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어의 형성
2. 시대구분
3. 고대국어의 음운의 특징
4. 고대국어의 문법의 특징
5. 고대국어의 어휘의 특징
6. 차자 표기법
2. 시대구분
3. 고대국어의 음운의 특징
4. 고대국어의 문법의 특징
5. 고대국어의 어휘의 특징
6. 차자 표기법
본문내용
음과 치음의 치청은 원칙적으로 ‘ㅌ’과 ‘ㅊ’으로 된다. 그러나 몇몇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ㄱ’음으로 되는 것이 원칙이라 할 정도여서 고대국어시기의 ‘ㅋ’음의 편재를 알려줌.
(2) 고대국어 시기 (신라어까지)의 된소리 계열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국어에도 된소리 한자음은 극소수이다. 중국 중고음의 전탁음 계열이 동한음에서 평음으로 반영된 것과, 한자 차용표기에서 된소리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 사실이 그 근거다. 된소리는 중세 이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3) 유성마찰음 계열의 존재 여부(후기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ㅸ나 ㅿ의 문제. 이견이 많지만 고대국어 시기에 이러한 음소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음소: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음운적 최소단위) 다만 ㅸ과 동일한 과정음(ㅂ과 ㅅ의 모음간유성화 혹은 약화음)으로 보아서는 안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고, 전기 중세국어 시기에서 이 음들을 어떻게 설명할지는 과제다.
(4) 음절 끝 자음 발음의 중화 미완: ㅅ, ㅈ 등 자음이 음절 끝의 위치에서도 제 음가를 지녔던 듯. r음의 음절 끝 존재: r과 l의 음절 끝 미합류(r과 l이 분화되지 않았을 것)
(5) ㅎ 첨용어가 존재: 중세국어 시대에 명사에 조사가 첨용될 때 중간에 ㅎ 소리가 개입되는 ㅎ 첨용어. 향가에서 보면 중세에 ㅎ첨용어로 기록되지 않는 단어들이 상당수 ㅎ첨용어로 기록됨. 고대국어에서는 ㅎ 첨용어가 더 많았던 듯 함.
02) 고대국어의 모음 체계(현대국어보다는 수적으로 적었을 것은 분명)
(1) 7모음 체계설 유력(이기문 등)
(2) 고대국어 연구의 방법: 한자음 표기 검토, 중국의 한자음과 한국의 한자음 비교, 중국의 재구된 중고음, 상고음을 바탕으로 고대국어에서 혼기되는 자료들을 통해 당시 모음체계 재구. 일본의 한자음까지 도입 비교, 알타이어 제어와 비교, 고대 이후의 양상을 보아 추정.
(3) 고대국어 연구의 쟁점: ㅣ 가 두개의 음운이었는가 아니면 하나의 음운이었는가. ·과 ㅡ가 존재하였는가.
03) 고대국어 한자음
(1) 한자 한문 도입의 초기 단계: 외국의 언어 문자로 학습, 충실한 중국 발음에 노력.
(2) 한자 한문의 능숙화 단계: 삼국시대. 국어에 동화 경향. 고구려 백제 신라 각기 그 음운체계에 기초를 둔 한자음 형성
(3) 우리나라 한자음의 구조적 특징
- 우리 한자음은 대체로 신라 통일기(8-9세기)에 唐(당)나라 장안음을 모태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 추정.
