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반적인 러시아 민요의 정의와 구분
2. 역사가요
1) 빌리나(Bylina)
3. 노동가
4. 로망스와 차스투쉬카
5. 러시아 민요의 음악적 요소
6. 러시아의 민속악기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일반적인 러시아 민요의 정의와 구분
2. 역사가요
1) 빌리나(Bylina)
3. 노동가
4. 로망스와 차스투쉬카
5. 러시아 민요의 음악적 요소
6. 러시아의 민속악기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chut' pomedlennee!
Umolyayu vas vskach' ne letet'!
No chto-to koni mne dostalis' priveredlivye,
Kol' dozhit' ne uspel, tak hotya by dopet'!
Ya konei napoyu,
Ya kuplet dopoyu,-
Hot' mgnoven'e eshe postoyu na krayu!
도처에 절벽이 있다. 가장자리를 따라
나는 내 말을 채찍으로 때리며 달린다.
어쩐지 나는 질식할 것만 같다. 바람을 마시고 안개를 삼킨다.
파멸 앞에서 환희를 느낀다. 떨어진다. 떨어진다.
말들아, 좀 천천히! 좀 더 천천히!
너희들은 내려치는 채찍을 따르지 말아라.
왜 나에게 이러한 야생마들이 주어졌을까?
끝까지 못 살았고, 나는 마지막까지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나는 말들을 노래하리라. 못다한 노래를 부르리라.
절벽 끝에,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추어서서...
나는 사라지리라... 폭풍이 나를 쓸어버리리.
아침에 눈 위를 썰매를 따라 끌려가리라.
나의 말들아, 천천히. 서두르지 말고 달리자.
비록 얼마만이라도, 마지막 안식처에 이르기까지 길을 계속하라!
말들아, 좀 천천히. 좀 더 천천히!
너희들에게 명령자는- 채찍과 회초리가 아니다.
왜 나에게 이러한 야생마들이 주어졌을까?
끝까지 못 살았고, 나는 마지막까지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나는 말들을 노래하리라. 못다한 노래를 부르리라.
절벽 끝에,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추어서서...
우리는 성공했어요. 하느님 초청으로 가는 손님이 늦을 수 없어요.
왜 천사들이 저런 흉한 소리로 노래를 부를가요?
내가 통곡할 때, 새종 너는 왜 울고 있느냐?
나는 왜 말에게 썰매를 빨리 끌지 말라고 소리치는가?
말들아, 좀 천천히! 좀 더 천천히!
너희들은 내려치는 채찍을 따르지 말아라.
왜 나에게 이러한 야생마들이 주어졌을까?
끝까지 못 살았고, 나는 마지막까지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나는 말들을 노래하리라. 못다한 노래를 부르리라.
절벽 끝에,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추어서서
5. 러시아 민요의 음악적 요소
일반적으로 러시아 민요를 역사의 산물이라고 표현한다. 앞에서 살펴 본 실제 작품들에도 잘 나타나있듯이 러시아의 긴 역사적 속박과 러시아를 둘러싼 주위의 사람들의 생활과 그 리듬이 음악에 잘 반영되어있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특히 슬라브족, 핀족, 터키족의 민속과 관계를 갖고 있다. 또 비잔틴과 몽고 문화를 계승한 슬라브적 요소가 리듬과 선율, 다성음악적 처리 방법에서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의 민요는 가사의 리듬을 따라 불규칙 마디가 많고 그에 따라 형성되었다. 4/3박자는 2/4박자로 4/4박자는 5/4박자로, 7/4박자는 2/4 박자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음계는 장조와 단조 그리고 그 변형, 중세 교회선법, 고대의 5음 음계, 그 외에 선법들의 결합으로 인한 불확실한 선법 양식으로 나타난다.
러시아 민요의 지방적 특색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벨로러시아, 에스도니아, 조르지아, 라르비아, 리투아니아, 몰다비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 공화국, 우크라이나, 중앙 아시아의 11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연구도 존재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피하도록 하겠다. 成宣貞, 러시아 음악의 민요사용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 1982. 더욱 자세한 사항은 이 논문에 소개되어 있다.
결론만 말하자면 앞의 구분에 따른 지역들이 독립적으로 민요를 발전시켜왔고, 이는 이 지역들의 언어적 차이와(방언과 타국어) 삶의 형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지역의 민요는 한 민족이나 국가의 민요로 통일해서 생각하기 어렵다. 다만 일반적인 공통점이 있다면, 언어의 리듬에 선율이 따라가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박자가 자유로운 낭독적 선율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음악적으로 선율의 음역이 좁고 반복이 많아지는 결과로 나타난다.
