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식음료및 외식산업 판매증진방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텔 식음료및 외식산업 판매증진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 론

제 2장. 호텔 식음료 상품의 이해
제 1절. 식음료 상품의 특징 및 중요성
제 2절. 식음료 상품의 종류

제 3장. 식 당
제 1절. 식당의 정의
제 2절. 식당의 분류

제 4장. 주 장
제 1절. 주장의 개념과 조직
제 2절. 주장요원의 직무분석

제 5장. 연 회
제 1절. 연회의 개념
제 2절. 호텔 연회의 조직과 업무
제 3절. 연회서비스

제 6장. 외식사업
제 1절. 호텔외식사업
제 2절. 호텔의 외식사업 진출사례

제 7장. 식음료 및 외식산업 판매증진 방안

제 8장. 결 론

※참고 문헌※

※ 표 & 그림 목차 ※
[그림 2-1] 식음료 상품의 특징
[표 2-1] 식음료 내용에 따른 분류
[표 2-2] 시설에 따른 분류
[표 3-1] 서비스 제공방식에 따른 장단점
[그림 4-1] 주장 조직표(Bar Organization Chart)
[그림 5-1] 연회팀의 조직도
[그림 5-2] 연회 예약에 따른 진행도
[그림 5-3] 연회준비 및 진행순서