- 입성 운미의 변화: 설(舌)내 입성음 운미(중국 중고음 /t/)가 /ㄹ/로 변화. /t/가 전래되어 우리 나라에서 /ㄹ/로 변한 것이 아니라, 당나라에서 약화된 북방 방언이 우리 한자에 반영된 것. ‘勿’자로 ‘믈’(水)를 표기, 목적격조사 乙자의 사용 등 신라어 현대국어 ㄹ 종성 한자음 전부. 그리고 후(喉)내 입성음 운미 /k/의 변화가 있다. 중국 북방 방언에서는 /k/ /g/ /Y/로 약화 되었으나 우리 음에서는 원음대로 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일부 차용어에서 이러한 약화를 반영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俗
(2) 고대국어 시기 (신라어까지)의 된소리 계열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국어에도 된소리 한자음은 극소수이다. 중국 중고음의 전탁음 계열이 동한음에서 평음으로 반영된 것과, 한자 차용표기에서 된소리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 사실이 그 근거다. 된소리는 중세 이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3) 유성마찰음 계열의 존재 여부(후기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ㅸ나 ㅿ의 문제. 이견이 많지만 고대국어 시기에 이러한 음소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음소: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음운적 최소단위) 다만 ㅸ과 동일한 과정음(ㅂ과 ㅅ의 모음간유성화 혹은 약화음)으로 보아서는 안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고, 전기 중세국어 시기에서 이 음들을 어떻게 설명할지는 과제다.
(4) 음절 끝 자음 발음의 중화 미완: ㅅ, ㅈ 등 자음이 음절 끝의 위치에서도 제 음가를 지녔던 듯. r음의 음절 끝 존재: r과 l의 음절 끝 미합류(r과 l이 분화되지 않았을 것)
(5) ㅎ 첨용어가 존재: 중세국어 시대에 명사에 조사가 첨용될 때 중간에 ㅎ 소리가 개입되는 ㅎ 첨용어. 향가에서 보면 중세에 ㅎ첨용어로 기록되지 않는 단어들이 상당수 ㅎ첨용어로 기록됨. 고대국어에서는 ㅎ 첨용어가 더 많았던 듯 함.
02) 고대국어의 모음 체계(현대국어보다는 수적으로 적었을 것은 분명)
(1) 7모음 체계설 유력(이기문 등)
(2) 고대국어 연구의 방법: 한자음 표기 검토, 중국의 한자음과 한국의 한자음 비교, 중국의 재구된 중고음, 상고음을 바탕으로 고대국어에서 혼기되는 자료들을 통해 당시 모음체계 재구. 일본의 한자음까지 도입 비교, 알타이어 제어와 비교, 고대 이후의 양상을 보아 추정.
(3) 고대국어 연구의 쟁점: ㅣ 가 두개의 음운이었는가 아니면 하나의 음운이었는가. ·과 ㅡ가 존재하였는가.
03) 고대국어 한자음
(1) 한자 한문 도입의 초기 단계: 외국의 언어 문자로 학습, 충실한 중국 발음에 노력.
(2) 한자 한문의 능숙화 단계: 삼국시대. 국어에 동화 경향. 고구려 백제 신라 각기 그 음운체계에 기초를 둔 한자음 형성
(3) 우리나라 한자음의 구조적 특징
- 우리 한자음은 대체로 신라 통일기(8-9세기)에 唐(당)나라 장안음을 모태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 추정.
- 입성 운미의 변화: 설(舌)내 입성음 운미(중국 중고음 /t/)가 /ㄹ/로 변화. /t/가 전래되어 우리 나라에서 /ㄹ/로 변한 것이 아니라, 당나라에서 약화된 북방 방언이 우리 한자에 반영된 것. ‘勿’자로 ‘믈’(水)를 표기, 목적격조사 乙자의 사용 등 신라어 현대국어 ㄹ 종성 한자음 전부. 그리고 후(喉)내 입성음 운미 /k/의 변화가 있다. 중국 북방 방언에서는 /k/ /g/ /Y/로 약화 되었으나 우리 음에서는 원음대로 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일부 차용어에서 이러한 약화를 반영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俗
추천자료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시험대비 서브노트
부경대 형법 시험대비 정리파일_김선복교수
4단계 독학사 시험대비 영미문학개관 요약.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서구 성장기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의미와 분류
[사회복지실천론] 가치적 갈등과 윤리적 딜레마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서구 전문적시기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본질2- 가치, 지식 및 기술
[사회복지실천론]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부모됨과 부모기의 단계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