6. 러시아의 민속악기
러시아에서는 다양한 전통적인 민속악기가 민요의 반주나 기악연주에 사용되었다. 그중 가장 오래된 악기 중 하나는 구슬리로 우리의 해금과 비슷한 악기로 핀족의 칸탈레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밖에 러시아의 민속악기로 여겨지는 발랄라이카는 18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며, 그이전의 만돌린과 같은 악기로 돔브라가 있다. 또 1830년대에 러시아에 들어온 아코디언은 가르몬이라 불리는데 가장 중요한 반주악기로 현대에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Ⅲ. 결론
음악은 언어를 능가하는 전 세계 공용어라고들 한다. 가사가 전달되지 않아도 음악을 통한 그 감정의 전달에 감동 받은 경험은 모두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특히 민요는 전 세계 모든 민중들의 삶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과제를 준비하면서 러시아의 민요를 처음으로 들었다. 물론 우리말로 번안된 백만 송이 장미나, 모래시계 삽입곡 같은 노래는 들어왔었지만 본격적으로 러시아의 민요를 찾아서 들었던 적은 없었다. 대략 100곡이 넘는 곡을 들었던 것 같은데 하나같이 친근한 감정의 울림을 받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정서적으로 러시아와 한국이 유사하다는 점은 민요를 통해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우리의 정서와 너무도 잘 어울리는 음률과 선율은 전혀 거부감이 없이 다가 왔고, 러시아 말을 전혀 모르는 상태인데도 가슴 깊이 무언가를 전달하고 있었다. 외모로 보면 전혀 다를 것 같은 두 민족이 이렇게 친근한 감정을 공유하고 있었음이 새삼 놀라웠다.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서 러시아를 향해 첫발을 내딛었다면 이번 과제를 통해서 러시아를 좀더 이해할 수 있는 두 번째 걸음을 걸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민요를 통해서 나에게 러시아는 더 이상 동토의 땅이 아닌 아주 친근한 나라이다.
<참고문헌>
김경묵, 『이야기 러시아사』, 청아출판사, 2005.
이무열, 『한권으로 보는 러시아 100장면』, 가람기획.
마르스 슬로님, 『러시아 문학과 사상』, P.50, 김규진 편역, 2002
Jeff Todd Titon, 『Worlds of Music, Schirmer Thomson Learning』, 2005
成宣貞, 「러시아 음악의 민요사용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 2004.
Umolyayu vas vskach' ne letet'!
No chto-to koni mne dostalis' priveredlivye,
Kol' dozhit' ne uspel, tak hotya by dopet'!
Ya konei napoyu,
Ya kuplet dopoyu,-
Hot' mgnoven'e eshe postoyu na krayu!
도처에 절벽이 있다. 가장자리를 따라
나는 내 말을 채찍으로 때리며 달린다.
어쩐지 나는 질식할 것만 같다. 바람을 마시고 안개를 삼킨다.
파멸 앞에서 환희를 느낀다. 떨어진다. 떨어진다.
말들아, 좀 천천히! 좀 더 천천히!
너희들은 내려치는 채찍을 따르지 말아라.
왜 나에게 이러한 야생마들이 주어졌을까?
끝까지 못 살았고, 나는 마지막까지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나는 말들을 노래하리라. 못다한 노래를 부르리라.
절벽 끝에,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추어서서...
나는 사라지리라... 폭풍이 나를 쓸어버리리.
아침에 눈 위를 썰매를 따라 끌려가리라.
나의 말들아, 천천히. 서두르지 말고 달리자.
비록 얼마만이라도, 마지막 안식처에 이르기까지 길을 계속하라!
말들아, 좀 천천히. 좀 더 천천히!
너희들에게 명령자는- 채찍과 회초리가 아니다.
왜 나에게 이러한 야생마들이 주어졌을까?
끝까지 못 살았고, 나는 마지막까지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나는 말들을 노래하리라. 못다한 노래를 부르리라.
절벽 끝에,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추어서서...
우리는 성공했어요. 하느님 초청으로 가는 손님이 늦을 수 없어요.
왜 천사들이 저런 흉한 소리로 노래를 부를가요?
내가 통곡할 때, 새종 너는 왜 울고 있느냐?
나는 왜 말에게 썰매를 빨리 끌지 말라고 소리치는가?
말들아, 좀 천천히! 좀 더 천천히!
너희들은 내려치는 채찍을 따르지 말아라.