본문내용

식을 조리사로부터 직접 서비스받는 방식의 식당으로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식의 신선함과 식욕을 촉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7) 리프레쉬먼트 스탠드(Refreshment Stand)
간편한 음식을 진열장에 미리 진열하여 놓고, 바쁜 고객이나 잠시 휴식을 취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식당이다.
(8) 드라이브인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변에 위치하여 자동차 여행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식당으로 식당의 앞이나 옆의 주차시설을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9) 다이닝카(Dining Car)
기차 여행자들을 위하여 운영되는 열차식당이 주로 해당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무궁화호 및 새마을호에서 운영되고 있다.
(10) 스넥바
일종의 간이식당으로써 간단한 음식이나 음료를 제공하는 식당이다. 흔히 서서 먹기도 하며, 카운터 서비스 혹은 셀프서비스 방식으로 운영된다.
(11) 델리카트슨(Dellicatessen)
델리카트슨은 독일어로 섬세하고 멋있는 음식 또는 가벼운 기호음식이라는 의미로써, 제과, 제빵, 가공식품 등을 주로 판매하는 곳이다.
5. 제공품목에 의한 분류
국가와 지방마다 요리는 각각의 향토색이 짙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지역적, 민족적, 문화적 특색에 따라 음식이 재료, 조리방법 등이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제공품목에 따른 분류는 각 나라의 명칭을 붙여 분류하고 있다.
(1) 한국식당(Korean Restaurant)
한국요리는 각 지방의 다양한 산물을 이용한 향토성 짙은 지방음식이 발달하였는데, 전통적으로는 좌석 서비스(floor service) 및 가족 서비스(family service)방식을 쓰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테이블 서비스와 카운터 서비스 방식 등을 고루 적용하고 있다.
한국요리는 다른 나라 요리에 비해 정성과 노력이 많이 들 뿐 아니라 궁중음식, 반가음식, 서민음식 등 계층에 따른 음식과 향토음식, 절식, 시식, 혼례음식, 제사음식 등이 미풍양속과 함께 전승되어 왔고, 각 분야별로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독특한 조리기술과 상차림 및 독창적인 식기문화의 변천과 더불어 발전되었다.
한국음식의 상차리기는 한 상에 차리는 음식 이름의 가짓수를 뜻하기도 하고, 그 음식을 놓는 자리를 정확히 하여 설찬(設饌)을 뜻하기도 한다. 상의 종류는 먹는 사람의 수를 가리켜 외상차리기, 겸상차리기라 하고 2사람 이상이 한상에 둘러앉아 먹을 때는 두리반상 또는 교자상차리기라 한다. 또 먹는 시간에 따라 새벽에 차려 내는 상은 초조반상(初朝飯床), 다음은 조반상 또는 아침상, 다음은 점심상, 다음은 저녁상, 늦은 밤에 차려내는 상은 밤참 또는 야찬이라 한다. 끼니 때 외에 먹도록 차려 내는 상을 곁두리샛밥새참이라 한다.
(2) 일본식당(Japanese Restaurant)
일본요리를 일명 화식(和食)이라고도 하는데 한식당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는 좌식 서비스 및 가족 서비스 방식을 쓰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테이블 서비스와 카운터 서비스 방식을 고루 적용하고 있다.
일본요리는 일본풍토에서 독특하게 발달한 일본인이 일상 먹는 요리의 총칭이다. 일본열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지형과 기후의 변화가 많은 나라로서, 사계절이 우리나라와 같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생산되는 재료가 다양하며 계절에 따라 맛도 달라지고 해산물이 매우 풍부한 나라다.
또한 일본요리는 형식에 다라 혼젠요리 상은 국과 요리의 수에 따라 구분한다. 1즙3채(一汁三菜)·2즙5채(二汁五菜)·3즙7채(三汁七菜) 등을 기본으로 하며, 1즙5채(一汁五菜)·2즙7채(二汁七菜)·3즙9채(三汁九菜) 등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즙(汁)\'은 국을 뜻하며 \'지루\'라고도 한다. \'채(菜)\'는 반찬을 이르는 말이다. 이와 같은 형식이 갖추어진 것은 에도시대이며, 메이지시대에 와서 민간에까지 일반화되었다.
, 가이세끼요리 에도시대부터 연회요리에 이용하는 정식요리이다. \'가이세키[會席]\'는 모임의 좌석이라는 뜻이다. 일본의 정식요리인 혼젠요리를 간단하게 변형한 것이다. 결혼식이나 공식연회 또는 손님을 접대할 때 사용한다. 처음부터 음식을 모두 차리는 혼젠요리와 달리 국과 생선회를 먼저 차린다. 그리고 다음 요리를 차례로 낸다.
, 쇼진요리 육류·어패류·달걀을 사용하지 않고 곡물·콩·야채 등의 식물성 재료와 해조류를 사용한 요리이다. 가마쿠라시대에 불교가 융성하면서 일반에게까지 널리 퍼졌다. \'쇼진[精進]\'이라는 말은 불교에서 불도를 닦을 때 잡념을 버리고 일심으로 정신수양을 한다는 뜻이다. 음식도 수행이라는 선의 정신을 근거로 한 선종의 식사법으로 시작되었다.
, 후까요리 황벽산 만복사의 법주였던 주이 중국에서 찾아오는 선종승을 대접할 때 정진요리를 조리했던 것으로, 음식명도 중국식 명칭을 따는 것이 아직도 잔존해 있다.
로 분류하며, 지역에 따라서 관동요리, 관서요리로 분류하기도 한다.
(3) 중국요리(chinese Restaurant)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중의 하나인 중국식당의 역사는 이미 2천년 전에 요리전문 서적들이 만들어지면서 시작되었다. 테이블 서비스와 가족 서비스 방식을 고루 적용하고 있는 중식당의 역사는 6세기경에 식경이라는 책이 만들어져 지금까지 전해져 올 정도로 중국의 음식문화는 맛과 예술적인 면에서 최고의 전통을 자랑하고 있다.
중국요리는 중국대륙에서 발달한 요리의 총칭으로 일명 청요리, 또는 중화요리라고도 하는데, 오랜 세월을 두고 광활한 영토와 넓은 영해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농축수산물을 얻을 수 있어, 이들을 활용한 요리는 불로장생을 목표로 하여 오랜 기간의 경험을 토대로 꾸준히 다듬고 연구개발되어 왔다
중국요리는 지역적인 특징에 따라 베이징요리 지리적 특성으로 육류를 중심으로 강한 화력을 이용한 튀김요리와 볶음요리가 특징이다.
, 난징요리 중국 중부의 대표적인 요리로 난징, 상하이, 쑤조우, 양조우 등지의 요리를 총칭한다.
, 상하이요리 간장이나 설탕으로 달콤하게 맛을 나며 기름기가 많고 진한 것이 특징이다.
, 광둥요리 중국남부의 요리를 대표, 남쪽의 더운 지방인 광주의 요리는 재료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맛을 잘 살려내는 담백함이 특징이다. 한편 서유럽 요리의 영향을 받아 쇠고기, 서양채소, 토마토케
  • 가격3,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06.1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