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가져온다고 말한다면, 서양의 사고를 닮고 싶어 하는 이들은 서양이라는 환경에서 생활을 하면 서양적 사고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해 서양의 것에 더 매달리려고 하지 않을까? 서양인이 되고 싶어서 서양인의 것을 아무리 따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동양인이라는 사실이 바뀌지 않는다는 포스트식민주의의 이중성처럼 동양인이라는 속성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단지 동양과 서양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기준의 잣대가 동양인 혹은 서양인이 각기 가진 특성의 잣대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저자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 차이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세대 간의 문화차이가 경우에 따라서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차이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였다. 세대 간의 언어단절 문제도 심각한 수준의 문화차이를 낳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청소년 세대와 그렇지 못한 중ㆍ장년층의 경우 한 나라 안에서 같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를 이해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게 오늘의 실정인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문화 차이가 중요하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봤을 때는 세대 간의 문화 차이에서 오는 오해와 갈등 역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라고 본다.
그리고 이러저러한 차이들의 지형을 심리학적, 문화적으로 분석한다. 역설적이게도, 그의 과학적인 분석법은 당연히 서구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연구가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저자에 따르면 이런 연구 자체가 ‘서양적’이다. 이 책은 결론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서양인인 저자의 관점으로 동양과 서양의 차이를 기술한 책으로 이 책을 읽는 저자들에게 동양과 서양의 차이를 서양적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다. 즉 동양과 서양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면서도 아이러니하게 그의 연구 방법에서는 동양적 관점의 것을 보기 어렵다. 또한 이 책을 읽음으로서 막연하게만 느끼던 차이점을 명확하게 해 준다는 느낌은 있으나, 역기능적으로 동양과 서양에 대한 또 다른 고정관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평소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던 부분을 책이라는 지식의 매개체를 통해 그대로 수용한다면, 그 역시 하나의 고정 관념을 만드는 것이 되는 것이다. 명쾌하게 혹은 일반적이고 명료하게 동양과 서양의 차이를 기술함으로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일반화가 된 경향이 많지 않았나 싶다.
또한 저자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 차이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세대 간의 문화차이가 경우에 따라서는 동양과 서양의 문화차이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였다. 세대 간의 언어단절 문제도 심각한 수준의 문화차이를 낳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청소년 세대와 그렇지 못한 중ㆍ장년층의 경우 한 나라 안에서 같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를 이해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게 오늘의 실정인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문화 차이가 중요하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봤을 때는 세대 간의 문화 차이에서 오는 오해와 갈등 역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라고 본다.
그리고 이러저러한 차이들의 지형을 심리학적, 문화적으로 분석한다. 역설적이게도, 그의 과학적인 분석법은 당연히 서구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연구가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저자에 따르면 이런 연구 자체가 ‘서양적’이다. 이 책은 결론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서양인인 저자의 관점으로 동양과 서양의 차이를 기술한 책으로 이 책을 읽는 저자들에게 동양과 서양의 차이를 서양적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다. 즉 동양과 서양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면서도 아이러니하게 그의 연구 방법에서는 동양적 관점의 것을 보기 어렵다. 또한 이 책을 읽음으로서 막연하게만 느끼던 차이점을 명확하게 해 준다는 느낌은 있으나, 역기능적으로 동양과 서양에 대한 또 다른 고정관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평소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던 부분을 책이라는 지식의 매개체를 통해 그대로 수용한다면, 그 역시 하나의 고정 관념을 만드는 것이 되는 것이다. 명쾌하게 혹은 일반적이고 명료하게 동양과 서양의 차이를 기술함으로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일반화가 된 경향이 많지 않았나 싶다.
추천자료
세계 지도자들의 명언과 그에 대한 나의 생각
아동에게 그림그리기를 지도할 시 좀 더 창의적이고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
아동에게 그림그리기를 지도할 시 좀 더 창의적이고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
아동의 감정지도방법(john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해 설명 하고, 본인의 생각을 피...
지적 장애인의 성행동 특히 자위행위, 스킨쉽에 대한 생각과 지도방안 기술을 성폭력과 연계...
게임이나 신체 표현활동을 통한 수학, 과학 지도 방법을 생각해보고 아동과의 활동을
기본생활습관 영역 중 식사 습관과 관련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다룰 수 있는 지도 내용들을 ...
[보육교사론] 아동학대가 영유아기에 미치는 영향과 특징을 설명하고, 보육현장에서 교사로서...
[아동수학지도] 아동의 수 감각을 일깨워주기 위한 일상생활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하여 ...
[언어지도] 언어의 기능과 현대사회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언어의 기능 (언어의 기능, 언어의...
신조어, 축약어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예와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신조어와 축약어 현상 속...
예비보육교사로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유아 인성지도 방법을 유아교육기관 면에서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듣기의 특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뽑아 본 후, 듣기교육에서 ...
[청소년비행의 유형에 대해 자세히 작성하고 비행유형 중 한 가지 예를 들어 자신이 비행청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