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목차
1장~19장까지
본문내용
에 대한 답이..없는 듯....-_-;;
[10-6]
A. 만약 그림 10-22에서 보여진 PCR에 2회의 증폭주기를 더 진행시키면, 회색, 녹색, 빨간색으로 색칠해져 있는 그리고 노란색으로 테두리 쳐진 DNA단편을 각각 얼마나 더 만들어낼 수 있겠는가? 만약 더 많은 주기가 진행되면, 어느 단편이 가장 많이 존재하게 될 것인가?
▶ 증폭주기를 한번 더 돌리면 회색2, 녹색4, 빨간색4, 22노란색 테두리 단편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두 번째로 더 돌리면 회색2, 녹색5, 빨간색5, 52노란색 테두리 단편들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노란테두리 DNA단편들은 다른 색깔의 단편들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된다. 그것들의 길이는 증폭에서 쓰이는 두 개의 프라이머들 간의 DNA서열 상 거리에 따라 정확히 결정된다.
B. 여러분이 한 개의 이중나선 DNA를 가지고, 그 속에 있는 500개의 뉴클레오티드쌍을 증폭한다고 가정하자. 이 DNA를 100 ng까지 만들기 위해서 대략 몇 번의 PCR증폭회로가 필요한가? 100 ng은 형광염료로 염색한 뒤 쉽게 감식할 수 있는 양이다. (힌트: 이것을 계산하기 위해 각 뉴클레오티드는 330 g/mole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 500개의 뉴클레오티드쌍으로 이루어진 DNA한분자의 질량은 5.5 × 10 g 이다. DNA수를 근사적으로 구해보면 한번의 증폭 과정동안 대략 DNA숫자는 2배정도로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00 × 10 g = 2 × 5.5 ×10 g 이다. 여기서 N은 증폭 횟수를 말한다. N을 구해보면 N = log(1.81 ×10)/log(s) = 37.4 따라서 겨우 약 40회의 PCR 증폭 주기를 거치기만 해도 단 하나의 DNA분자에서 실험에서 정량하기에 충분한 양의 DNA양을 얻을 수가 있다. 실험실에서 이 모든 과정은 단 4시간이면 가능하다.
[10-7] 몇십 년 동안의 연구 결과, 리키 박사는 할리우드 유명인들의 머리카락 시료로부터 인간의 강력한 페로몬을 생산하는 효소인, 매력효소를 최근 분리해냈다. 매력효소를 자신의 사적인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그는 매력효소의 완전한 게놈 클론을 얻은 후, 유전자 발현 플라스미드에 있는 강력한 박테리아 프로모터에 연결하였고 대장균에 그 플라스미드를 도입했다. 그는 세포에서 매력효소를 생산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무척 실망했다. 실패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되는가?
▶ 다수의 포유류의 유전자들과 마찬가지로 매력효소의 유전자 역시 인트론을 포함하고있다. 박테리아는 인트론을 제거할 수 있는 스플라이싱 기작이 없으므로 그 유전자로부터 올바로 표현되야 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가 없다. 박테리아 세포 내에서 대부분의 포유류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그 유전자의 cDNA를 사용해야 한다.
[10-8]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고르고 그 이유를 설명해보자.
A. cDNA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한 클론은 프로모터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 False.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된 클론은 프로모터 서열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 서열들은 전사가 되지 않고 따라서 cDNA의 주형으로 쓰이는 mRNA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B. 네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인식하는 제한효소인 Alu Ⅰ으로 게놈 DNA를 자르면 만들어지는 모든 단편은 정확히 256 뉴클레오티드의 길이를 갖는다.
▶ False. ()의 확률로 절단 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256뉴클레오티드 길이의 단편들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지만 이들의 실제적인 길이는 평균과 거리가 있는 다양한 값들을 가질 수 있다.
C. cDNA 라이브러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DNA중합효소와 역전사효소 모두 필요하다.
▶ True. 역전사효소가 먼저 mRNA를 DNA단일 사슬로 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난 후에 DNA polymerase가 두 번째 상보적인 DNA사슬을 합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D. PCR에 의한 DNA 지문법은 개인마다 그들의 게놈에 있는 VNTR 부위의 반복서열을 다른 수로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 True. 충분한 수의 VNTR들을 사용하면 각각은 독특하게 fingerprinted될 수 있다. 그림 10-30을 참고하라.
