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ke 와 fogarty의 통합교육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Drake(1993)의 교육과정 통합유형
(1) 다학문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
(2) 학제적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
(3) 초학문적 접근(Transdisciplinary Approach)

Ⅱ. Fogarty(1991)의 교육과정 통합유형
(1) 분절형 (Fragmented)
(2) 연관형 (connected)
(3) 둥지형(nested)
(4) 계열형(sequenced)
(5) 공유형(shared)
(6) 거미줄형(Webbed)
(7) 선형(thread)
(8) 통합형(integrated)

본문내용

은 실행하기 어려운 복잡한 모델이라는 것인데, 교사가 매우 유능해야 하고, 통합의 중심이 되는 개념, 기능, 태도를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통합의 중심이 되는 개념에 관련된 각 학문의 수 많은 자료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Fogarty의 통합유형은 교육과정재구성에 많은 시사를 준다. 교과안에서 서로 관련되는 개념과 주제들을 연결시키는 연관형, 특정 내용, 사고기능, 사회적 지능을 동시에 수업 목표로 삼는 등 먼저 정하고 그 주제와 관련된 여러 교과의 내용을 연결시키는 거미줄형 등이 특히 많은 시사를 준다.
여러 유형들 모두 나름의 장단점이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거미줄형 모델로 교수하고픈 욕심이 생긴다.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학문들을 묶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겠으나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으로 Drake와 Fogarty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고, 나른대로 활용하고 싶은 모델에 대에 언급해보았다. 뒤떨어진 현실을 생각해 볼때 이상적인 이론의 존재만을 가지고 만족할 수는 없을 것이다. 지금은 현실과 이론의 괴리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괴리를 줄이는 것은 교육학자들의 몫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실제적으로는 현장 교사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회과 교육 과정 통합만 보더라도 합산적인 성격의 교과 통합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등 형식적 한계에 있고, 이로 인하여 수요자인 학생 중심의 효율적인 통합 교육과정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측면을 부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의 이면에는 자기 전공을 고수하려는 일반적인 전공 고수 주의의 경향과 이에 기인한 분과주의 교육 과정의 절묘한 타협으로 이루어진 교과서의 구성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결국 교과서의 재구성 등 유용한 수요자 중심의 통합 교육 과정은 학교 중심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으로 밖에 성취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를 담당해야할 담당자는 현장 교사 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 아직 탐색 단계를 벗어나고 있지 못한 만큼, 이에 대한 연구, 특히 학교 현장으로부터 적극적인 이해와 참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저항 요인도 극복해야할 과제이고 더 나아가서 분과 교육 과정과는 대립되는 관계가 아니라 오히려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는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