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자음악의 발전과 테크노
2. 테크노의 개념
3. 테크노음악의 개념
4. 테크노 문화와 음악
5. 각 나라의 테크노음악
6. 테크노의 종류
2. 테크노의 개념
3. 테크노음악의 개념
4. 테크노 문화와 음악
5. 각 나라의 테크노음악
6. 테크노의 종류
본문내용
협화음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비트는 반복적으로 진행되는데 이것이 테이프 루프에서 비롯된 루핑(Looping)기법으로서 테크노음악의 바탕이 되는 리듬형태인 것이다. 이밖에도 테크노음악에 사용되어지는 발전된 형태의 전자음악적 기법으로는 신디사이저를 이용한 음색의 변조에서부터 다양한 샘플링 작업과 기존 곡의 리믹스작업등으로서 이외에도 많은 기법들이 계속적으로 발전되어 지고 있다.
2. 테크노의 개념
21세기의 기술 혁신은 오늘의 문화를‘자동화’, ‘마이크로-테크놀로지(Micro-technology)’,‘전파의 통제 철폐’로 특징 지우며, 최근의 데크놀로지에 기반한 시각매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과 예술은 기능성의 원리에 의해 과학기술의 통합을 의도한 바우하우스(Bauhaus)운동으로 인해 변모의 기점을 마련하였고, 이제까지 자연의 은총에 의존해 온 육감의 세계로 발전되어 하나의 기술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제 더 이상 디자인은 개인으로서의 인격적 시스템 속에서 비밀리에 행해지는 비의가 아니라, 공공의 장소에서 공공의 법칙에 의해 과학적으로 관리되는 기술이며, 따라서 자연의 \'사물\'로서 현시적으로 그 논리가 파악될 수 있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미학이 갖고 있던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낭만주의적 접근이 폐기되고, 기능주위에 의한 새로운 형식 분석법이 채용되었으며, 이는 기본적 요소 및 이것들을 논리적 컴퍼지션으로 치환되었다. 이리하여 디자인과 예술은 직접 인간의 감성에 작용하여 어떤 목적 있는 반응을 유발하는 대중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힘을 갖게 되었으며, 사회를 유기적으로 재조직하는 강력한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현대 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화, 팩스(FAX) 등 초보적인 통신으로 이루어진 정보망에 뒤이어 컴퓨터를 통한 막대한 양의 정보유통이 가능해지면서 컴퓨터 통신은 단순한 통신수단을 지나 현실 생활 속에서 새로운 체험공간을 만들어냈다. 컴퓨터 문명의 발달은 컴퓨터의 일반화에 따른 컴퓨터 신문화를 창조하였고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를 비롯하여 사이버펑크(Cyberpunk), 테크노새비 (Techno Savvies), 테크노 사이버(Techno Cyber) 등의 다양한 신조어를 등장시켰다. 테크노(Techno)는 ‘기술, 기교, 공예, 공업, 공학’이라는 뜻의 연결형으로 테크놀로지와는 그 어원에서 뜻을 같이 하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어원은 고전 그리스어의 ‘tekne’= ‘술(術)’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본래는 집을 짓는 업(業)이라는 의미로 씌였었다. 그런데 테크놀로지라는 것은 ‘과학+목적’이다. 자연법칙의 탐구가 과학이며, 그 성과를 바탕으로 적당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응용하는 행위가 기술이다. 디자인에서 보여지는 기술적인 산물과 기술적 조형을 지향하며 형식면에서 기계와 유사한 작품들을 등장시키게 되었다. 또한 빛과 동력에 의한 첨단 기계장치와 기술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외형상 기계와 구별하기 어려운 전형적인 테크놀로지 예술의 효과와 이미지를 도용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기술혁신으로 인하여 생긴 컴퓨터와 정보기술,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사진, 둥 이런 전자 대중매체에 의해 생산되는 이미지는 자연스러운 생활의 일부가 되었고, 인간의 시공간 관념과 지각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3. 테크노음악의 개념
일반적으로 테크노(Techno)란 사전적 의미로 Technology, 즉 기술 문명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을 뜻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테크노 음악이란 \"컴퓨터를 비롯한 첨단 전자 장비에 의해 만들어지고 또한 소비되어지는 대중음악의 한 장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명확하게 이와 같이 정의 내리기에는 다소 모호한 면이 있다. 그것은 테크노음악이란 대중음악 장르가 포괄하고 있는 하위장르의 범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 한 테크노음악은 하우스, 트랜스, 앰비언트, 하드코어, 정글, 드럼 앤 베이스, 드립합 등의 다양한 음악적 변천과정을 거쳐 왔기 때문에 테크노음악의 특성을 어느 한 가지 성격으로 규정짓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테크노음악은 대중음악이란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어지기도 하는데 그것은 “테크노음악을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토대로 한 실험적이고. 