E. 특정한 조직으로부터 만든 게놈 라이브러리에 한 유전자의 암호화 부위가 나타날 수 있으나, 같은 조직으로부터 만든 cDNA 라이브러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True. 조직의 세포들이 관심있는 유전자를 전사하지 않는다면 이 조직으로부터 준비된 cDNA 라이브러리에서 발현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같은 조직으로부터 준비된 유전자도서관(genomic library)에서는 나타날 것이다.
[10-9] ddNTP를 이용한 DNA염기서열 결정 문제입니다.
▶ 그림이 있는데 BM에도 유사문제가 있으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10-10]
A. 제한효소로 자르는 문제입니다.
▶ 위에서 언급된 같은 내용이라 생략합니다.
B. 인간의 게놈 라이브러리는 종종 Hae Ⅲ를 가지고 DNA가 부분적으로만 잘릴 수 있도록, 즉 Hae Ⅲ로 잘릴 가능성이 있는 모든 자리가 잘리지는 않도록 효소처리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렇게 하는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 이렇게 함으로써 일련의 overlapping DNA fragments들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겹침 DNA 단편들로 이루어진 Libraries는 염색체 상에서의 본래 서열에 있는 순서대로 클로닝된 서열을 나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클론 DNA의 끝부분으로부터 온 서열은 같은 서열을 갖고 있어 오버랩 될 수 있는 library에 속한 클론을 찾는 probe로써 사용될 수가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연속적인 DNA서열이 점차적으로 찾아질 수 있다. 이런 실험 기법을 chromosome walking이라고 하며 중요한 유전자를 포함한 염색체상의 영역을 찾는데 효과적이다.
[10-11]
▶ 선형 DNA분자의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많이 해본 환형 DNA분자의 제한효소 지도 작성법보다도 쉽습니다. 그래서 생략.=_=;;(그림도 있어서..)
[10-12] 그림 10-30C에 나타난 것처럼 시험관내에서 공학적으로 마
[10-6]
A. 만약 그림 10-22에서 보여진 PCR에 2회의 증폭주기를 더 진행시키면, 회색, 녹색, 빨간색으로 색칠해져 있는 그리고 노란색으로 테두리 쳐진 DNA단편을 각각 얼마나 더 만들어낼 수 있겠는가? 만약 더 많은 주기가 진행되면, 어느 단편이 가장 많이 존재하게 될 것인가?
▶ 증폭주기를 한번 더 돌리면 회색2, 녹색4, 빨간색4, 22노란색 테두리 단편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두 번째로 더 돌리면 회색2, 녹색5, 빨간색5, 52노란색 테두리 단편들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노란테두리 DNA단편들은 다른 색깔의 단편들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된다. 그것들의 길이는 증폭에서 쓰이는 두 개의 프라이머들 간의 DNA서열 상 거리에 따라 정확히 결정된다.
B. 여러분이 한 개의 이중나선 DNA를 가지고, 그 속에 있는 500개의 뉴클레오티드쌍을 증폭한다고 가정하자. 이 DNA를 100 ng까지 만들기 위해서 대략 몇 번의 PCR증폭회로가 필요한가? 100 ng은 형광염료로 염색한 뒤 쉽게 감식할 수 있는 양이다. (힌트: 이것을 계산하기 위해 각 뉴클레오티드는 330 g/mole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 500개의 뉴클레오티드쌍으로 이루어진 DNA한분자의 질량은 5.5 × 10 g 이다. DNA수를 근사적으로 구해보면 한번의 증폭 과정동안 대략 DNA숫자는 2배정도로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00 × 10 g = 2 × 5.5 ×10 g 이다. 여기서 N은 증폭 횟수를 말한다. N을 구해보면 N = log(1.81 ×10)/log(s) = 37.4 따라서 겨우 약 40회의 PCR 증폭 주기를 거치기만 해도 단 하나의 DNA분자에서 실험에서 정량하기에 충분한 양의 DNA양을 얻을 수가 있다. 실험실에서 이 모든 과정은 단 4시간이면 가능하다.
[10-7] 몇십 년 동안의 연구 결과, 리키 박사는 할리우드 유명인들의 머리카락 시료로부터 인간의 강력한 페로몬을 생산하는 효소인, 매력효소를 최근 분리해냈다. 매력효소를 자신의 사적인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그는 매력효소의 완전한 게놈 클론을 얻은 후, 유전자 발현 플라스미드에 있는 강력한 박테리아 프로모터에 연결하였고 대장균에 그 플라스미드를 도입했다. 그는 세포에서 매력효소를 생산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무척 실망했다. 실패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되는가?
