하드 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점검할 것은 CMOS SETUP의 내용이다.
CMOS SETUP의 \'STANDARD CMOS SETUP\'의 메뉴를 통해 하드 디스크의 상태를 확인한다. 하드 디스크의 종류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IDE HDD AUTO DETECTION\'메뉴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를 자동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인식이 안될 경우는 내부케이블의 연결 오류 때문이다. 하드 디스크의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됐는지 확인한다. 이때 케이블 한쪽의 빨간색선이 하드 디스크의 1번 핀과 일치해야 한다. 점퍼설정 오류도 하드 디스크 인식에 문제를 끼칠 수 있다.
케니블의 끝에 위치한 커넥터는 Master, 중간커넥터는 Slave이다. 이것에 유의하며 하드 디스크 점퍼를 설정한다. 파워케이블이 제대로 꽂히지 않았거나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파워 케이블은 반대로 꽂으면 삽입되지 않으니 모양을 확인면서 꽂는다.
하드랙을 설치한 후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
하드랙에 들어있는 하드디스크가 과열됐다.
하드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되지 못해 에러를 유발하므로 하드랙은 가급적 팬이 달린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랙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아직 완벽하지 않아서 시스템에 따라 하드디스크에 무리를 주기도 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하드랙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하드디스크를 장착했는데 전체 용량을 인식하지 못한다.
CMOS SETUP에서 하드 디스크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았다.
CMOS SETUP을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설정해 준다. CMOS SETUP에 이상이 없다면 바이러스 문제이다.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해 수리한 후에도 같은 증상이라면 로우레벨 포맷을 해본다. 이전에 다른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테스트해서 자체의 문제인지를 살펴봐야 한다.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문제이다.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는 대부분 시스템 파일의 손상에서 비롯된다. 이런 문제는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A:>sys c: 등의 명령으로 복구해줄 수 있다. 만일 하드디스크로 부팅은 되는데 디스켓으로 부팅했을 때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부팅디스켓으로 부팅후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해 하드디스크의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치료해야 한다.
하드디스크 사용 중 심한 소음이 발생한다.
하드디스크가 베이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았다.
하드디스크는 본래 모터가 쉴새 없이 동작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합니다. 소음을 나름대로 줄여보는 방안으로 하드디스크를 베이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나사로 너무 심하게 하드디스크를 조이면 디스크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해본다.
갑자기 \'띵\'하는 소리와 함께 하드디스크의 모니터가 꺼진다.
하드디스크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하다.
파워서플라이
CMOS SETUP에서 하드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하드 디스크에 연결된 케이블의 문제이다.
하드 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점검할 것은 CMOS SETUP의 내용이다.
CMOS SETUP의 \'STANDARD CMOS SETUP\'의 메뉴를 통해 하드 디스크의 상태를 확인한다. 하드 디스크의 종류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IDE HDD AUTO DETECTION\'메뉴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를 자동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인식이 안될 경우는 내부케이블의 연결 오류 때문이다. 하드 디스크의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됐는지 확인한다. 이때 케이블 한쪽의 빨간색선이 하드 디스크의 1번 핀과 일치해야 한다. 점퍼설정 오류도 하드 디스크 인식에 문제를 끼칠 수 있다.
케니블의 끝에 위치한 커넥터는 Master, 중간커넥터는 Slave이다. 이것에 유의하며 하드 디스크 점퍼를 설정한다. 파워케이블이 제대로 꽂히지 않았거나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파워 케이블은 반대로 꽂으면 삽입되지 않으니 모양을 확인면서 꽂는다.
하드랙을 설치한 후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
하드랙에 들어있는 하드디스크가 과열됐다.
하드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되지 못해 에러를 유발하므로 하드랙은 가급적 팬이 달린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랙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아직 완벽하지 않아서 시스템에 따라 하드디스크에 무리를 주기도 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하드랙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하드디스크를 장착했는데 전체 용량을 인식하지 못한다.
CMOS SETUP에서 하드 디스크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았다.
CMOS SETUP을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설정해 준다. CMOS SETUP에 이상이 없다면 바이러스 문제이다.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해 수리한 후에도 같은 증상이라면 로우레벨 포맷을 해본다. 이전에 다른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테스트해서 자체의 문제인지를 살펴봐야 한다.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문제이다.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는 대부분 시스템 파일의 손상에서 비롯된다. 이런 문제는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A:>sys c: 등의 명령으로 복구해줄 수 있다. 만일 하드디스크로 부팅은 되는데 디스켓으로 부팅했을 때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부팅디스켓으로 부팅후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해 하드디스크의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치료해야 한다.
하드디스크 사용 중 심한 소음이 발생한다.
하드디스크가 베이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았다.
하드디스크는 본래 모터가 쉴새 없이 동작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합니다. 소음을 나름대로 줄여보는 방안으로 하드디스크를 베이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나사로 너무 심하게 하드디스크를 조이면 디스크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해본다.
갑자기 \'띵\'하는 소리와 함께 하드디스크의 모니터가 꺼진다.
하드디스크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하다.
파워서플라이
추천자료
(IT와경영정보시스템)(1) 일반적인 컴퓨터의 처리 방식인 직렬처리 방식에 비해 병렬처리 방...
[놀이학습,협동학습,컴퓨터보조학습(CAI),마인드맵학습,토의학습,자리학습,전문가학습,또래지...
[조직범죄][컴퓨터범죄][사이버범죄][스포츠범죄][신용카드범죄][보험범죄][비속살해죄][간통...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리터러시][비쥬얼][컴퓨터][미디어][영상][도구][대중문화컨텐츠][디지털]비쥬얼 리터러시, ...
SCM사례 - 델(Dell)컴퓨터, 삼보컴퓨터 SCM전략, SCM 정의,등장배경,중요성,도입효과,주요기...
Computer architeceture mid pr Calculation assembly 컴퓨터 구조: 어셈블리를 이용한 계산...
(A+) [컴퓨터의 이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과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그리고 최신...
[국어국문학과] 컴퓨터의 이해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과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
(A+ 레포트, 컴퓨터의 이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과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그리...
[2017학년도 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컴퓨터의이해(공통) 컴퓨터에서 입력장치, 중...
(IT와경영정보시스템 공통) (1) 컴퓨터 시스템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현대의 컴퓨터를...
[IT와경영정보시스템 공통] (1) 컴퓨터 시스템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현대의 컴퓨터를...
[IT와경영정보시스템 공통] (1) 컴퓨터 시스템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현대의 컴퓨터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