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학원론 광과 작물 생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배학원론 광과 작물 생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태양 복사선의 파장별 명칭

② 광합성과 태양 에너지의 이용

③ 광포화점 보상점

④ 고립 상태의 광 포화점과 군락의 광 포화점

⑤ 포장동화 능력

⑥ 최적 엽면적

⑦ 군락의 수광태세

본문내용

에 따라 총생산량과 순생산량이 증가되나 어느 단계 이후가 되면 오히려 적어지게 되며 순생산량이 최대치가 되는 엽면적 지수를 최적엽면적 지수라 한다.
과수재배에 있어서 최적엽면적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인데 일반적으로 유목기는 최적엽면적 이하가 되나 성과기에 접어들어 나무의 수령이 많아지고 가지 밀도가 증가되어 복잡해지면 최적 엽면적 이상이 되어 수관내 광환경이 불량해지고 무효용적이 증가되어 나무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과실 품질도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전정을 하게 되면 전정한 나무의 엽면적은 무전정한 나무보다 감소하게 되므로 유목기에는 가능한 엽량이 증가하도록 약전정을 해야 하나 최적 엽면적 상태를 넘는 나무에서는 가능한 전정량을 많게 하여 가지 밀도를 줄여 엽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엽면적 지수는 재식밀도가 높고 수관점유면적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지밀도가 높고 가지 생장량이 많을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배의 경우 Y자 밀식재배시 엽면적 지수가 4.5이상이 되면 수량이 감소되며 상품성이 높은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3정도가 알맞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농가재배상 엽면적 지수를 계산하여 최적 엽면적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실용적으로 정오쯤 밝은 날 해가 머리 위에 왔을 때 나무 아래 지표면에 떨어지는 햇빛의 정도에 따라 판단 가능하며 보통 15~20%정도 햇빛이 고르게 지면에 떨어지면 최적 엽면적 지수에 가깝다.
⑦ 군락의 수광태세
(1) 작물의 수광태세
군락의 최적엽면적지수는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을 때 커지는데, 수광태세의 개선은 광에너지의 이용도를 높이는데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군락의 수광태세를 개선하려면 좋은 초형의 품종을 육성하고 재배적으로는 질소의 과용을 피하고 규산질비료와 가리비료를 증시하여 군락의 엽군구성을 좋게하는 재배법의 개선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면 주요 작물의 좋은 초형과 엽군 구성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벼의 초형
① 잎이 과히 두껍지 않고 약간 가늘며 상위엽이 직립한다.
② 키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다
③ 분얼이 개산형으로 된다.
④ 각 잎이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2) 옥수수의 초형
① 상위엽이 직립하고 아래로 갈수록 약간씩 경사하여 하위엽은 수평이 된다.
② 수이삭이 작고 잎혀가 없다
③ 암이삭이 1개인 것보다 2개인 것이 더욱 밀식에 적응한다.
3) 콩의 초형
① 키가 크고 도복이 안되며 가지를 적게 치고 가지가 짧다.
② 꼬투리가 주경에 많이 달리고 줄기 하부까지 착생한다.
③ 잎줄기가 짧고 일어선다.
④ 잎이 작고 가늘다.
(2) 수광태세의 개선
1) 시비방법
벼의 경우 규산, 가리를 넉넉히 주면 잎이 직립화한다. 또한, 무효분어기에 질소를 적게 주면 상위엽이 직립한다. 질소를 과용하면 과번무하게 되고 잎이 늘어지므로 주의한다.
2) 재식방법
벼나 콩에서 밀식을 할 때에는 줄사이를 넓히고 포기사이를 좁히는 것이 파상군락을 형성케하여 군락 하부로의 광투사를 좋게한다.
3) 파종방법
맥류에서는 광파재배보다 드릴파재배를 하는 것이 잎이 조기에 포장전면을 덮어서 수광태세가 좋아지고 포장의 지면 증발량도 적어진다.
(3) 작물의 군락 광합성 최대화 방안
(1) 단위동화능력의 증진 및 건물생산기간을 길게 유지
단위동화능력은 엽록소의 함량과 질이 크게 관여하는데, 시비, 물관리 등을 잘 할 때 높아진다. 또한, 생육후기에는 상위으 4~5엽만이 남아서 등숙작용을 수행하므로 동화능력이 큰 건전엽을 후기까지 잘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등숙기에는뿌리의활력이감퇴되는 시기이므로낙수등의물관리를 통해 뿌리의 흡수능을크게유지하는것이중요하다.
(2) 최적엽면적의 확보와 유지
최적엽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