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2. 성공적인 유통 시스템을 갖춘 브랜드 ‘타임’
1) 기업 소개 ‘한섬’
2) TIME 의 소개
3) 타임(TIME)의 4P 전략 분석
4) 타임(TIME)의 성공 전략
3. 실패적인 유통 시스템을 가진 브랜드 ‘쿠아(QUA)’
1) 기업 소개-(주)Integral S.A 와 코오롱 패션
2) 쿠아(QUA)
3) 쿠아(QUA)의 4P 전략
3) 쿠아(QUA)의 실패 원인
4. 결론
2. 성공적인 유통 시스템을 갖춘 브랜드 ‘타임’
1) 기업 소개 ‘한섬’
2) TIME 의 소개
3) 타임(TIME)의 4P 전략 분석
4) 타임(TIME)의 성공 전략
3. 실패적인 유통 시스템을 가진 브랜드 ‘쿠아(QUA)’
1) 기업 소개-(주)Integral S.A 와 코오롱 패션
2) 쿠아(QUA)
3) 쿠아(QUA)의 4P 전략
3) 쿠아(QUA)의 실패 원인
4. 결론
본문내용
주 1회 사내 제품 품평회를 여는데 디자인된 것 중 30%만 남고 나머지는 탈락한다고 한다. 30%의 제품은 소량씩 샘플을 제작해 전국 매장에서 시범 판매하며 매일 올라오는 반응에 따라 추가생산 여부와 특정 지역에서만 광고를 할지, 전국 기획 상품으로 할지 등을 정한다. 즉 반응생산 시스템(QRQuick Response)을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상품 기획은 통상 1주일 단위로 이뤄진다. 한섬에는 디자이너, 소재 전문가, 색상 전문가 등 의류 기획 관련 인력이 100여명에 이른다. 97년 이전만 해도 대부분 업체들의 상품 기획은 소비자 반응을 고려하기보다 업체가 정형화된 스타일을 제시하는 식이었다. 상품 기획은 월 단위나 시즌 단위로 하고 소비자 반응이 좋지 않으면 세일로 재고 조정을 했다.
최근에는 QR이 의류업계 전반에 도입되고 있다. 예전에는 70% 물량을 미리 정하고 30%만 반응에 따라 추가생산 여부를 결정했다면 이제는 그 비율이 반대라고 할 수 있다.
③ 재고 관리
의류는 유행이 지나면 가치가 떨어지므로 재고가 큰 위험요소다. 따라서 정상가 판매율이 의류업체 수익성의 관건이다.
타임은 1년 내내 세일을 하지 않는다. 한섬의 다른 브랜드는 1년에 2번만 백화점 세일에 참여한다. 또한 세일 상품은 이후 바로 매장에서 철수시킨다. 재고물량은 한섬이 직접 운영하는 상설할인매장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월상품을 판매하는 아웃렛 매장도 떨이 이미지를 주지 않기 위해 백화점 매장과 비슷한 인테리어를 하고 있다. 통상 의류업체의 떨이는 할인율이 약 80%나 됐지만 한섬은 아웃렛에서도 50% 이상 할인하지 않는다. QR로 재고 자체가 많지 않은 것도 세일에 의존할 필요가 없는 비결 중 하나다. 과거에는 의류업체들 사이에 30%는 안 팔리는 물량, 나머지 70% 중 3분의 1은 정상가, 3분의 1은 세일, 3분의 1은 원가 이하가 공식이었다. 정상가도 어차피 재고가 쌓일 것을 감안해 정상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정상가 판매 중심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상품력이 있어 재고라도 어느 정도 가치를 인정받기 때문에 원가 이하의 눈물 세일은 하지 않는다.
(4) Promotion 촉진전략
① 광고
한섬은 상품의 차별화 뿐 아니라 매장, 광고,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등 모든 마케팅 수단에 차별성과 일관성을 확고히 하여 혁신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광고는 소비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 특히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제품이나 상표에 대한 지식, 이미지, 믿음 또는 태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 이루어진다.
90년대 초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하는 TV, 신문광고가 주류를 이루던 시대에 한섬은 외국인을 모델로, 패션 광고 비중이 미미했던 여성지를 발탁하여 저렴한 가격에 MULTI 페이지 광고를 단행하여 여성지가 패션광고의 주 매체로 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점차적으로 외국인 모델을 사용한 광고가 일반화됨에 따라 해외에서 TOP모델과 사진작가를 발굴하여 광고를 제작, 패션 광고 사진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섬의 창의적 마케팅 활동은 계속 될 것이다. 특히 \'타임\'은 20~30대 대학생과 전문직 고소득층 커리어우먼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한 캐릭터 캐주얼 브랜드로서 타깃이 명확하기 때문에 불특정다수를 겨냥한 TV광고도 하지 않지만 \'타임\'만을 골라 입는 매니아 층을 갖고 있다.
