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용한 시료의 BOD
BOD(㎎/1) = [ (D1-D2) - (B1-B2) * f ] * P
D1 : 희석 (조제) 한 검액 (시료) 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1)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 (조제)한 검액 (시료)의 DO평균치 (㎎/1)
B1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의 DO(㎎/1)
B2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후의 DO(㎎/1)
f : 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 (x%) 에 대한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 (y%) 의 비 (x/y)
P : 희석시료 중 시료의 희석배수 ( 희석시료량 / 시료량 )
(출처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 - 네이버 지식iN)
BOD(㎎/1) = [ (D1-D2) - (B1-B2) * f ] * P
D1 : 희석 (조제) 한 검액 (시료) 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1)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 (조제)한 검액 (시료)의 DO평균치 (㎎/1)
B1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의 DO(㎎/1)
B2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후의 DO(㎎/1)
f : 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 (x%) 에 대한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 (y%) 의 비 (x/y)
P : 희석시료 중 시료의 희석배수 ( 희석시료량 / 시료량 )
(출처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 - 네이버 지식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