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I. 서 론
1.1 보고서의 의의 1
1.2 보고서의 목적 1
1.3 보고서의 구성 1
II. 본 론
2.1 사례1 : 면도기 2
2.2 사례2 : LCD 모니터 5
2.3 사례3 : 도어락 11
2.4 사례4 : hybrid car 15
2.5 사례5 : 샤워시설 25
III. 고찰(분석) - 아이디어
IV.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33
부록 34
작성후기 38
<표 차례>
[표 2-1] 액정발견의 역사 5
[표 2-2]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역사 6
[표 2-3] 샤워기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 25
[표 2-4] 새로운 샤워기 설계 시 개선점에 대한 설문조사 25
[표 2-5] 반신욕 횟수에 대한 설문조사 25
<그림 차례>
[그림 2-1] 필립스의 스마트터치 엑셀 4
[그림 2-2] 배향막 도포 7
[그림 2-3] RUBBING 7
[그림 2-4] 제조공정 Flow - Chart(1) 8
[그림 2-5] 제조공정 Flow - Chart(2) 9
[그림 2-6] 기존의 도어락 11
[그림 2-7] 최신 디지털 도어락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도어락) 11
[그림 2-8] 물리적인 키(key)의 원리 13
[그림 2-9] 도요타 Prius의 주요 장치 17
[그림 2-10] hybrid car의 출발과 저속주행 시 운전 시스템 17
[그림 2-11] hybrid car의 정속주행 시 운전 시스템 18
[그림 2-12] hybrid car의 최고속도주행 시 운전 시스템 18
[그림 2-13] hybrid car의 감속 및 정지 시 운전 시스템 19
[그림 2-14] 2004년 독일에선 열린 모터쇼에서 선보인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20
[그림 2-15] Prius 측면 디자인 21
[그림 2-16] Prius의 실내 모습 22
[그림 2-17] Prius의 내부 컴퓨터 모습 22
[그림 2-18] Prius 충돌 테스트 모습 23
[그림 2-19] Prius의 넓은 트렁크 모습 23
[그림 2-20] 기존의 샤워기 모습 26
[그림 2-21] 기능성 샤워기 27
[그림 2-22] 물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샤워기 27
[그림 2-23] 디지털 샤워기 28
[그림 2-24] 절수 샤워기 28
[그림 2-25] 절약형 욕조와 안전형 욕조 29
[그림 2-26] 핸드폰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욕조 29
[그림 3-1] 수압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 부분 30
[그림 3-2] 샤워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착된 욕조 31
[그림 #1]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1) 34
[그림 #2]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2) 35
[그림 #3] 욕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 36
[그림 #4] 남성의 욕조 사용 관련 치수 37
[그림 #5] 욕조 설계 시 치수 참조 38
1.1 보고서의 의의 1
1.2 보고서의 목적 1
1.3 보고서의 구성 1
II. 본 론
2.1 사례1 : 면도기 2
2.2 사례2 : LCD 모니터 5
2.3 사례3 : 도어락 11
2.4 사례4 : hybrid car 15
2.5 사례5 : 샤워시설 25
III. 고찰(분석) - 아이디어
IV.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33
부록 34
작성후기 38
<표 차례>
[표 2-1] 액정발견의 역사 5
[표 2-2]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역사 6
[표 2-3] 샤워기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 25
[표 2-4] 새로운 샤워기 설계 시 개선점에 대한 설문조사 25
[표 2-5] 반신욕 횟수에 대한 설문조사 25
<그림 차례>
[그림 2-1] 필립스의 스마트터치 엑셀 4
[그림 2-2] 배향막 도포 7
[그림 2-3] RUBBING 7
[그림 2-4] 제조공정 Flow - Chart(1) 8
[그림 2-5] 제조공정 Flow - Chart(2) 9
[그림 2-6] 기존의 도어락 11
[그림 2-7] 최신 디지털 도어락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도어락) 11
[그림 2-8] 물리적인 키(key)의 원리 13
[그림 2-9] 도요타 Prius의 주요 장치 17
[그림 2-10] hybrid car의 출발과 저속주행 시 운전 시스템 17
[그림 2-11] hybrid car의 정속주행 시 운전 시스템 18
[그림 2-12] hybrid car의 최고속도주행 시 운전 시스템 18
[그림 2-13] hybrid car의 감속 및 정지 시 운전 시스템 19
[그림 2-14] 2004년 독일에선 열린 모터쇼에서 선보인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20
[그림 2-15] Prius 측면 디자인 21
[그림 2-16] Prius의 실내 모습 22
[그림 2-17] Prius의 내부 컴퓨터 모습 22
[그림 2-18] Prius 충돌 테스트 모습 23
[그림 2-19] Prius의 넓은 트렁크 모습 23
[그림 2-20] 기존의 샤워기 모습 26
[그림 2-21] 기능성 샤워기 27
[그림 2-22] 물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샤워기 27
[그림 2-23] 디지털 샤워기 28
[그림 2-24] 절수 샤워기 28
[그림 2-25] 절약형 욕조와 안전형 욕조 29