② 판매원
패션기업의 개별 판매원의 태도는 매출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판매원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타임’의 판매원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난다. 고가의 제품인 만큼 판매원들은 고객에게 친절하며 고객의 편의를 위해 상당히 노력하고 있다.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일수록 남들로부터 대접받고자 하는 심리가 높으며 이러한 고객의 요구를 잘 알고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타임’은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4) 타임(TIME)의 성공 전략
소비자들이 Suit류 중심의 Formal한 분위기에 다소 지루해 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섬은 On-duty Life와 Off-duty Life를 포괄할 수 있는 브랜드 TIME(타임)을 런칭하였는데, TIME만의 스타일로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흔히 TIME의 성공 요인으로 런칭 시 국내 숙녀복 시장 내 영 소비 세력들의 바잉파워가 시장을 주도 할 때 타임이 유일하게 어덜트 성향을 띠면서 빈시장을 공략한 것이라고 일컫는데, 우리는 TIME이 전반적인 요소들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정확하게 예측하여 적절히 대응한 면이 성공요인이며, 무엇보다 가장 결정적인 성공요인은 TIME이 절제된 디자인으로 품위있고 세련된 감각을 표현하는 실용적이고 격조 있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어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감성마케팅이라는 말이 있듯이, TIME의 주된 성공요인은 ‘이미지 어필’이라고 판단한다.
3. 실패적인 유통 시스템을 가진 브랜드 - 쿠아(QUA)
1) (주)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와 코오롱 패션
(주) 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가 만든 브랜드 쿠아(QUA)는 2003년 12월 1일자로 FnC코오롱(www.koloncorp.com 대표이사 제환석)은 관계사인 코오롱패션에 흡수, 합병하기로 했다. 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는 코오롱그룹이 여성복 사업을 위해 만든 대리점 유통을 하는 벤처회사로, FNC코오롱이 지분의 9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그룹 구조조정 차원에서 합병 된 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 코오롱패션의 하위 사업부로 쿠아(QUA) 브랜드를 운영하게 된다. 코오롱패션은 맨스타, 아더딕슨, 오스틴리드 등 신사복 전문브랜드를 운용하고 있고, 2004년부터 중저가 패밀리브랜드 제이폴락과 고가 크리스찬라크루와 등을 런칭할 계획이다.
2)쿠아(QUA)
(1) 런칭 시기와 규모
패션 유통에서 혁명이라 불릴 수 있는 SPA 형 사업을 ㈜Integral S.A는 2001년 가을, 국내 여성
상품 기획은 통상 1주일 단위로 이뤄진다. 한섬에는 디자이너, 소재 전문가, 색상 전문가 등 의류 기획 관련 인력이 100여명에 이른다. 97년 이전만 해도 대부분 업체들의 상품 기획은 소비자 반응을 고려하기보다 업체가 정형화된 스타일을 제시하는 식이었다. 상품 기획은 월 단위나 시즌 단위로 하고 소비자 반응이 좋지 않으면 세일로 재고 조정을 했다.
최근에는 QR이 의류업계 전반에 도입되고 있다. 예전에는 70% 물량을 미리 정하고 30%만 반응에 따라 추가생산 여부를 결정했다면 이제는 그 비율이 반대라고 할 수 있다.
③ 재고 관리
의류는 유행이 지나면 가치가 떨어지므로 재고가 큰 위험요소다. 따라서 정상가 판매율이 의류업체 수익성의 관건이다.
타임은 1년 내내 세일을 하지 않는다. 한섬의 다른 브랜드는 1년에 2번만 백화점 세일에 참여한다. 또한 세일 상품은 이후 바로 매장에서 철수시킨다. 재고물량은 한섬이 직접 운영하는 상설할인매장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월상품을 판매하는 아웃렛 매장도 떨이 이미지를 주지 않기 위해 백화점 매장과 비슷한 인테리어를 하고 있다. 통상 의류업체의 떨이는 할인율이 약 80%나 됐지만 한섬은 아웃렛에서도 50% 이상 할인하지 않는다. QR로 재고 자체가 많지 않은 것도 세일에 의존할 필요가 없는 비결 중 하나다. 과거에는 의류업체들 사이에 30%는 안 팔리는 물량, 나머지 70% 중 3분의 1은 정상가, 3분의 1은 세일, 3분의 1은 원가 이하가 공식이었다. 정상가도 어차피 재고가 쌓일 것을 감안해 정상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정상가 판매 중심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상품력이 있어 재고라도 어느 정도 가치를 인정받기 때문에 원가 이하의 눈물 세일은 하지 않는다.