왜 나에게 이러한 야생마들이 주어졌을까?
끝까지 못 살았고, 나는 마지막까지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나는 말들을 노래하리라. 못다한 노래를 부르리라.
절벽 끝에, 단 한 순간이라도 멈추어서서
5. 러시아 민요의 음악적 요소
일반적으로 러시아 민요를 역사의 산물이라고 표현한다. 앞에서 살펴 본 실제 작품들에도 잘 나타나있듯이 러시아의 긴 역사적 속박과 러시아를 둘러싼 주위의 사람들의 생활과 그 리듬이 음악에 잘 반영되어있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특히 슬라브족, 핀족, 터키족의 민속과 관계를 갖고 있다. 또 비잔틴과 몽고 문화를 계승한 슬라브적 요소가 리듬과 선율, 다성음악적 처리 방법에서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의 민요는 가사의 리듬을 따라 불규칙 마디가 많고 그에 따라 형성되었다. 4/3박자는 2/4박자로 4/4박자는 5/4박자로, 7/4박자는 2/4 박자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음계는 장조와 단조 그리고 그 변형, 중세 교회선법, 고대의 5음 음계, 그 외에 선법들의 결합으로 인한 불확실한 선법 양식으로 나타난다.
러시아 민요의 지방적 특색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벨로러시아, 에스도니아, 조르지아, 라르비아, 리투아니아, 몰다비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 공화국, 우크라이나, 중앙 아시아의 11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연구도 존재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피하도록 하겠다. 成宣貞, 러시아 음악의 민요사용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 1982. 더욱 자세한 사항은 이 논문에 소개되어 있다.
결론만 말하자면 앞의 구분에 따른 지역들이 독립적으로 민요를 발전시켜왔고, 이는 이 지역들의 언어적 차이와(방언과 타국어) 삶의 형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지역의 민요는 한 민족이나 국가의 민요로 통일해서 생각하기 어렵다. 다만 일반적인 공통점이 있다면, 언어의 리듬에 선율이 따라가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박자가 자유로운 낭독적 선율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음악적으로 선율의 음역이 좁고 반복이 많아지는 결과로 나타난다.
6. 러시아의 민속악기
러시아에서는 다양한 전통적인 민속악기가 민요의 반주나 기악연주에 사용되었다. 그중 가장 오래된 악기 중 하나는 구슬리로 우리의 해금과 비슷한 악기로 핀족의 칸탈레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밖에 러시아의 민속악기로 여겨지는 발랄라이카는 18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며, 그이전의 만돌린과 같은 악기로 돔브라가 있다. 또 1830년대에 러시아에 들어온 아코디언은 가르몬이라 불리는데 가장 중요한 반주악기로 현대에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Ⅲ. 결론
음악은 언어를 능가하는 전 세계 공용어라고들 한다. 가사가 전달되지 않아도 음악을 통한 그 감정의 전달에 감동 받은 경험은 모두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특히 민요는 전 세계 모든 민중들의 삶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과제를 준비하면서 러시아의 민요를 처음으로 들었다. 물론 우리말로 번안된 백만 송이 장미나, 모래시계 삽입곡 같은 노래는 들어왔었지만 본격적으로 러시아의 민요를 찾아서 들었던 적은 없었다. 대략 100곡이 넘는 곡을 들었던 것 같은데 하나같이 친근한 감정의 울림을 받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정서적으로 러시아와 한국이 유사하다는 점은 민요를 통해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우리의 정서와 너무도 잘 어울리는 음률과 선율은 전혀 거부감이 없이 다가 왔고, 러시아 말을 전혀 모르는 상태인데도 가슴 깊이 무언가를 전달하고 있었다. 외모로 보면 전혀 다를 것 같은 두 민족이 이렇게 친근한 감정을 공유하고 있었음이 새삼 놀라웠다.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서 러시아를 향해 첫발을 내딛었다면 이번 과제를 통해서 러시아를 좀더 이해할 수 있는 두 번째 걸음을 걸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민요를 통해서 나에게 러시아는 더 이상 동토의 땅이 아닌 아주 친근한 나라이다.
<참고문헌>
김경묵, 『이야기 러시아사』, 청아출판사, 2005.
이무열, 『한권으로 보는 러시아 100장면』, 가람기획.
마르스 슬로님, 『러시아 문학과 사상』, P.50, 김규진 편역, 2002
Jeff Todd Titon, 『Worlds of Music, Schirmer Thomson Learning』, 2005
成宣貞, 「러시아 음악의 민요사용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