[그림 2-26] 핸드폰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욕조 29
[그림 3-1] 수압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 부분 30
[그림 3-2] 샤워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착된 욕조 31
[그림 #1]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1) 34
[그림 #2]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2) 35
[그림 #3] 욕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 36
[그림 #4] 남성의 욕조 사용 관련 치수 37
[그림 #5] 욕조 설계 시 치수 참조 38
본문내용
설문조사
월 4 회
월 3 회
월 2 회
월 1 회
월 1 회 미만
반신욕 횟수
7
14
32
44
3
[단위 : %]
위의 자료에서 많은 사람들이 월 1,2 회의 반신욕을 즐기는 것을 볼 수 있다.
2.5.2 기존의 샤워기와 욕조의 발전 과정
[그림 2-20] 기존의 샤워기 모습
기존의 샤워기는 위의 그림과 같이 수도꼭지에 호수가 달린 형태로 가장 일반적이고 흔히 사용되어 온 구조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간편하지만 조작이 불편하고 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었다.
[그림 2-21] 기능성 샤워기
샤워기는 위의 사진과 같은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샤워기에 비하여 많은 기능이 첨가되고 조작이 편리해졌다.
[그림 2-22] 물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샤워기
위의 사진은 물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샤워기이다. 뜨거운 물에 의해 입을 수 있는 화상을 예방해 줄 수 있다. 안전성을 높여준 예이다.
[그림 2-23] 디지털 샤워기
다음은 디지털 샤워기로 온도와 수압 등의 샤워기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림 2-24] 절수 샤워기
위의 사진은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절수 샤워기이다. 헤드 부분을 구부려서 유량 및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50% 이상의 절수가 효과가 있다.
샤워기에 비하여 욕조는 일반적인 형태에서 크게 발전하지는 않았다. 한 두가지의 예들을 살펴보자.
[그림 2-25] 절약형 욕조와 안전형 욕조
절약형 욕조와 안전형 욕조로 크게 사용되어지지는 않았다.
[그림 2-26] 핸드폰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욕조
iHouse 사에서 핸드폰으로 컨트롤 가능한 디지털 욕조 ‘Smart Hydro’를 출시했다. 핸드폰이나 PDA, 인터넷으로 디지털 욕조에 접속해 목욕물을 준비할 수 있으며,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절하거나, 알맞은 온도를 저장할 수 있다. 심지어 목욕물이 준비되는 과정을 인터넷으로 지켜볼 수도 있다고 하나 사용자들은 이 기능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Smart Hydro는 작동되는 것과 동시에 점검시스템을 가동시켜,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하면 iHouse 사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사전 예방한다.
Ⅲ. 고찰(분석) - 아이디어
[그림 3-1] 수압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 부분
위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많은 사람들이 거의 매일 머리를 감는다. 그런데 문제는 머리를 감을 때 샤워기를 조절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부분에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그림 3-2] 샤워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착된 욕조
다음으로 욕조 안에서 샤워를 하거나 반신욕을 할 때 샤워기를 조작하려면 일어나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욕조 안에서는 움직임이 제한되고 다른 활동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욕조에 샤워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부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 조절을 누워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샤워를 하면서 책을 보는 등 다른 활동들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Ⅳ. 결론 및 향후 연구
연구와 조사 결과 현재 우리의 생활에 알게 모르게 인간공학적인 요소가 숨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제 제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인간공학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다른 제품들에 뒤쳐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앞으로 인간공학적인 연구는 갈수록 더 광범위해 질 것이고, 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부분에 활용될 것이다.