기계적인 음악”이라는 것과 “댄스 음악의 범주에 속하는 단순한 음악” 이라고 치부해 버리는 것인데 이러한 표면적인 해석과 더불어 테크노음악을 물화적인 측면27)에서 고려해 볼 때 테크노음악의 기능은 단순한 댄스음악으로 부터 분리되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테크노음악을 댄스음악에써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 또한 정확한 해석은 아닌 것이다. 그것은 테크노음악을 찾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림듯 테크노음악의 개념은 한 가지 관점에서 해석하여서는 불완전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므로 여러 가지 측면의 해석을 요구 하게 된다. 테크노음악이라는 용어가 대중음악계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어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이르러서 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이전에 생성되었던 여러 가지 대중적인 전자음악 장르인 하우스, 애시드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하이테크에 기초한 미래지향적 음악이라는 인상으로 전환시키려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테크노라는 용어는 다시 일렉트로니카라는 용어로 대체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레이브 문화가 쇠퇴하고 일렉트로닉 음악의 장르가 세분화되는 과정을 겪은 후 테크노 음악의 많은 음악가들이 대중음악의 주류로 등장한 준비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테크노음악을 대중음악에 접목된 새로운 경향의 총칭이라 할 수 없으나 테크노음악의 여러 가지 특성으로 보아 전자음악의 실험정신과 전위적인 성격을 포함하면서도 가장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댄스 음악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테크노음악을 중심으로 대중음악에 접목된 전자음악의 새로운 경향을 고찰 할 수 있었다.
4. 테크노 문화와 음악
테크노의 기원은 1970년대 초에 서독(지금은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테크노란 매사에 익숙한 행동, 개방적이고 극히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 이러한 모습들을 하고 있는 현대의
2. 테크노의 개념
21세기의 기술 혁신은 오늘의 문화를‘자동화’, ‘마이크로-테크놀로지(Micro-technology)’,‘전파의 통제 철폐’로 특징 지우며, 최근의 데크놀로지에 기반한 시각매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과 예술은 기능성의 원리에 의해 과학기술의 통합을 의도한 바우하우스(Bauhaus)운동으로 인해 변모의 기점을 마련하였고, 이제까지 자연의 은총에 의존해 온 육감의 세계로 발전되어 하나의 기술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제 더 이상 디자인은 개인으로서의 인격적 시스템 속에서 비밀리에 행해지는 비의가 아니라, 공공의 장소에서 공공의 법칙에 의해 과학적으로 관리되는 기술이며, 따라서 자연의 \'사물\'로서 현시적으로 그 논리가 파악될 수 있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미학이 갖고 있던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낭만주의적 접근이 폐기되고, 기능주위에 의한 새로운 형식 분석법이 채용되었으며, 이는 기본적 요소 및 이것들을 논리적 컴퍼지션으로 치환되었다. 이리하여 디자인과 예술은 직접 인간의 감성에 작용하여 어떤 목적 있는 반응을 유발하는 대중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힘을 갖게 되었으며, 사회를 유기적으로 재조직하는 강력한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현대 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화, 팩스(FAX) 등 초보적인 통신으로 이루어진 정보망에 뒤이어 컴퓨터를 통한 막대한 양의 정보유통이 가능해지면서 컴퓨터 통신은 단순한 통신수단을 지나 현실 생활 속에서 새로운 체험공간을 만들어냈다. 컴퓨터 문명의 발달은 컴퓨터의 일반화에 따른 컴퓨터 신문화를 창조하였고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를 비롯하여 사이버펑크(Cyberpunk), 테크노새비 (Techno Savvies), 테크노 사이버(Techno Cyber) 등의 다양한 신조어를 등장시켰다. 테크노(Techno)는 ‘기술, 기교, 공예, 공업, 공학’이라는 뜻의 연결형으로 테크놀로지와는 그 어원에서 뜻을 같이 하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어원은 고전 그리스어의 ‘tekne’= ‘술(術)’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본래는 집을 짓는 업(業)이라는 의미로 씌였었다. 그런데 테크놀로지라는 것은 ‘과학+목적’이다. 자연법칙의 탐구가 과학이며, 그 성과를 바탕으로 적당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응용하는 행위가 기술이다. 디자인에서 보여지는 기술적인 산물과 기술적 조형을 지향하며 형식면에서 기계와 유사한 작품들을 등장시키게 되었다. 또한 빛과 동력에 의한 첨단 기계장치와 기술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외형상 기계와 구별하기 어려운 전형적인 테크놀로지 예술의 효과와 이미지를 도용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기술혁신으로 인하여 생긴 컴퓨터와 정보기술,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사진, 둥 이런 전자 대중매체에 의해 생산되는 이미지는 자연스러운 생활의 일부가 되었고, 인간의 시공간 관념과 지각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3. 테크노음악의 개념
