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공동경비구역 JSA
-영화의 배경
-캐릭터 분석
-영화의 줄거리 및 스토리 분석
2.영화의 구성
-시간의 구성
-사건의 구성
3.장면 분석
-에피소드
-남성식의 심문 과정
-라스트씬
4. 결론
-영화의 배경
-캐릭터 분석
-영화의 줄거리 및 스토리 분석
2.영화의 구성
-시간의 구성
-사건의 구성
3.장면 분석
-에피소드
-남성식의 심문 과정
-라스트씬
4. 결론
본문내용
남성식 일병이 발포한 총에 정우진이 쓰러진 것으로 나오지만 가장 이성적인 오경필의 진술을 들은 장소령이 이수혁이 쐈다는 사실에 봉착하고 이를 들은 이수혁이 자살을 선택하게 된다.
3. 장면 분석
- 에피소드
영화상에서 남북의 병사들이 서로 어울려 가게 되는 과정을 여러장면에 걸쳐 그려가며 그들끼리의 추억을 관객이 공유하도록 하여 이어 벌어질 비극에서 관중으로 하여금 더욱 더 동정심을 유발하게 한다.
- 남성식의 심문과정
남성식은 주변인으로서의 심문과 중요 참고인으로서의 심문 두가지 심문을 당하게 된다. 최초의 심문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아이레벨 쇼트로 평범하게 그려진다. 하지만 중요 참고인의로서의 심문때에는 인물의 주변을 회전하는 앵글과 심문과정 과정에서 남성식의 투신장면과 투신 후 땅에 떨어진 남성식의 클로즈업 된 모습의 사이 시간에 에피소드를 삽입하여 남성식이 얼마나 불안해 하는지를 그려낸다.
- 이수혁 병장의 자살
이야기의 대단원이 되는 이수혁 병장의 자살.결국 네 병사가 공유한 시간이 산산히 부서지게 되었음을 알리는 장면이다.
이수혁은 심문을 끝낸 장소령이 오경필로부터 받은 라이터를 건내주며 남성식이 아닌 이수혁병장의 손에 정우진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게 되고 이를 들은 이수혁병장이 호송차로 가던 도중 자살을 하게 된다. 권총을 문채 쓰러지는 이수혁과 이수혁의 총에 쓰러지는 정우진의 씬이 교차하며 이수혁병장의 자살계기를 드러내는 화면 구성.
- 라스트씬
영화의 초반에 등장하는 판문점씬에서 한 관광객의 모자가 북측으로 넘어갔을 때 망설이던 관광객에게 모자를 넘겨준 오경필 중사, 그리고 그모습을 촬영하던 한 관광객과 그를 가로막던 남한 헌병. 가볍게 넘긴 이 장면에 이야기의 핵심 인물이 된 네명의 병사를 모두 담아 냄으로써 영화는 더욱 더 관객으로 하여금 비극에 대한 동정심을 자아내며 이야기를 마무리 하게 된다.
4. 결론
2000년, 최고의 관중 몰이를 하며 각종영화제의 상을 석권한 이 영화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분단이라는 유일한 특수성을 소재로 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영화이지만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비단 흥행요소가 아니다. 현재 우리가 봉착해 있는 사상과 이념의 대립, 왜 영문도 모른채 서로를 겨눠야 하는 것인가? 언제까지 이런 비극이 되풀이 되어야 끝날것인가? 누구도 쉽게 대답할 수 없고 누구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그러나 누구나 바라고 있는 그런 질문을 던지는 영화이다.
3. 장면 분석
- 에피소드
영화상에서 남북의 병사들이 서로 어울려 가게 되는 과정을 여러장면에 걸쳐 그려가며 그들끼리의 추억을 관객이 공유하도록 하여 이어 벌어질 비극에서 관중으로 하여금 더욱 더 동정심을 유발하게 한다.
- 남성식의 심문과정
남성식은 주변인으로서의 심문과 중요 참고인으로서의 심문 두가지 심문을 당하게 된다. 최초의 심문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아이레벨 쇼트로 평범하게 그려진다. 하지만 중요 참고인의로서의 심문때에는 인물의 주변을 회전하는 앵글과 심문과정 과정에서 남성식의 투신장면과 투신 후 땅에 떨어진 남성식의 클로즈업 된 모습의 사이 시간에 에피소드를 삽입하여 남성식이 얼마나 불안해 하는지를 그려낸다.
- 이수혁 병장의 자살
이야기의 대단원이 되는 이수혁 병장의 자살.결국 네 병사가 공유한 시간이 산산히 부서지게 되었음을 알리는 장면이다.
이수혁은 심문을 끝낸 장소령이 오경필로부터 받은 라이터를 건내주며 남성식이 아닌 이수혁병장의 손에 정우진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게 되고 이를 들은 이수혁병장이 호송차로 가던 도중 자살을 하게 된다. 권총을 문채 쓰러지는 이수혁과 이수혁의 총에 쓰러지는 정우진의 씬이 교차하며 이수혁병장의 자살계기를 드러내는 화면 구성.
- 라스트씬
영화의 초반에 등장하는 판문점씬에서 한 관광객의 모자가 북측으로 넘어갔을 때 망설이던 관광객에게 모자를 넘겨준 오경필 중사, 그리고 그모습을 촬영하던 한 관광객과 그를 가로막던 남한 헌병. 가볍게 넘긴 이 장면에 이야기의 핵심 인물이 된 네명의 병사를 모두 담아 냄으로써 영화는 더욱 더 관객으로 하여금 비극에 대한 동정심을 자아내며 이야기를 마무리 하게 된다.
4. 결론
2000년, 최고의 관중 몰이를 하며 각종영화제의 상을 석권한 이 영화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분단이라는 유일한 특수성을 소재로 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영화이지만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비단 흥행요소가 아니다. 현재 우리가 봉착해 있는 사상과 이념의 대립, 왜 영문도 모른채 서로를 겨눠야 하는 것인가? 언제까지 이런 비극이 되풀이 되어야 끝날것인가? 누구도 쉽게 대답할 수 없고 누구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그러나 누구나 바라고 있는 그런 질문을 던지는 영화이다.
추천자료
JSA 영화패러디 (영화보고 패러디 만들기)
영화와 정치 : 68 이후 프랑스 영화의 화두
도시 지역 내 공동체의식 실태와 전망 (납골당 건립에 대한 돈암동 주민들의 반응양상을 바탕...
영화의 개인사적반영과 역사의식의 반영(영화와 철학)
영화시장의 현주소(성공과 부작용 및 해결방안)
영화산업 PPL을 통해본 방송매체의 PPL 양성화를 위한 대안제시
한국 영화진흥정책의 역사 및 영화산업구조의 문제점과 대안
[추천영화감상문] 영화-살인의 추억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이론 비판적 검토]프로이드와 프로이드이론...
JSA영화감상문
한류와 독립영화 : 문화산업의 주류, 비주류 구분에 의한 문제점 - 영상산업(한류영상산업과 ...
CJ E&M기업분석_CJ E&M해외시장진출,제일제당 멀티미디어 사업부,브랜드마케팅,서비...
주요항공사(케세이퍼시픽,대한항공,중국남방항공,에미레이트,루프트한자) 경영전략과 글로벌 ...
한국영화의 폭력성,조폭 영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