샤워기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주기엔 모자랐다. 그래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실재적으로 인간을 고려하는 인간공학적인 요소를 적용하여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더 사용하기에 편리한 샤워시설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1] 박경수, 인간공학, 영지문화사, p.5, 2006. 12
[2] 2005년 4월 27일, SBS 뉴스, ‘고유가 시대 ’하이브리드카’ 인기’
[3] 도요타 Prius 홈페이지, www.toyota.com/prius
[4] 2005년 9월 29일, ‘국산 하이브리드카 아직 갈 길 멀다’
[5] 2007년 3월 26일, ‘현대차 “혼다 하이브리드카 2년내 추월”’
[6] 이등용, 욕실 설계에 관한 계구, 대한주택공사, p.60, 1983.12
[7] American Standard, Installation&Operation Instruction, American Standard, p121, 2005.6
[8] PC상식 윈도우 세상, 이지영 디스플레이뱅크 simon@displaybank.co.kr
[9] 디지털 도어락의 장점- 네이버카페 매직게이트 http://cafe.naver.com/magicgate/
부록
[그림 #1]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1)
[그림 #2]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2)
[그림 #3] 욕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
[그림 #4] 남성의 욕조 사용 관련 치수
[그림 #5] 욕조 설계 시 치수 참조
작성후기
논문을 쓰기 시작할 때 많은 분량에 힘들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조사를 하고, 논물을 쓰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매우 유익했다. 특히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 그러나 조원들이 자주 만나서 토론하고 의견을 나누면서 많은 의견들이 나왔다. 아직 배우는 학생이기 때문에 많은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들을 선정하여 직접 설계하고 렌더링하고 아이디어들을 적용해 볼 때 많은 경험이 되었다.
또한 이번 논문을 쓰면서 인간공학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 속 수많은 부분들에 인간공학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과거에는 가장 중요한 ‘사람’에 대한 관심이 그리 크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연구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인간공학에 관한 공부를 더 깊이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월 4 회
월 3 회
월 2 회
월 1 회
월 1 회 미만
반신욕 횟수
7
14
32
44
3
[단위 : %]
위의 자료에서 많은 사람들이 월 1,2 회의 반신욕을 즐기는 것을 볼 수 있다.
2.5.2 기존의 샤워기와 욕조의 발전 과정
[그림 2-20] 기존의 샤워기 모습
기존의 샤워기는 위의 그림과 같이 수도꼭지에 호수가 달린 형태로 가장 일반적이고 흔히 사용되어 온 구조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간편하지만 조작이 불편하고 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었다.
[그림 2-21] 기능성 샤워기
샤워기는 위의 사진과 같은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샤워기에 비하여 많은 기능이 첨가되고 조작이 편리해졌다.
[그림 2-22] 물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샤워기
위의 사진은 물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샤워기이다. 뜨거운 물에 의해 입을 수 있는 화상을 예방해 줄 수 있다. 안전성을 높여준 예이다.
[그림 2-23] 디지털 샤워기
다음은 디지털 샤워기로 온도와 수압 등의 샤워기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림 2-24] 절수 샤워기
위의 사진은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절수 샤워기이다. 헤드 부분을 구부려서 유량 및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50% 이상의 절수가 효과가 있다.
샤워기에 비하여 욕조는 일반적인 형태에서 크게 발전하지는 않았다. 한 두가지의 예들을 살펴보자.
[그림 2-25] 절약형 욕조와 안전형 욕조
절약형 욕조와 안전형 욕조로 크게 사용되어지지는 않았다.