(4) Promotion 촉진전략
① 광고
한섬은 상품의 차별화 뿐 아니라 매장, 광고,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등 모든 마케팅 수단에 차별성과 일관성을 확고히 하여 혁신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광고는 소비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 특히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제품이나 상표에 대한 지식, 이미지, 믿음 또는 태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 이루어진다.
90년대 초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하는 TV, 신문광고가 주류를 이루던 시대에 한섬은 외국인을 모델로, 패션 광고 비중이 미미했던 여성지를 발탁하여 저렴한 가격에 MULTI 페이지 광고를 단행하여 여성지가 패션광고의 주 매체로 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점차적으로 외국인 모델을 사용한 광고가 일반화됨에 따라 해외에서 TOP모델과 사진작가를 발굴하여 광고를 제작, 패션 광고 사진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섬의 창의적 마케팅 활동은 계속 될 것이다. 특히 \'타임\'은 20~30대 대학생과 전문직 고소득층 커리어우먼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한 캐릭터 캐주얼 브랜드로서 타깃이 명확하기 때문에 불특정다수를 겨냥한 TV광고도 하지 않지만 \'타임\'만을 골라 입는 매니아 층을 갖고 있다.
② 판매원
패션기업의 개별 판매원의 태도는 매출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판매원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타임’의 판매원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난다. 고가의 제품인 만큼 판매원들은 고객에게 친절하며 고객의 편의를 위해 상당히 노력하고 있다.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일수록 남들로부터 대접받고자 하는 심리가 높으며 이러한 고객의 요구를 잘 알고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타임’은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4) 타임(TIME)의 성공 전략
소비자들이 Suit류 중심의 Formal한 분위기에 다소 지루해 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섬은 On-duty Life와 Off-duty Life를 포괄할 수 있는 브랜드 TIME(타임)을 런칭하였는데, TIME만의 스타일로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흔히 TIME의 성공 요인으로 런칭 시 국내 숙녀복 시장 내 영 소비 세력들의 바잉파워가 시장을 주도 할 때 타임이 유일하게 어덜트 성향을 띠면서 빈시장을 공략한 것이라고 일컫는데, 우리는 TIME이 전반적인 요소들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정확하게 예측하여 적절히 대응한 면이 성공요인이며, 무엇보다 가장 결정적인 성공요인은 TIME이 절제된 디자인으로 품위있고 세련된 감각을 표현하는 실용적이고 격조 있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어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감성마케팅이라는 말이 있듯이, TIME의 주된 성공요인은 ‘이미지 어필’이라고 판단한다.
3. 실패적인 유통 시스템을 가진 브랜드 - 쿠아(QUA)
1) (주)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와 코오롱 패션
(주) 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가 만든 브랜드 쿠아(QUA)는 2003년 12월 1일자로 FnC코오롱(www.koloncorp.com 대표이사 제환석)은 관계사인 코오롱패션에 흡수, 합병하기로 했다. 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는 코오롱그룹이 여성복 사업을 위해 만든 대리점 유통을 하는 벤처회사로, FNC코오롱이 지분의 9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그룹 구조조정 차원에서 합병 된 Integral S.A.(인테그랄 에스 에이) 코오롱패션의 하위 사업부로 쿠아(QUA) 브랜드를 운영하게 된다. 코오롱패션은 맨스타, 아더딕슨, 오스틴리드 등 신사복 전문브랜드를 운용하고 있고, 2004년부터 중저가 패밀리브랜드 제이폴락과 고가 크리스찬라크루와 등을 런칭할 계획이다.
2)쿠아(QUA)
(1) 런칭 시기와 규모
패션 유통에서 혁명이라 불릴 수 있는 SPA 형 사업을 ㈜Integral S.A는 2001년 가을, 국내 여성
추천자료
패션유통산업
보세시장과 브랜드시장 비교분석
[생산관리]QR사례분석-지오다노를 중심으로
이랜드소개 및 기업문화
[인적자원관리] 이랜드 홈에버 조직구조 사례분석
[유통]백화점 및 할인점 PB상품
골프경영/ 골프의 스포츠 마케팅 분석
자기소개서 작성법과 업종별, 회사별 자기소개서 작성의 실제 사례
마케팅관련 blue fly 사례연구
노드스트롬 문화
패션 유통 산업( 신촌 현대 백화점)
썰스데이아일랜드 마케팅전략분석및 새로운 마케팅전략(티아이포맨) 제안
H&M기업분석,H&M마케팅전략,H&M성공사례분석,SPA브랜드,패스트패션
H&M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과, 미래향후전략
소개글