▶ 다수의 포유류의 유전자들과 마찬가지로 매력효소의 유전자 역시 인트론을 포함하고있다. 박테리아는 인트론을 제거할 수 있는 스플라이싱 기작이 없으므로 그 유전자로부터 올바로 표현되야 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가 없다. 박테리아 세포 내에서 대부분의 포유류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그 유전자의 cDNA를 사용해야 한다.
[10-8]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고르고 그 이유를 설명해보자.
A. cDNA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한 클론은 프로모터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 False.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된 클론은 프로모터 서열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 서열들은 전사가 되지 않고 따라서 cDNA의 주형으로 쓰이는 mRNA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B. 네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인식하는 제한효소인 Alu Ⅰ으로 게놈 DNA를 자르면 만들어지는 모든 단편은 정확히 256 뉴클레오티드의 길이를 갖는다.
▶ False. ()의 확률로 절단 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256뉴클레오티드 길이의 단편들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지만 이들의 실제적인 길이는 평균과 거리가 있는 다양한 값들을 가질 수 있다.
C. cDNA 라이브러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DNA중합효소와 역전사효소 모두 필요하다.
▶ True. 역전사효소가 먼저 mRNA를 DNA단일 사슬로 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난 후에 DNA polymerase가 두 번째 상보적인 DNA사슬을 합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D. PCR에 의한 DNA 지문법은 개인마다 그들의 게놈에 있는 VNTR 부위의 반복서열을 다른 수로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 True. 충분한 수의 VNTR들을 사용하면 각각은 독특하게 fingerprinted될 수 있다. 그림 10-30을 참고하라.
E. 특정한 조직으로부터 만든 게놈 라이브러리에 한 유전자의 암호화 부위가 나타날 수 있으나, 같은 조직으로부터 만든 cDNA 라이브러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True. 조직의 세포들이 관심있는 유전자를 전사하지 않는다면 이 조직으로부터 준비된 cDNA 라이브러리에서 발현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같은 조직으로부터 준비된 유전자도서관(genomic library)에서는 나타날 것이다.
[10-9] ddNTP를 이용한 DNA염기서열 결정 문제입니다.
▶ 그림이 있는데 BM에도 유사문제가 있으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10-10]
A. 제한효소로 자르는 문제입니다.
▶ 위에서 언급된 같은 내용이라 생략합니다.
B. 인간의 게놈 라이브러리는 종종 Hae Ⅲ를 가지고 DNA가 부분적으로만 잘릴 수 있도록, 즉 Hae Ⅲ로 잘릴 가능성이 있는 모든 자리가 잘리지는 않도록 효소처리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렇게 하는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 이렇게 함으로써 일련의 overlapping DNA fragments들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겹침 DNA 단편들로 이루어진 Libraries는 염색체 상에서의 본래 서열에 있는 순서대로 클로닝된 서열을 나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클론 DNA의 끝부분으로부터 온 서열은 같은 서열을 갖고 있어 오버랩 될 수 있는 library에 속한 클론을 찾는 probe로써 사용될 수가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연속적인 DNA서열이 점차적으로 찾아질 수 있다. 이런 실험 기법을 chromosome walking이라고 하며 중요한 유전자를 포함한 염색체상의 영역을 찾는데 효과적이다.
[10-11]
▶ 선형 DNA분자의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많이 해본 환형 DNA분자의 제한효소 지도 작성법보다도 쉽습니다. 그래서 생략.=_=;;(그림도 있어서..)
[10-12] 그림 10-30C에 나타난 것처럼 시험관내에서 공학적으로 마
추천자료
현대생물학과 21세기 첨단과학
생물학적처리-(수질)
생물학에 관한 고찰
생물학적 처리
생물학 리포트 3강
생물학적 노화의 주요이론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유전자적 노화 이론, 비유전자적 세포이론, ...
생물학 실험 - 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한 잎의 색소분리 실험
분자分子생물학 DNA 복제
일반생물학및실험 실험보고서 (화분관찰)
분자생물학 실험 Ligation & Transformation
생물학적 노화의 구체적 현상에 대해 신체 구조적인 면과 신체내부기능적인 면으로 구분하여 ...
생물학적 노화의 주요이론인 유전적 이론, 비유전적 세포이론, 면역이론, 생리적 통제이론으...
생물학적 노화의 구체적 현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