[그림 2-26] 핸드폰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욕조
iHouse 사에서 핸드폰으로 컨트롤 가능한 디지털 욕조 ‘Smart Hydro’를 출시했다. 핸드폰이나 PDA, 인터넷으로 디지털 욕조에 접속해 목욕물을 준비할 수 있으며, 물의 양과 온도를 조절하거나, 알맞은 온도를 저장할 수 있다. 심지어 목욕물이 준비되는 과정을 인터넷으로 지켜볼 수도 있다고 하나 사용자들은 이 기능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Smart Hydro는 작동되는 것과 동시에 점검시스템을 가동시켜,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하면 iHouse 사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사전 예방한다.
Ⅲ. 고찰(분석) - 아이디어
[그림 3-1] 수압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 부분
위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많은 사람들이 거의 매일 머리를 감는다. 그런데 문제는 머리를 감을 때 샤워기를 조절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부분에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그림 3-2] 샤워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착된 욕조
다음으로 욕조 안에서 샤워를 하거나 반신욕을 할 때 샤워기를 조작하려면 일어나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욕조 안에서는 움직임이 제한되고 다른 활동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욕조에 샤워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부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 조절을 누워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샤워를 하면서 책을 보는 등 다른 활동들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Ⅳ. 결론 및 향후 연구
연구와 조사 결과 현재 우리의 생활에 알게 모르게 인간공학적인 요소가 숨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제 제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인간공학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다른 제품들에 뒤쳐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앞으로 인간공학적인 연구는 갈수록 더 광범위해 질 것이고, 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부분에 활용될 것이다.
샤워기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주기엔 모자랐다. 그래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실재적으로 인간을 고려하는 인간공학적인 요소를 적용하여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더 사용하기에 편리한 샤워시설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1] 박경수, 인간공학, 영지문화사, p.5, 2006. 12
[2] 2005년 4월 27일, SBS 뉴스, ‘고유가 시대 ’하이브리드카’ 인기’
[3] 도요타 Prius 홈페이지, www.toyota.com/prius
[4] 2005년 9월 29일, ‘국산 하이브리드카 아직 갈 길 멀다’
[5] 2007년 3월 26일, ‘현대차 “혼다 하이브리드카 2년내 추월”’
[6] 이등용, 욕실 설계에 관한 계구, 대한주택공사, p.60, 1983.12
[7] American Standard, Installation&Operation Instruction, American Standard, p121, 2005.6
[8] PC상식 윈도우 세상, 이지영 디스플레이뱅크 simon@displaybank.co.kr
[9] 디지털 도어락의 장점- 네이버카페 매직게이트 http://cafe.naver.com/magicgate/
부록
[그림 #1]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1)
[그림 #2] 샤워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2)
[그림 #3] 욕조 사용에 과한 설문조사
[그림 #4] 남성의 욕조 사용 관련 치수
[그림 #5] 욕조 설계 시 치수 참조
작성후기
논문을 쓰기 시작할 때 많은 분량에 힘들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조사를 하고, 논물을 쓰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매우 유익했다. 특히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 그러나 조원들이 자주 만나서 토론하고 의견을 나누면서 많은 의견들이 나왔다. 아직 배우는 학생이기 때문에 많은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들을 선정하여 직접 설계하고 렌더링하고 아이디어들을 적용해 볼 때 많은 경험이 되었다.
또한 이번 논문을 쓰면서 인간공학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 속 수많은 부분들에 인간공학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과거에는 가장 중요한 ‘사람’에 대한 관심이 그리 크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연구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인간공학에 관한 공부를 더 깊이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추천자료
주 5일제근무제 실시에 대한 설문조사 보고서
MP3 만족도 고객 설문조사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내용
대학생 음주문화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 통계
캐릭터 전문 판매 및 포탈사이트 설문조사
책임 지는 이성교제 - 설문조사
도미노 배달 서비스 설문조사
싸이월드에 대한 만족도 및 친근감 설문조사 분석
전자상거래 신뢰성에 관한 연구_설문조사 결과를 각종통계분석
스쿨버스 이용실태 및 설문조사
여대생의 다이어트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분석
직원 만족도 설문조사
A+청소년 약물 사용 경험 설문조사 정리 내용 (01~10)
SKY DMB 휴대폰의 시장확보를 위한 사전설문조사 분석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