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힘과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의 힘과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예고편^^ - 우리가 영화의 영향력을 알아봐야하는 이유?

2.이소룡

3. IMF 와 TITANIC

4.매력적인 마케팅 수단 PPL

5. 스포일러는 반전영화의 독약!!!

6. 영화의 영향력에 관한 기사모음
1) 배틀로얄
2) 주유소습격사건
3) 조승희 사건 관련 영화들
4) 그때 그사람들
5) 미녀는 괴로워
6) 밀리언 달러베이비
7) 각종 공포영화들

7.엔딩 크레딧
1. 사회의 소외된 계층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2. 사회를 고발하기도 한다
3. 지나갔던 사건을 다시 한번 들춰 냄으로써 사람들에게 다양한 생각을 할 것을 요구한다
4. 영화치료
‘「실미도」‧「태극기 휘날리며」관객 1000만명’
먼저, 영화는 대중들의 언어, 외모 등의 외형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영화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의 역할을 하면서 사회적‧종교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영화는 만드는 사람의 가치관이나 시선이 정치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문내용

다르게 주인공 자체를 게이 양로원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설정해서 게이들의 삶과 그들의 아픔을 보여준다.
2. 사회를 고발하기도 한다이러한 영화들은 주로 다큐멘터리의 형식을 취한다. 대표적으로 얼마전에도 우리나라에 개봉했던 불편한진실이라는 영화를 들수 있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였던 엘고어가 제작한 영화로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세계의 위험을 전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몇 년전 큰 반향을 일으켰던 슈퍼 사이즈 미 라는 영화도 패스트 푸드의 위험성을 감독이 직접 체험 함으로써 인간의 몸에 얼마나 위험한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3. 지나갔던 사건을 다시 한번 들춰 냄으로써 사람들에게 다양한 생각을 할 것을 요구한다
주로 흥미 위주의 살인사건을 들춰 내는 경우가 많지만 사회의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을 주제로 삼기도 한다. 구스반산트 감독의 엘리펀트라는 작품이 한 예로 들수 있다. 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난사사건을 찍은 작품으로 잔잔한 영상에서 마지막 16분의 총기난사씬은 어떠한 편집기술 없이 그대로 보여줘서 관객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다큐멘터리 영화인 루즈 체인지는 비록 흥미로 치닫기는 했지만 9.11 테러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표현해내기도 했다. 현재 우리나라도 살인의 추억이나 그놈 목소리, 현재 개봉 예정에 있는 화려한 휴가 까지 사회에 있었던 사건들을 주제로 삼는 영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4. 영화치료
상담에서 영화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1990년대 미국에서 붐을 일으키며 시작되었다. 미술, 음악 , 문학 등 다양한 예술매체들이 상담에 활용되는데 영화역시 심리치료의 중요한 매체 이다. 실제로 상담자들의 문제와 유사한 영화를 보고 서로 토론하면 영화의 인물과 자신을 유사하게 느끼면서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치료에 큰 부분을 차지 하는 것이 영화를 만드는 것인데, 상담자가 영화를 찍어 오면 영화를 보며 그들의 불안한마음과 불만을 그대로 알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담자 또한 자신을 한번 더 돌아보게 된다.
‘「실미도」「태극기 휘날리며」관객 1000만명’ 얼마전까지만 해도 대중매체라하면 TV, 라디오, 신문 등을 꼽았지만, 이제는 영화가 또 하나의 중요한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대중들의 삶과 정서에 무의식적으로 파고들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나는, 영화가 현대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적사회적정치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았다.
먼저, 영화는 대중들의 언어, 외모 등의 외형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영화 ‘엽기적인 그녀’,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의 주인공 전지현은 신드롬을 일으켰다. 주인공의 캐릭터는 긴생머리의 여성스러움을 강조했고, 마른듯한 몸매는 사회적으로 다이어트, 웰빙에 대한 관심도를 고조시켰다. 영화 ‘친구’에서 배우들이 사용한 부산사투리는 유행어처럼 퍼져나갔다. 각종 오락프로그램이나 코믹프로에서 따라하기도 하고, 실제로 학생을 비롯한 많은 대중들이 사투리에 가깝게 접근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이처럼 영화 속 특정배우의 옷차림이나 머리모양이 유행하고, 그들의 언어를 표준어인양 사용하기도 하고, 주인공을 본뜬 캐릭터 상품들이 나오기도 하면서, 대중들의 외형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영화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의 역할을 하면서 사회적종교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영화는 예전처럼 허구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형태로든 그 사회나 현실과 관계를 맺고 있다. 공포영화를 예로 들면, 1970년대말 이후 미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해 전세계적인 공포를 이끈 ‘나이트메어’, ‘할로윈’, ‘13일의 금요일’, ‘스크림’, ‘나는 지난 여름에 한일을 알고 있다’ 등의 영화는 제이슨, 프레디 등 현실도피적인 환상물이 등장했다. 그러나 얼마전 인기를 얻었던 여고괴담 시리즈는 현재 심각한 사회현상 중 하나인 학교생활에서 ‘따돌림(왕따)’ 등을 소재로 다뤘다. 同대에 다시 개봉한 ‘프레디 대 제이슨’이 큰 성과를 올리지 못한 것도 현실과는 조금 동떨어진 시각의 공포물이 현대와는 다른 시각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외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은 ‘공동경비구역 JSA’가 개봉될 당시 JSA 전우회의에 대해 항의한 사건이라든지, 종교적으로 기독교를 소재로 한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는 전세계 기독교인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지만, 그 영화 속의 하느님의 고통에 대한 연기를 보면서 그것을 자신의 고통으로 여겨 쓰러지거나 숨진 사람이 있기도 했다. 얼마전에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살인마 유영철의 경우, 살인수법을 영화 ‘공공의 적’, ‘살인의 추억’에서의 모방범죄라고 하니 그 영향이 사회적 질서를 어지럽힐 수 있을 만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사회의 일면을 드러내는 영화는 허구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마치 사실인양 대중에게 전달되기도 하여 종종 사회적 논쟁이 되기도 한다.
셋째, 영화는 만드는 사람의 가치관이나 시선이 정치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영화에서는 영화를 만드는 시나리오 작가나 감독의 가치관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중에게 들어가게 된다. 영화 ‘화씨 911’은 정부의 통제로 개봉이 늦춰졌다. 이 영화는 反부시, 反戰을 주제로 2002년 미국 911테러와 관련해서 부시대통령 가문, 사우디아라비아 왕가, 빈 라덴의 관계를 폭로했다. 정부측은 이 영화에 나오는 내용이 전부 사실이 아니라고 하지만, 개봉을 앞두고 정부에서 제작사 디즈니측에게 조세감면의 혜택까지 준다며 배급을 막았던 이유는 그만큼 이 영화가 줄 커다란 파장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파장은 곧 있을 미국의 대선과 연결될 수 있음을. 지금까지 현대사회에서 영화가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강력한 대중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영화는 시대의 거울이다. 이는 곧 영화가 사회를 반영하는 것 만큼, 사회적외형적종교적정치적인 측면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영화가 어떤 형태로든 그 사회나 역사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의미이고, 특히 영화를 만드는 사람의 가치관이나 세상을 보는 시선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중에게 직간접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6.2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2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