일반적으로 테크노(Techno)란 사전적 의미로 Technology, 즉 기술 문명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을 뜻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테크노 음악이란 \"컴퓨터를 비롯한 첨단 전자 장비에 의해 만들어지고 또한 소비되어지는 대중음악의 한 장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명확하게 이와 같이 정의 내리기에는 다소 모호한 면이 있다. 그것은 테크노음악이란 대중음악 장르가 포괄하고 있는 하위장르의 범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 한 테크노음악은 하우스, 트랜스, 앰비언트, 하드코어, 정글, 드럼 앤 베이스, 드립합 등의 다양한 음악적 변천과정을 거쳐 왔기 때문에 테크노음악의 특성을 어느 한 가지 성격으로 규정짓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테크노음악은 대중음악이란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어지기도 하는데 그것은 “테크노음악을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토대로 한 실험적이고. 기계적인 음악”이라는 것과 “댄스 음악의 범주에 속하는 단순한 음악” 이라고 치부해 버리는 것인데 이러한 표면적인 해석과 더불어 테크노음악을 물화적인 측면27)에서 고려해 볼 때 테크노음악의 기능은 단순한 댄스음악으로 부터 분리되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테크노음악을 댄스음악에써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 또한 정확한 해석은 아닌 것이다. 그것은 테크노음악을 찾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림듯 테크노음악의 개념은 한 가지 관점에서 해석하여서는 불완전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므로 여러 가지 측면의 해석을 요구 하게 된다. 테크노음악이라는 용어가 대중음악계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어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이르러서 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이전에 생성되었던 여러 가지 대중적인 전자음악 장르인 하우스, 애시드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하이테크에 기초한 미래지향적 음악이라는 인상으로 전환시키려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테크노라는 용어는 다시 일렉트로니카라는 용어로 대체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레이브 문화가 쇠퇴하고 일렉트로닉 음악의 장르가 세분화되는 과정을 겪은 후 테크노 음악의 많은 음악가들이 대중음악의 주류로 등장한 준비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테크노음악을 대중음악에 접목된 새로운 경향의 총칭이라 할 수 없으나 테크노음악의 여러 가지 특성으로 보아 전자음악의 실험정신과 전위적인 성격을 포함하면서도 가장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댄스 음악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테크노음악을 중심으로 대중음악에 접목된 전자음악의 새로운 경향을 고찰 할 수 있었다.
4. 테크노 문화와 음악
테크노의 기원은 1970년대 초에 서독(지금은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테크노란 매사에 익숙한 행동, 개방적이고 극히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 이러한 모습들을 하고 있는 현대의
추천자료
[전자공학] PDA를 이용한 LCD 무선 제어 (졸업논문 정보통신
디지털경제와 전자 상거래
[행정환경][행정개혁]행정환경 현황과 행정개혁 전략 및 과제 분석(행정문제의 복잡성과 가치...
삼성전자 YEPP(옙) 마케팅기획서및 마케팅조사
[웹기반][Web기반][웹][전자정부][교육][전자상거래][보안]웹기반(Web기반) 전자정부, 웹기반...
초등학교 실과교과(실과교육) 교육중점과 교육실태, 초등학교 실과교과(실과교육) 교양농업교...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운영 방향,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어과 의사소통중심학습지도(교육지도), 국어과 북한말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수준별학...
일본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목표와 변천, 일본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지도내용...
전자상 거래 -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파일의 소유자는 누구인가
원가우위 전략사례, 차별화 전략사례, 전략적 제휴사례 조사보고서 저가항공사 미국 사우스웨...
경영정보시스템(전자 상거래)
[공간][공간감각][공간분석][공간구성][공간인식][공간혁명][문화공간][실내공간][놀이공간]...
[소니][Sony]소니(Sony)의 경영이념, 소니(Sony)의 구성, 소니(Sony)의 사업영역, 소니(Son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